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4234 | |
005 | 20220525172255 | |
007 | ta | |
008 | 220428s2022 bnk 000cl kor | |
020 | ▼a 9791197782404 ▼g 03810 | |
035 | ▼a (KERIS)BIB000016215258 | |
040 | ▼a 242002 ▼c 242002 ▼d 211009 | |
082 | 0 4 | ▼a 895.735 ▼2 23 |
085 | ▼a 897.37 ▼2 DDCK | |
090 | ▼a 897.37 ▼b 정광민 시 | |
100 | 1 | ▼a 정광민, ▼d 1958- ▼0 AUTH(211009)20329 |
245 | 1 0 | ▼a 시월, 청년이 온다 : ▼b 부마항쟁 다큐소설 / ▼d 정광민 지음 |
260 | ▼a 부산 : ▼b 현대사리뷰, ▼c 2022 | |
300 | ▼a 322 p. ; ▼c 23 cm |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37 정광민 시 | 등록번호 11186289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목이 터져라 독재타도를 외쳤던 부마항쟁, 그로부터 42년 아직 이야기되지 않은, 이제는 이야기되어야 할 진실. 부마항쟁에 참여해 두 번의 옥살이를 한 작가가 몸속에 박혀 있던 가시를 뽑는 심정으로 써 내려간 다큐소설이다.
목이 터져라 독재타도를 외쳤던 부마항쟁, 그로부터 42년
아직 이야기되지 않은, 이제는 이야기되어야 할 진실
부마항쟁에 참여해 두 번의 옥살이를 한 작가가
몸속에 박혀 있던 가시를 뽑는 심정으로 써 내려간 다큐소설
개인적 체험으로 말한다면 ‘나의 현대사’는 1979년 10월 16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날 부산대 학생들은 하늘을 찌를 듯한 기세로 “독재타도”를 외쳤다. 이 시위는 부산·마산의 시민항쟁으로 번졌다. 40년의 세월이 흐른 2019년, 이날은 부마민주항쟁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다.
지난 세월 동안 많은 일이 있었다. 60대 중반의 나이가 되어서 스스로를 돌아보는 일이 자주 있다. 행운보다는 불행이 더 많았다. 무명의 용사가 민주화를 외치면서 ‘역사’에 도전했던 후과가 결코 가볍지 않았다.
내가 겪은 삶은 신산했다. 부마항쟁으로 두 번의 옥살이를 했는데 이미 지난 일이 되었다. 내 몸속에 가시가 박힌 것은 그 후였다. 나는 한시도 편하지 않았다. 원인을 생각해 보면 그것은 알려지지 않은 사건과 관련된 것이었다. 나는 젊은 날 부산의 반제청년동맹에 관계했다. 조직 생활은 오래가지 않았지만 고통스러운 체험이었다.
이 글은 내 몸에 박힌 가시를 뽑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다. 나는 누구를 원망하기 위해 글을 쓰지 않았다. 내가 걸어왔던 길을 돌아보고 성찰하고자 했다. 가장 큰 문제는 과거의 드러나지 않은 사건을 어떻게 이야기할 것인가 하는 것이었다. 고민 끝에 착안한 것은 다큐소설적 방법이었다.
― ‘작가의 말’ 중에서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작가의 말 제1부 괴편지: 신영복의 비석 괴편지: 신영복의 비석 3인의 회동 민주제 對 군주제 신부의 훈장 탐문 나의 시작은 나의 끝이었다 4인 4색 신영복이 쓴 제호: 우붕잡억 지셴린의 반사反思 우민끼의 ‘10월 민주항쟁정신’ 사이공의 흰옷과 하얀 아오자이 제2부 벌교, 만절필동, 토착왜구 벌교 순수한 자유주의자 부역자 중국몽 북한식 역사공정 신영복주의자 부산대의 10 · 16 지역사회문제자료연구실 필사筆寫 만세, 만세, 자유여! 회고 김하기의 증언 단서 사람 사는 세상 만절필동과 토착왜구 제3부 고백: 반제청년동맹 부림사건: 주사파와 볼세비즘 역모의 님들께 남도주체사상연구회 6 · 25의 기억: 유시민과 조정래와 최송죽 비석 타도 투쟁 고백: 반제청년동맹 윤한봉의 충격 10 · 26의 회상: 박정희와 김재규 부산 좌익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 전前 근대를 위한 전사戰士 독립좌파를 말하다 꿈속의 외침 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