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4327 | |
005 | 20220527100752 | |
007 | ta | |
008 | 220428s2022 ulka FC 000c kor | |
020 | ▼a 9791185939889 ▼g 03700 | |
035 | ▼a (KERIS)BIB000016156880 | |
040 | ▼a 248009 ▼c 248009 ▼d 211009 | |
082 | 0 4 | ▼a 808 ▼2 23 |
085 | ▼a 808 ▼2 DDCK | |
090 | ▼a 808 ▼b 2022z6 | |
110 | ▼a 글쓰기 교재편찬위원회 | |
245 | 1 0 | ▼a 열린 사고와 표현 = ▼x Open thinking & expression / ▼d 글쓰기 교재편찬위원회 |
246 | 3 1 | ▼a Open thinking and expression |
260 | ▼a 서울 : ▼b 인문과교양, ▼c 2022 | |
300 | ▼a 248 p. : ▼b 삽화 ; ▼c 26 cm | |
500 | ▼a 저자: 정찬영, 주지현 | |
700 | 1 | ▼a 정찬영, ▼g 鄭燦榮, ▼d 1965-, ▼e 저 ▼0 AUTH(211009)58938 |
700 | 1 | ▼a 주지현, ▼g 周志炫, ▼d 1982-, ▼e 저 ▼0 AUTH(211009)141660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08 2022z6 | 등록번호 11186299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언어는 그릇이며 담을 게 없는 그릇은 쓸모가 없다는 점에서 글쓰기 교육은 비판적이고 합리적인 사고와 의사소통의 방법을 자신의 삶은 물론 공동체의 삶과 연관시키는 훈련이 되어야 한다. 곧 읽고, 쓰고, 이해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자신이 만든 생각과 문제에 대해 해결책을 고안하는 과정의 훈련을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글쓰기 교육은 대학에서 학문을 탐구할 때 필요한 기초능력일 뿐 아니라 직업세계가 요구하는 필수능력이며, 학문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종합적인 사고력과 의사소통능력을 통합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또한 최근 융·복합형 또는 통섭형 학문의 부각과 교양교육의 강화라는 시대적 요청에 부응해야 한다.
이 책은 이러한 요구에 응하고자 이해력과 사고력 계발에 바탕을 두고 읽기-쓰기 과정의 경험을 통해 학문 탐구의 기초능력을 배양하고, 나아가 기업경영인들이 요구하는 탁월한 의사소통능력과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한다. 텍스트 이해능력에 바탕을 둔 사고력 계발과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은 문제해결능력을 고양하는 글쓰기 교육의 지향이며 교양교육의 본질을 잘 살리는 길이기 때문이다.
글쓰기는 99%의 THINK와
1%의 INK로 이루어진다.
언어는 그릇이며 담을 게 없는 그릇은 쓸모가 없다는 점에서 글쓰기 교육은 비판적이고 합리적인 사고와 의사소통의 방법을 자신의 삶은 물론 공동체의 삶과 연관시키는 훈련이 되어야 한다. 곧 읽고, 쓰고, 이해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자신이 만든 생각과 문제에 대해 해결책을 고안하는 과정의 훈련을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글쓰기 교육은 대학에서 학문을 탐구할 때 필요한 기초능력일 뿐 아니라 직업세계가 요구하는 필수능력이며, 학문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종합적인 사고력과 의사소통능력을 통합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또한 최근 융·복합형 또는 통섭형 학문의 부각과 교양교육의 강화라는 시대적 요청에 부응해야 한다.
이 책은 이러한 요구에 응하고자 이해력과 사고력 계발에 바탕을 두고 읽기-쓰기 과정의 경험을 통해 학문 탐구의 기초능력을 배양하고, 나아가 기업경영인들이 요구하는 탁월한 의사소통능력과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한다. 텍스트 이해능력에 바탕을 둔 사고력 계발과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은 문제해결능력을 고양하는 글쓰기 교육의 지향이며 교양교육의 본질을 잘 살리는 길이기 때문이다.
■ 저자 소개
정찬영
부산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동서대학교 교수로 일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한국 증언소설의 논리』, 『한국 근현대 문학의 재인식』, 『글쓰기와 의사소통』, 『글말의 힘』, 『경계를 넘는 글쓰기』, 『자기표현과 글쓰기』, 『비판적 사고와 글쓰기』 등이 있으며, 공저로는 『역사의 그늘, 문학의 길』, 『김종출 문학전집』, 『근현대 부산·경남 항쟁문학 사료집』, 『유쾌한 한국어』등이 있다.
주지현
부산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한국어교육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 현재 동서대학교 교수로 일하고 있다. 동서대학교, 부산대학교, 중국 우한 중남재경정법대학교에서 한국어 강의를 하였으며, 공저로 『자기표현과 글쓰기』, 『창의적 글쓰기와 의사소통』, 『비판적 사고와 의사소통』, 『유쾌한 한국어』가 있다.
정보제공 :

목차
머리말 글쓰기는 99%의 THINK와 1%의 INK로 이루어진다. PART 1 이해의 폭 넓히기 01 세계를 이해하는 모형 02 언어를 바라보는 관점 03 다양한 해석을 인정하는 읽기 04 통합적인 과정을 이해하는 읽기 PART 2 생각의 힘 기르기 01 생각의 기준 잡기 02 합리적으로 생각하기 03 원론적 사유로 딜레마 극복하기 04 여러 관점으로 바라보기 05 선입견에서 벗어나기 PART 3 표현의 기술 익히기 01 글쓰기의 필요성 02 통합적 글쓰기의 시작 03 논리적 글쓰기의 이해 04 논리적 글쓰기의 실제 05 창의적 글쓰기의 이해 06 창의적 글쓰기의 실제 07 글쓰기의 완성 PART4 의미 있는 소통 시작하기 01 생각 갈무리하기: 리포트 쓰기 02 생각 펼치기: 발표하기 03 생각 나누기: 토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