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4095 | |
005 | 20220504165824 | |
007 | ta | |
008 | 220427s2021 ulkad b 000c kor | |
020 | ▼a 9791163282389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5752948 | |
040 | ▼a 247017 ▼c 247017 ▼d 211009 | |
082 | 0 4 | ▼a 370.117 ▼2 23 |
085 | ▼a 370.117 ▼2 DDCK | |
090 | ▼a 370.117 ▼b 2021z1 | |
100 | 1 | ▼a 신재흡, ▼g 申在洽, ▼d 1960- ▼0 AUTH(211009)30993 |
245 | 2 0 | ▼a (글로벌 시대의 문화다양성을 위한) 다문화사회와 교육 / ▼d 신재흡 저 |
260 | ▼a 서울 : ▼b 동문사, ▼c 2021 | |
300 | ▼a 353 p. : ▼b 삽화, 도표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 p. 339-353 | |
650 | 0 | ▼a Multicultural education ▼z Korea (South) |
650 | 0 | ▼a Multiculturalism ▼x Study and teaching ▼z Korea (South) |
650 | 0 | ▼a Cultural pluralism ▼x Study and teaching ▼z Korea (South)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117 2021z1 | 등록번호 111864292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2-07-23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신재흡(지은이)
[경력] 한국교원교육학회 감사 및 홍보기금위원장, 대외협력위원장, 중등교육위원장(역임) 한국교육학회 선거관리위원장 한국교육정책연구소 전문위원 현) 한국교원교육학회 부회장 선출위원장 한국교육행정학회 이사, 주삼환 교육리더십상위원회 위원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부회장 한성대학교 교양교직학부 교직과정/교육대학원 교수 [저서] 서양교육변천사 탐구(교육과학사, 2021) 한국교육변천사 탐구(동문사, 2020) 교육학개론(동문사, 2015) 한국 교육행정발달사 탐구(공)(집문당, 2005) 학교경영의 이론과 실제(공)(학이당, 2006) 외 다수

목차
01 한국 다문화사회의 이해 제1절 다문화사회의 이해 1. 다문화 개념 2. 다문화사회의 등장과 의미 3. 다문화사회의 유형 제2절 다문화주의 제3절 다문화사회의 특징과 발전과정 1. 다문화사회의 특징 2. 한국 다문화사회의 발전과정 02 한국 다문화사회의 현황 제1절 국내 체류 외국인 현황 제2절 국내 다문화가정 현황 1. 결혼이민자 2. 이주노동자 3. 새터민 4. 난민 제3절 다문화가정 학생의 실태 1. 다문화가정 학생(자녀)의 증가 2. 다문화가정 학생의 유형별 교육기관 재적 현황 3. 중도입국 자녀 4. 외국인 근로자 자녀 제4절 다문화가정의 문제점 1. 국제결혼가정의 현황과 문제점 2. 이주노동자가정의 현황과 문제점 3. 새터민가정의 현황과 문제점 제5절 다문화가정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 제6절 다문화사회와 인권 03 다문화교육의 의미와 역사 제1절 다문화교육 제2절 다문화교육의 역사적 배경 제3절 다문화교육의 실행 형태 1. 학교에서의 다문화교육 2. 다문화교사교육 3. 다문화가정 부모교육 4. 다문화가정 자녀교육 5. 사회에서의 다문화교육 제4절 국내 다문화교육 지원기관 1. 여성가족부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2. 교육부의 다문화교육기관 제5절 학교 다문화교육정책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04 다문화교육의 이해 제1절 다문화교육의 정의 제2절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제3절 다문화교육의 목적 및 목표 1. 다문화교육의 목적 2. 다문화교육의 목표 제4절 다문화교육의 범주 제5절 다문화교육의 접근방법 제6절 다문화교육의 구성요소 제7절 다문화교육의 유형 제8절 한국 다문화교육의 실행 전략 05 다문화교육의 내용 제1절 다문화교육의 방향 제2절 다문화교육의 대상 제3절 다문화교육 체계와 교육과정모형 제4절 교수-학습 원리 제5절 다문화교육의 내용 제6절 다문화교육 내용 요소 제7절 다문화학교의 특성 1. 베넷의 다문화학교 개념 2. 뱅크스의 다문화학교 특성 06 다문화교육과정 개발 및 모형 제1절 다문화교육과정 개발 방향 1. 국가수준 개정교육과정의 다문화교육 요소 제2절 다문화 친화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지향점 제3절 다문화 친화적 교육과정의 구성 원리 제4절 다문화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접근모형 1. 교육부 모형 2. 뱅크스 모형 3. 다문화 접근법 수업모형 4. 장인실 모형 5. 베넷의 의사결정모형 6. 게이의 ‘다문화교육과 핵심적 학습 기술 통합’ 모델 7. 슬리터와 그랜트 모형 07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법 제1절 다문화 교수-학습방법을 위한 이론적 기초 제2절 다문화교육의 효과적인 교수방법 1. 뱅크스 다문화교육 접근법 2. 문화반응교수법 3. 공평교수법 4. 협동학습 5. 프로젝트 접근법 08 다문화교육의 실천 제1절 유아다문화교육 프로그램 1. 표준보육과정과 다문화교육 2. 누리과정과 다문화교육 3. 유아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제2절 초등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제3절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교육 1.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의 목적과 의의 2.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수업의 설계 3.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수업안의 사례(실제) 제4절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1.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다문화교육의 의미와 의의 2.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유형 3. 지역사회 자원 활용 시 유의점 제5절 다문화 도서를 활용한 다문화교육 1. 다문화 도서의 개념 2. 다문화 도서의 교육적 의의와 효과 3. 다문화 도서의 종류 4. 다문화 도서를 활용한 다문화수업의 실제 〈금희의 여행〉 09 세계 주요국의 다문화정책과 다문화교육 제1절 미국 1. 미국 다문화 현황 2. 미국의 다문화교육정책 3. 미국 다문화교육 제2절 캐나다 1. 캐나다 다문화정책의 사회적ㆍ역사적 배경 2. 캐나다의 이민정책 3. ‘다문화주의’ 정책 4. 캐나다의 다문화교육 제3절 호주 1. 호주의 다문화교육 제4절 일본 제5절 독일 제6절 영국 제7절 프랑스 제8절 중국 제9절 주요 국가의 다문화교육정책의 시사점 및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