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4040 | |
005 | 20220504091612 | |
007 | ta | |
008 | 220427s2019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61874434 ▼g 93910 | |
035 | ▼a (KERIS)BIB000015337739 | |
040 | ▼a 211048 ▼c 211048 ▼d 211009 | |
082 | 0 4 | ▼a 951.901 ▼2 23 |
085 | ▼a 953.04 ▼2 DDCK | |
090 | ▼a 953.04 ▼b 2019z10 | |
110 | ▼a 동북아역사재단. ▼b 한국고중세사연구소 | |
245 | 1 0 | ▼a 고려의 국가의식과 동아시아 / ▼d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 편 |
260 | ▼a 서울 : ▼b 동북아역사재단, ▼c 2019 | |
300 | ▼a 311 p. ; ▼c 24 cm | |
490 | 1 0 | ▼a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총서 ; ▼v 87 |
500 | ▼a 저자: 윤경진, 신안식, 추명엽, 허인욱, 김윤정, 한정수, 서금석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651 | 0 | ▼a Korea ▼x History ▼y Koryŏ period, 935-1392 |
700 | 1 | ▼a 윤경진, ▼e 저 |
700 | 1 | ▼a 신안식, ▼e 저 |
700 | 1 | ▼a 추명엽, ▼e 저 |
700 | 1 | ▼a 허인욱, ▼e 저 |
700 | 1 | ▼a 김윤정, ▼e 저 |
700 | 1 | ▼a 한정수, ▼e 저 |
700 | 1 | ▼a 서금석, ▼e 저 |
830 | 0 | ▼a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총서 ; ▼v 87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4 2019z10 | 등록번호 111864236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2-07-16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발간사 머리말 제1장 고려 왕조의 건국 이념 고려 건국기의 삼한일통의식(三韓一統意識)과 ''해동천하(海東天下)'' 인식_윤경진 Ⅰ. 머리말 Ⅱ. 후삼국 분열과 고려의 삼한일통의식(三韓一統意識) Ⅲ. 고려의 ''해동천하''인식 Ⅳ. 맺음말 고구려 계승, ''고려(高麗)'' 경계(境界) 인식_신안식 Ⅰ. 머리말 Ⅱ. 고려의 고구려 계승의식 Ⅲ. 고려의 경계 인식 Ⅳ. 맺음말 제2장 고려 왕조의 정체성 고려의 다원적 종족 구성과 ''아국(我國) · 아동방(我東方) 의식의 추이_추명엽 Ⅰ. 머리말 Ⅱ. 고려의 다원적 종족 구성과 ''종족'' 인식 Ⅲ. 고려의 ''아국(我國) · 아동방(我東方)'' 의식 추이와 ''고려인''·''조선'' Ⅳ. 맺음말 군주호(君主號)로 본 고려 전기의 대외인식_허인욱 Ⅰ. 머리말 Ⅱ.여러 ''천자(天子)''의 시대와 고려의 ''해동천자'' Ⅲ. 고려 대왕의 위상과 국제질서 Ⅳ. 맺음말 외래문화 유입과 토풍(土風)·화풍(華風)의 관계_김윤정 Ⅰ. 머리말 Ⅱ. 외래문화 유입과 토풍 · 화풍 갈등 Ⅲ. 토풍 · 화풍의 조화와 토풍의 재구성 Ⅳ. 맺음말 제2장 고려 왕조의 국가의례 고려시대 국가의례의 설행(設行)과 통합의식(統合意識)_한정수 Ⅰ. 머리말 Ⅱ. 삼교(三敎) · 선랑 · 토속신앙 등에 대한 논의와 국가의례 Ⅲ. 태조 추숭과 팔관회에 나타난 통합기제와 의식 Ⅳ. 맺음말 속절(俗節)을 통해 본 고려의 시간 질서_서금석 Ⅰ. 머리말 Ⅱ. 상원을 통해 본 천시와 인시 Ⅲ. 상사의 오행적 인식과 운용 Ⅳ. 중구의 고려적 운영과 시연(詩宴) Ⅴ. 맺음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