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초기 교회의 기원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Dunn, James D. G., 1939-2020 문현인, 역
서명 / 저자사항
초기 교회의 기원 / 제임스 D.G. 던 지음 ; 문현인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새물결플러스,   2019  
형태사항
2책 (1783 p.) : 삽화 ; 24 cm
원표제
Beginning from Jerusalem
ISBN
9791161291130 (상) 9791161291147 (하) 9791161291123 (세트)
서지주기
참고문헌(p. 1615-1703)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Church history --Primitive and early church, ca. 30-600.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3282
005 20220630160522
007 ta
008 220413s2019 ulka 001c kor
020 ▼a 9791161291130 (상) ▼g 94230
020 ▼a 9791161291147 (하) ▼g 94230
020 1 ▼a 9791161291123 (세트)
035 ▼a (KERIS)BIB000015347290
040 ▼a 011001 ▼c 011001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270.1 ▼2 22
085 ▼a 270.1 ▼2 DDCK
090 ▼a 270.1 ▼b 2019z1
100 1 ▼a Dunn, James D. G., ▼d 1939-2020 ▼0 AUTH(211009)73113
245 1 0 ▼a 초기 교회의 기원 / ▼d 제임스 D.G. 던 지음 ; ▼e 문현인 옮김
246 1 9 ▼a Beginning from Jerusalem
260 ▼a 서울 : ▼b 새물결플러스, ▼c 2019
300 ▼a 2책 (1783 p.) : ▼b 삽화 ; ▼c 24 cm
504 ▼a 참고문헌(p. 1615-1703)과 색인수록
630 0 0 ▼a Bible. ▼p New Testament ▼x Criticism, interpretation, etc.
650 0 ▼a Church history ▼y Primitive and early church, ca. 30-600.
700 1 ▼a 문현인, ▼e▼0 AUTH(211009)63462
900 1 0 ▼a 던, 제임스 D. G.,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270.1 2019z1 1 등록번호 1118630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270.1 2019z1 2 등록번호 1118630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기원후 30-70년의 최초기 교회 역사를 다룬 책이다. 국제적인 성서학자인 저자는 강고한 로마의 지배로 불안정했을 시대 속에, 자신들의 삶을 완전히 뒤바꾼 예수라는 인물로 인해 사회적 통념을 넘어서는 모험을 했을 뿐만 아니라 동족에게서 오는 위태로운 순간들을 버텨내기도 했던 사람들의 삶과, 메시아 안에서 서로 사랑하려고 모인 사람들 가운데서 드러난 명암을 생생하게 그려낸다. 저자는 1, 2차 자료를 통달함에서 나오는 폭넓은 시야와 통찰로 주요한 질문에 답하며 그 과정에서 여러 가지 크고 작은 문제들도 맛깔나게 다룬다.

삼부작으로 구성된 『생성기의 기독교』 시리즈의 두 번째 저작인 본서는 평생을 학계를 주도하는 학자로 살아온 한 학자의 연륜에서 우러나오는 폭넓은 지식과 현명한 판단력의 면모를 가감 없이 보여준다. 기원후 30-70년에 걸친 초기 교회의 역사를 다루면서 저자는 세 가지 질문을 중심으로 주장을 펼친다.

1. 예수와 예수의 죽음 이후 등장한 생성기 기독교 사이에는 어떠한 연속성이 있는가?
2. 유대교의 한 종파가 어떻게 이방인의 종교가 되었는가?
3. 최초기 기독교라 제대로 부를 수 있는 운동이 단일 운동이었는가? 아니면 다채로운 운동이었는가?

