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4358 | |
005 | 20230327160956 | |
007 | ta | |
008 | 220428s2022 ggka 000c kor | |
020 | ▼a 9791191250053 ▼g 03350 | |
035 | ▼a (KERIS)REQ000055812762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82 | 0 4 | ▼a 352.14095195 ▼2 23 |
085 | ▼a 352.14095332 ▼2 DDCK | |
090 | ▼a 352.14095332 ▼b 2022 | |
100 | 1 | ▼a 함명준, ▼d 1960- ▼0 AUTH(211009)150308 |
245 | 1 0 | ▼a 옹이박이 함명준 : ▼b 600일의 열정 / ▼d 함명준 지음 |
260 | ▼a 고양 : ▼b 한스컨텐츠, ▼c 2022 | |
300 | ▼a 278 p. : ▼b 삽화 ; ▼c 23 cm |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2.14095332 2022 | Accession No. 11186302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020년 4월 15일, 고성군수 재선거에 당선된 후, 함명준 군수가 고성군 지방행정을 이끌며 느끼고 경험한 소회와 통찰을 글로 옮겼다. 취임한 지 한 달도 지나지 않아 발생한 산불, 이어지는 코로나19 감염병 확산 등 절박한 위기 상황에 맞서 구석구석 현장을 누벼온 함명준 군수는 지방 행정 리더라는 자리의 무게, 자세와 비전에 대해 숙고해왔다. 그가 내린 결론은 단순하다. 지역의 발전을 위해 힘차게 일하는 것이다. 이것이 자리의 중압감을 이기는 길이며 미래의 희망이다.
함명준 군수는 지역에 위기가 생기면, 그 위기를 자신이 초래한 것 같은 죄책감에 시달렸다고 고백한다. 자리가 가져오는 책임감의 무게가 죄책감으로 나타났던 것이리라. 이는 옛 조상들이 나라님이 짊어졌던 심적 부담을 하늘의 노여움으로 표현한 것과 마찬가지일 것이다. 함명준 군수는 이런 중압감을 열심히 일하는 것으로 극복했다. 재해 없는 지역, 사람들이 다시 찾아오는 지역, 누구나 살고 싶은 지역을 만드는 데 주력했다. 이 책은 그 도전의 회고이며 미래를 향한 통찰이다. 재임기에 주력했던 사업을 짚어보고 앞으로의 지역 발전 비전을 책에 담았다. 지역의 현재와 미래를 지역 주민들과 공유하는 것이 이 책의 목표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들어가는 글_찾아오는 고성, 살맛 나는 고성을 꿈꾸며 1장. 고성의 현재, 결국엔 사람이 해야 합니다 고성 군민이 가장 어렵습니다 사람을 우선시하면 재앙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고성이라는 브랜드를 무엇으로 알릴 것인가? 고성은 어디까지 발전할 수 있을까? 사람 살기에 좋으면 관광하기에도 좋습니다 대통령은 말로 일하고 군수는 발로 일합니다 2장. 함명준, 이렇게 뛰어다녔습니다 준비가 되어야 미래를 열 수 있습니다 세 가지 슬로건으로 고성을 만들어갔습니다 고성의 미래를 크게 그려야 합니다 ① 일자리와 희망이 넘치는 고성_전통시장과 소상공인 ① 일자리와 희망이 넘치는 고성_청년 일자리 창출과 중소기업 육성 ① 일자리와 희망이 넘치는 고성_귀농·귀촌 지원과 스마트 농업·스마트 양식 ① 일자리와 희망이 넘치는 고성_해양심층수 산업과 지역 향토기업 육성 ② 신해양관광도시 건설_관광 고성의 현재 ② 신해양관광도시 건설_고성통일명태축제와 관광 고성의 현재 ② 신해양관광도시 건설_통일 관광 인프라 확충 ② 신해양관광도시 건설_해양레저 관광 인프라 확충 ② 신해양관광도시 건설_특색 있는 해양도시, 고성 ③ 군민을 섬기는 소통 행정_군민과의 소통 강화 ③ 군민을 섬기는 소통 행정_투명한 인사 시스템 도입과 적극행정 사례 ③ 군민을 섬기는 소통 행정_장기복무 제대군인 정착 및 전입군인 복지지원 ③ 군민을 섬기는 소통 행정_공교육 지원 확대와 평생교육 지원 ④ 함께 누리는 행복한 나눔 복지_금강쪽빛 DMZ 복합커뮤니티센터 건립 ④ 함께 누리는 행복한 나눔 복지_노인복지 확대 ④ 함께 누리는 행복한 나눔 복지_적극적 보건 행정 ⑤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품격 있는 정주환경_정주여건 개선 ⑤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품격 있는 정주환경_도시가스 공급 ⑤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품격 있는 정주환경_제생병원 개원과 스포츠 인프라 확충 ⑤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품격 있는 정주환경_도서관 신축 및 리모델링 ⑤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품격 있는 정주환경_화재 예방과 피해 복구 ⑤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품격 있는 정주환경_정주여건 개선과 관광의 연계 ⑤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품격 있는 정주환경_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⑥ 누구나 살고 싶은 스마트 농산어촌 구축_비닐하우스, 잎새버섯, 양봉, 칡소 ⑥ 누구나 살고 싶은 스마트 농산어촌 구축_고령 농업인 농작업 지원 ⑥ 누구나 살고 싶은 스마트 농산어촌 구축_미래 농업 인재 육성 ⑥ 누구나 살고 싶은 스마트 농산어촌 구축_안정적 소득 창출 구조 확립 ⑦ 남북을 잇는 평화 발전 시대_특수상황지역 개발사업 국비 확보 3장. 함명준이 바라보는 고성의 미래 비전 당연히 누리고 사는 고성을 만들어야 합니다 동해북부선과 환동해 경제벨트는 지역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금강산 관광이 재개되면 고성은 달라져야 합니다 고성, 체류형 관광지로 거듭나야 한다 설악밸리 관광단지와 복합리조트 조성 안동 하회마을을 통해 본 고성 마케팅 왕곡마을을 어떻게 홍보할 것인가? 고성, 체험형 관광지로 거듭나야 한다 송지원 한옥마을 조성 + 온천 개발 해양레저 관광단지를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난개발을 막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해양레저 관광단지를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즐거움과 행복을 주는 고성 고성의 도시재생사업 어떻게 할 것인가 공공성으로 가야 합니다 고성의 도시재생사업 어떻게 할 것인가 우리 동네 살리기 ‘거진다드림 세비촌’의 사례 해양심층수 산업 어떻게 지원해야 하나 사람들은 해양심층수가 왜 좋은지 모릅니다 해양심층수 산업 어떻게 지원해야 하나 바람 불기를 기다릴 것인가, 노를 저을 것인가? 부·울·경 메가시티로 보는 동서고속화철도와 속초·고성·양양 통합 생활권 4장. 함명준, 아직 할 일이 많습니다 코로나는 전화위복의 기회입니다 고성형 일자리로 자립 지자체를 만들겠습니다 휴(休)를 누리는 관광·해양 플랫폼을 만들고 싶습니다 군민과 함께하는 감동행정은 계속되어야 합니다 오감을 만족시키는 맞춤형 복지로 복지를 업그레이드하겠습니다 삶의 질을 높이는 정주환경 건설에 집중하겠습니다 풍요롭고 자생력 있는 선진화된 농산어촌을 육성해나가겠습니다 지속 가능한 평화지대화를 조성해나가겠습니다 덧붙임_2020~2021년 수상내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