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4064 | |
005 | 20221007135422 | |
007 | ta | |
008 | 220427s2022 ulkaj 000c kor | |
020 | ▼a 9791188941766 ▼g 04300 | |
020 | ▼a 9791188941728 (세트) | |
035 | ▼a (KERIS)BIB000016096701 | |
040 | ▼a 241002 ▼c 241002 ▼d 211009 | |
082 | 0 4 | ▼a 330.122 ▼2 23 |
085 | ▼a 330.122 ▼2 DDCK | |
090 | ▼a 330.122 ▼b 2022 | |
100 | 1 | ▼a 고봉준, ▼g 高奉準, ▼d 1970- ▼0 AUTH(211009)15392 |
245 | 1 0 | ▼a 자본의 역습 = ▼x Economy : ▼b 경제학적 상상과 비판 / ▼d 고봉준 지음 |
260 | ▼a 서울 : ▼b 소소의책, ▼c 2022 | |
300 | ▼a 311 p., 접지 [1]장 : ▼b 삽화, 연대표 ; ▼c 21 cm | |
490 | 1 0 | ▼a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우리가 사는 세계 = ▼a (Humanitas College, Kyung Hee University) the world we live in |
830 | 0 | ▼a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우리가 사는 세계 |
830 | 0 | ▼a 우리가 사는 세계 |
830 | 0 | ▼a Humanitas College, Kyung Hee University the world we live in |
830 | 0 | ▼a World we live in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0.122 2022 | Accession No. 11186426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경제적인 측면에서 보면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은 ‘자본주의의 등장’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렇다면 자본주의는 왜,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이 책은 일상생활 속의 사례를 들어 돈과 자본, 물건과 상품, 일과 노동 등과 같이 자본주의를 이해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단어부터 누구나 알기 쉽게 설명한다.
애덤 스미스, 칼 마르크스, 케인스 같은 경제학자들의 논리와 주장을 비롯해 자본주의의 맨얼굴을 드러낸 문학 작품과 영화, 21세기의 세계경제를 지배하는 금융자본주의의 본질, 공유경제로 대표되는 플랫폼 경제, 인공지능 시대의 데이터 자본주의까지 자본주의의 역사를 개괄하면서 현대 자본주의의 성격과 우리가 사는 세계의 경제 원리에 눈뜨게 해주고 그 흐름을 한눈에 살펴보게 해준다.
자본주의, 이대로 정말 괜찮을까?
다양한 사례로 쉽게 읽고 이해하는 자본주의의 역사
경제적인 측면에서 보면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은 ‘자본주의의 등장’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렇다면 자본주의는 왜,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근․현대를 설명하는 가장 강력한 키워드 중 하나인 자본주의를 옹호하거나 비판하는 사람은 많지만 의외로 자본주의가 무엇인지를 제대로 이해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따라서 이 책은 일상생활 속의 사례를 들어 돈과 자본, 물건과 상품, 일과 노동 등과 같이 자본주의를 이해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단어부터 누구나 알기 쉽게 설명한다. 애덤 스미스, 칼 마르크스, 케인스 같은 경제학자들의 논리와 주장을 비롯해 자본주의의 맨얼굴을 드러낸 문학 작품과 영화, 21세기의 세계경제를 지배하는 금융자본주의의 본질, 공유경제로 대표되는 플랫폼 경제, 인공지능 시대의 데이터 자본주의까지 자본주의의 역사를 개괄하면서 현대 자본주의의 성격과 우리가 사는 세계의 경제 원리에 눈뜨게 해주고 그 흐름을 한눈에 살펴보게 해준다.
‘우리가 사는 세계’를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일 것인가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와 소소의책이 함께 기획한 교양 인문서 시리즈
지금 우리는 어떠한 세계에 살고 있을까? 인류는 오래전 지구상에 나타났지만 오늘날 우리가 경험하는 문명은 약 500년 전 유럽에서 시작되었다. 그것은 ‘근대 문명’이라 통칭하는, 현대 세계를 만든 획기적인 변화였다. 따라서 근대 문명을 어떻게 이해하고 수용할 것인가는 곧 ‘우리가 사는 세계’를 아는 것과 맞닿아 있다.
근대 문명은 이전 시대의 문제와 모순을 어떻게 해결하려 했을까? 근대 문명이 이룬 독특한 성취는 무엇이고, 그것들은 현대까지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이러한 질문은 인간과 세계를 탐구하는 교양 인문학의 토대로서 이 시리즈를 출간하는 동기이기도 하다.