먼저, 예수와 초기 교회 사이의 간격이 크다는 주장은 초기 기독교의 글에서 예수의 사역과 메시지에 대한 관심이 너무 적게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는 주장과 더불어, 신약 저자들의 예수에 대한 주장들이 예수의 메시지(하나님 나라)를 다른 것(주 예수 그리스도)으로 바꾸어놓았다고 보는 데서 기인한다. 이에 대해 던은 예수가 메시아라는 주장이 예수 전승의 필수적인 부분이었으며, 예수의 대한 신앙이 예수 자신의 기대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고, 예수 전승이 초기 기독론에 자양분을 공급했다고 주장한다. 또한 초기 설교자들이 하나님 나라에 대해 가르쳤다는 증거가 있으며, 무엇보다도 예수 전승이 서신들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쳤음을 안전하게 추정할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저자는 예수와 초기 교회 간의 간격을 과장하지 말아야 한다고 역설한다.
유대 종파가 어떻게 이방인의 종교가 되었느냐는 문제에 있어서 던은, 기독교가 유대교 안의 메시아 종파로 분명하게 시작했으며 성전과 율법에 대한 애착을 고려하면 철저하게 유대교적 특징을 띠었다고 지적한다. 바울이 대립했던 "유대교"는 제2성전기 유대교의 다양한 형태의 하나였을 뿐이며, 예수에 대한 주장이 동족 유대인과 특별히 갈등을 일으키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한다. 여기서 던의 "새 관점"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그는 바울이 모세의 율법을 여전히 긍정했으나, 유대인과 이방인 사이에 "막힌 담" 역할을 하는 율법에 대해서는 강하게 반대했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할례와 정결법이 그러한 분리를 조장하는 "율법의 행위"였고 이에 대한 바울의 반대는 다수의 유대인이 용납할 수 없는 것이었다고 말한다. 던은 사회적으로 구성원 대다수가 이방인인 교회에서 유대교와 구별되는 삶의 양식이 발전되기 시작했을 것이며, 이것이 기독교와 제2성전기 유대교와의 분열의 씨앗이 되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마지막 질문에 대해서 던은 초기 기독교 운동이 단일 운동이 아니라 상당히 혼재된 집합이었다고 주장한다. 즉 30-70년대에 “형성 중인 기독교” 역사의 실체를 “기독교”가 아니라, 통합된 일관성을 단순하게 추정할 수 없는 “기독교들”로 묘사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에 따르면 초기 메시아 운동은 여전히 유대교적이고 구약적인 기독교였으나, 이방인을 포용하면서 생겨난 문제로 인한 갈등과 헬라파와 히브리파 간의 긴장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초기 교회는 흔히 종교개혁가들이 돌아가길 열망할 만큼 이상적인 교회가 아니었다.
이러한 큰 틀 안에서 던은 초기 교회가 겪었던 중대한 전환기에 무슨 일이 왜 발생했는지에 대해 설득력 있게 답한다. 그는 베드로와 야고보에 대해 충분히 다루기도 하지만, 주로 바울에게 연구 초점을 맞춘다. 바울은 메시아 예수를 믿는 바리새파였지만, 이방인을 위한 열정적인 사도이기도 했기 때문이며, 교회가 지났던 중대한 전환기의 경계선에 서 있었고 자신 안에 그 경계를 품고 있었기 때문이다.
저자는 역사가들이 다루어야 할 문제들을 날카롭게 그리고 다양한 방식으로 제기한다. 그리고 그런 문제들을 다룸에 있어서 폭넓은 지식과 설득력 있는 논리는 물론이고 날카로운 통찰을 감싸는 따뜻함으로 답을 채워간다. 상세 사항을 놓치지 않으면서도 큰 그림을 그리는 그의 능력이 3부작의 두 번째 책인 이 저서에서도 또다시 빛을 발한다. 이 책은 사도행전의 역사 순서를 따라 최초기 교회의 서신들을 분석하되, 단지 신학적 주제뿐 아니라 그것들의 배후에 놓여 있음직한 사회학적 요소들을 입체적으로 재구성하여 최초기 기독교 역사를 생생하게 재현하고 있다. 필경 저자의 방대한 작업은 이 분야를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엄청난 지적 자극을 줄 것이 틀림없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제임스 D. G. 던(지은이)

영국의 세계적인 신약학자로 글래스고대학교(M.A., B.D.)와 케임브리지대학교(Ph.D., D.D.)에서 공부했으며, 2002년 SNTS 회장직을 역임했다. 2003년에 더럼대학교 신학부에서 라이트풋 석좌교수로 은퇴했다. 한국어로 번역된 대표적인 저작으로는, 『예수와 영』(감은사 근간), 『로마서』(WBC; 솔로몬), 『바울신학』(CH북스), 3부작으로 나온 생성기 기독교 시리즈(새물결플러스) 등이 있다.