근대 문명의 전개 과정과 맥락을 꼼꼼히 짚어내는 ‘우리가 사는 세계’ 시리즈는 지난 10여 년간 실용 학문에 치중하는 대학 교육에서 교양교육으로의 이행을 위해 설립된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와 소소의책이 함께 기획한 교양 인문서다. 인간이 세계를 인식하는 방식에서 획기적인 변혁을 일으킨 과학혁명, 근대 계몽사상의 등장, 프랑스 혁명과 같은 정치적 격변, 산업혁명을 거치며 탄생한 자본주의, 급격한 사회 변동과 개인주의의 등장 등으로 영역을 나누어 누구나 쉽게 근대 문명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체화했다. 물론 근대 문명의 탄생 과정은 주로 16세기 이후의 서구 문명을 다루지만 19세기의 제국주의 시대에 동아시아에 미친 영향도 함께 살핀다. 또한 그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21세기 미래에 대한 전망도 세워본다. 이 시리즈는 다음과 같이 다섯 권으로 구성된다.
•과학혁명 _근대에서 제4차 산업혁명까지(근간)
•계몽의 시대 _사상의 전통과 가치
•왜 국가인가 _근대 국가와 정치혁명
•자본의 역습 _경제학적 상상과 비판
•개인의 탄생 _대도시와 시공간의 재편(근간)
자본주의를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일 것인가
근대 이후의 경제사적 핵심 논점과 흐름을 명확하게 짚어주는 책
‘바보야, 문제는 경제야!’ 199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빌 클린턴이 사용한 선거운동 구호다. 당시 미국의 대통령 선거는 냉전 붕괴와 걸프전 승리 같은 정치적․이념적 자산을 앞세운 공화당 조지 부시의 손쉬운 재선이 예상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클린턴은 미국인들의 시선을 ‘경제’에 집중시킴으로써 부시 행정부의 약점을 드러냈고, 그 전략은 적중했다. 정치나 이념보다는 먹고사는 문제가 유권자의 표심을 흔들었던 것이다. 이제 세계 각국의 정치인들은 국민의 지지를 얻기 위해 경제를 전면에 내세운다.
그런데 오늘날 우리는 근대 자본주의가 만들어낸 경제 질서 아래서 끊임없이 경제활동을 하면서도 자본주의가 어떻게 탄생했고, 그 본질이 무엇인지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다. 물론 자본주의가 왜, 어떻게 시작되었는지에 대한 논의는 20세기 초반부터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도 계속되겠지만 영국의 산업혁명을 계기로 자본주의가 지배적 이데올로기로 자리잡기 시작했다는 것만은 분명한 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대항해 시대(15~17세기)를 거쳐 부에 대한 사람들의 관념이 달라지고 산업구조가 개편되면서 강력한 신분제로 유지되던 중세의 질서는 속절없이 무너졌다. 공장이라는 새로운 공간에서 자본, 기계, 노동력이 결함됨으로써 산업자본주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이 시기에 자본주의를 옹호하며 이론적으로 정초한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과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지적한 칼 마르크스의 [자본론]이 출간되어 자본주의에 대해 전혀 다른 입장을 보여주었다. 그 외에도 노동가치론과 공리주의적 시각을 통합한 존 스튜어트 밀, 토지 공유의 필요성을 주장한 헨리 조지 등이 근대 경제학의 이론적 기틀을 마련했다. 이들의 저작과 주장을 통해 우리는 자본주의의 본질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 이 책은 또한 윌리엄 블레이크, 발자크, 에밀 졸라 등 18~19세기에 활동한 시인과 소설가의 작품에 드러난 산업혁명 초기의 가혹한 아동노동과 돈에 사로잡힌 사회 타락상 같은 자본주의의 폐해도 소개한다.
21세기를 주도하는 새로운 자본과 경제체제
부의 양극화와 자본에 포섭된 삶으로의 피할 수 없는 여정
이 책은 근대 이후 자본주의의 역사를 개괄한다. 산업혁명 이후 성장을 계속하던 자본주의는 20세기 초로 접어들면서 심각한 불황을 맞았다. 그것은 성장과 붕괴, 활황과 불황을 되풀이하는 자본주의의 속성이기도 했다. 유럽에서 시작된 자본의 위기는 미국으로 건너갔고 20년 넘게 지속된 장기 불황이 이어졌다. 그러는 중에도 산업화의 규모가 엄청 커져서 대형 공장과 수많은 노동자를 필요로 하는 산업자본주의의 정점을 향해 치닫고 있었다. 한편 미국에서는 대량생산체제와 교통의 발달에 힘입은 전국적인 유통망 구축으로 인해 독점자본주의가 등장했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경제대국의 지위에 올라선 미국은 국내시장을 기반으로 성장을 거듭했지만 1929년 대공황에 직면하면서 과잉자본, 과잉생산의 문제가 자본주의의 구조적 모습이라는 주장에 힘이 실렸다.
두 차례의 세계대전 이후에는 약 30년간 ‘자본주의의 황금시대’라고 일컬어질 만큼 세계경제가 빠른 성장세를 기록했다. 하지만 그것도 오래가지 못했다. 미국이 달러의 금 태환(브레턴우즈 협정)을 포기하고 중동전쟁과 두 차례의 오일쇼크를 겪으면서 실업이 증가하고 인플레이션이 가속화하여 세계경제는 앞날이 불투명해졌다. 바로 그 무렵 영국과 미국에서 준비된 것이 ‘자본의 역습’, 즉 신자유주의였다.
20세기 자본주의의 역사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된다. 1920년대 말에 시작된 대공황을 타개하기 위해 등장한 케인스주의의 영향력과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황금시대이다. 그런데 시장에 대한 정부의 개입과 사회보장제도 등을 통한 복지국가를 강조한 케인스주의가 쇠퇴하면서 등장한 신자유주의는 시장에 대한 정부 규제의 완화, 노동시장의 유연화, 자본의 자유로운 이동, 복지 혜택의 축소 등을 가시화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확장되었고 그로 인해 다양한 경제적․사회적 현상이 발생했다. 지금은 경제가 정치를 압도하고 우리의 현실과 사회 질서의 가치척도로 작동하고 있다. 물론 그 핵심은 ‘자본주의’다.
애덤 스미스는 [국부론]을 통해 경제학의 탄생을 알리며 근대 자본주의의 원리를 정립했지만 자본주의의 역사는 애덤 스미스가 생각한 대로 흘러오지 않았다. 그는 자본주의의 최대 장점으로 자유경쟁을 꼽았으나, 20세기 이후 시장에서 그러한 경우는 예외적일 정도로 드물었다. 이처럼 자본주의는 끊임없이 변화해왔고, 많은 사람들의 예측과 논리대로 흘러오지 않았고,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다. 때문에 이 책의 후반부에서 다루는, 우리의 현실과 맞닿아 있는 금융자본주의, 플랫폼 자본주의, 데이터 자본주의 등에도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자본주의의 역사는 결국 ‘부’, ‘잉여가치’를 만들어내는 방식의 역사이다. 따라서 현대 자본주의의 성격을 이해하려면 오늘날 시장과 기업이 어떤 방식으로 ‘부’와 ‘잉여가치’를 생산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면 된다. 자본주의에 대한 이해는 바로 이 지점에서 다시 시작되어야 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고봉준(지은이)
1970년 부산에서 태어나 충렬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89년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했다. 1995년 같은 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해 <해방기 전위시의 양식 선택과 세계 인식>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고, 2005년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미적 근대성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0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문학평론이 당선되어 등단했으며, 2006년 제12회 고석규비평문학상을, 2015년 제16회 젊은평론가상을, 2017년 제21회 시와시학상 평론상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는 ≪반대자의 윤리≫, ≪다른 목소리들≫, ≪모더니티의 이면≫, ≪유령들≫, ≪비인칭적인 것≫, ≪근대시의 이념들≫, ≪문학 이후의 문학≫ 등이 있다. 현재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Table of Contents
ㆍ추천의 말|서구는 어떻게 세계를 지배하게 되었는가 ㆍ들어가는 말|부와 잉여가치의 역사 제1부 자본주의의 탄생 01 이윤을 탐하지 말라 02 돈과 자본은 어떻게 다른가 03 호모 이코노미쿠스의 등장 04 매뉴팩처에서 공장으로 05 그 많은 노동자는 어디서 왔을까? 06 삶의 터전이냐, 경제개발이냐 07 경제학의 탄생 08 자본의 얼굴을 한 야만 09 바보야, 문제는 분배야! 10 잃어버린 영혼 제2부 극단의 시대 11 불황이 탄생시킨 독점자본 12 약탈의 경제 13 무너지는 자본주의 14 ‘보이는 손’ 국가의 개입 15 자본주의의 황금시대 16 검은 황금의 보복 제3부 21세기 자본 17 모두를 기울어진 운동장에 세우다 18 월스트리트는 왜 점령당했을까? 19 국경이 사라진 경제 20 신자유주의는 ‘민영화’를 좋아해! 21 모두를 위한 불평등 22 ‘나’라는 이름의 주식회사 23 공유하지 않는 ‘공유경제’ 24 고용 없는 성장의 미래 ㆍ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