문현인(옮긴이)

전북 군산에서 태어나 한양대학교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을 거쳐 영국 버밍엄 대학교에서 신약학으로 박사학위(Ph.D.)를 받은 목회자다. 2019년 현재 영국 한 소도시에서 아내와 중증 장애인 딸과 더불어 한인 교회를 섬기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v.1.]
지도 목록
서문

제6부 기독교의 시작에 관한 역사 쓰기

제20장 역사적 교회 탐구
20.1 용어 정의
20.2 예수에서 바울까지
20.3 유대 종파에서 이방 종교로

제21장 자료
21.1 외부 자료
21.2 사도행전
21.3 사도행전 연설
21.4 바울 서신
21.5 예수 전승
21.6 결론과 절차에 관한 언급

제7부 첫 번째 국면

제22장 예루살렘에서 시작함
22.1 한 공동체인가? 여러 공동체인가?
22.2 부활절과 오순절 사이
22.3 오순절

제23장 최초의 공동체
23.1 첫 기독교 공동체의 사회적 특징
23.2 첫 기독교 공동체의 종교적 특징
23.3 지도층
23.4 예수에 관한 신앙
23.5 예수의 죽음의 중요성
23.6 요약 - 메시아 종파

제24장 헬라파와 첫 역외 전도
24.1 새 국면
24.2 누가 헬라파였는가?
24.3 일곱 사람
24.4 스데반
24.5 스데반이 했다고 여겨지는 연설
24.6 첫 박해: 누구를 향했는가?
24.7 빌립의 선교
24.8 안디옥에서 획기적 진전
24.9 헬라파/안디옥 신학

제25장 바울의 등장
25.1 사울의 초기 삶과 교육
25.2 “박해자”(갈 1:23)
25.3 “다메섹에 가까이 갔을 때에 오정쯤 되어”
25.4 바울 복음의 기원
25.5 그 여파와 잠복기

제26장 베드로의 선교
26.1 “할례자”를 향한 선교
26.2 중심축인 가이사랴
26.3 베드로의 회심
26.4 고넬료를 받아들임
26.5 헤롯 아그리파 1세 치하의 불안한 시기
26.6 독특한 베드로의 신학?

제27장 위기와 대립
27.1 안디옥으로부터 선교(행 13-14장)
27.2 위기
27.3 예루살렘 공의회
27.4 대립: 안디옥 사건
27.5 복음의 진리
27.6 결과

제8부 이방인의 사도

제28장 시기, 목적지, 거리
28.1 바울의 삶과 선교 연대표
28.2 여정과 진통

제29장 사도 바울
29.1 기독교의 제2의 창시자
29.2 바울은 자신을 누구라고 생각했는가?
29.3 사도
29.4 바울의 계획
29.5 바울의 전략
29.6 바울의 동역자
29.7 바울의 복음
29.8 목회자이자 서신의 저자인 바울

제30장 바울의 교회들
30.1 왜 “교회”인가?
30.2 가정 교회들: 고고학 증거
30.3 협회인가 종교 집단인가?
30.4 바울 교회의 사회적 구성
30.5 바울 교회의 구조
30.6 그들의 모임
30.7 경계들
30.8 그리스도인의 관계망
30.9 결론

[v.2.]
지도 목록

제8부 이방인의 사도(계속)

제31장 에게해 선교: 첫 번째 국면
31.1 에게해 선교
31.2 에게해 선교의 시작
31.3 아덴에서의 대립
31.4 고린도 교회 설립
31.5 바울의 데살로니가전서
31.6 바울의 데살로니가후서
31.7 바울의 갈라디아서

제32장 에게해 선교: 두 번째 국면
32.1 중간휴식
32.2 에베소에서 교회 설립
32.3 에베소와 고린도 사이
32.4 바울의 첫 번째 고린도 서신
32.5 바울의 두 번째 고린도 서신(고린도전서)
32.6 바울의 세 번째 고린도 서신
32.7 바울의 네 번째 고린도 서신(고린도후서)

제33장 한 시기의 마감
33.1 마지막 순회
33.2 로마서를 쓴 이유
33.3 바울의 로마서
33.4 연보
33.5 바울의 유언(행 20:17-38)

제9부 시작의 끝

제34장 바울의 수난
34.1 예루살렘에서 체포됨
34.2 재판과 시련
34.3 그래서 로마로
34.4 바울의 빌립보서
34.5 바울의 빌레몬서
34.6 골로새서
34.7 바울은 언제 사망했는가?

제35장 잠잠한 베드로
35.1 베드로의 후기 선교
35.2 네로 치하에서의 박해
35.3 베드로의 순교
35.4 베드로의 지속되는 중요성

제36장 유대 재앙
36.1 예루살렘 교회
36.2 야고보의 죽음
36.3 예루살렘 교회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36.4 예루살렘 함락

제37장 첫 세대 지도자들의 유산
37.1 바울 - 에베소서
37.2 야고보 - 야고보서
37.3 베드로 - 베드로 서신(베드로전서)
37.4 시작의 끝

l 약어표 l
l 참고문헌 l
l 성구 및 참고 문헌 색인 l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