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문화예술교육 : 문화예술교육사를 위한 개론서

문화예술교육 : 문화예술교육사를 위한 개론서 (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지안, 저 김형남, 저 홍애령, 洪愛伶, 1983-, 저 차은주, 저 임수진, 저 정옥희, 저 강진주, 저 이지선, 저
서명 / 저자사항
문화예술교육 = Arts & culture education : 문화예술교육사를 위한 개론서 / 김지안 [외]공저
발행사항
[서울] :   DH미디어,   2022  
형태사항
207 p. : 천연색삽화, 도표 ; 26 cm
ISBN
9791190021180
일반주기
정책 및 이론부터 현장의 실천까지  
공저자: 김형남, 홍애령, 차은주, 임수진, 정옥희, 강진주, 이지선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05-206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2707
005 20220509114141
007 ta
008 220408s2022 ulkad b 000c kor
020 ▼a 9791190021180 ▼g 93600
035 ▼a (KERIS)BIB000016141590
040 ▼a 241008 ▼c 241008 ▼d 211009
082 0 4 ▼a 700.71 ▼2 23
085 ▼a 700.71 ▼2 DDCK
090 ▼a 700.71 ▼b 2022
245 0 0 ▼a 문화예술교육 = ▼x Arts & culture education : ▼b 문화예술교육사를 위한 개론서 / ▼d 김지안 [외]공저
246 3 1 ▼a Arts and culture education
260 ▼a [서울] : ▼b DH미디어, ▼c 2022
300 ▼a 207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6 cm
500 ▼a 정책 및 이론부터 현장의 실천까지
500 ▼a 공저자: 김형남, 홍애령, 차은주, 임수진, 정옥희, 강진주, 이지선
504 ▼a 참고문헌: p. 205-206
700 1 ▼a 김지안, ▼e
700 1 ▼a 김형남, ▼e
700 1 ▼a 홍애령, ▼g 洪愛伶, ▼d 1983-, ▼e▼0 AUTH(211009)33559
700 1 ▼a 차은주, ▼e
700 1 ▼a 임수진, ▼e
700 1 ▼a 정옥희, ▼e
700 1 ▼a 강진주, ▼e
700 1 ▼a 이지선,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00.71 2022 등록번호 11186245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문화예술교육의 개념부터 각 담론이 연관되어 있는 학문적 배경, 해외와 국내의 문화예술교육정책 및 법제에 관한 지식뿐 아니라 학교와 사회,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예술교육의 실천사례들을 최근의 경향과 관점을 중심으로 일목요연하게 담았다.

또 현장에서 열정적으로 임하는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과 주요기관, 국제화 사회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문화다양성과 국제협력,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하여 문화예술교육이 지향하고 변화되어야 할 최근의 관점들도 수록하였다.

문화예술교육의 이론, 실천, 최신 경향 탐구

2005년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이 제정되고 예술강사 지원사업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이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문화예술교육이 교수활동을 기반으로 추진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에게는 예술가로서의 전문성뿐 아니라 교육자로서의 역량과 자질을 필요로 합니다.

이 책은 문화예술교육의 개념부터 각 담론이 연관되어 있는 학문적 배경, 해외와 국내의 문화예술교육정책 및 법제에 관한 지식뿐 아니라 학교와 사회,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예술교육의 실천사례들을 최근의 경향과 관점을 중심으로 일목요연하게 담았습니다. 또 현장에서 열정적으로 임하는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과 주요기관, 국제화 사회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문화다양성과 국제협력,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하여 문화예술교육이 지향하고 변화되어야 할 최근의 관점들도 수록하였습니다.

무엇보다 문화예술을 사랑하고 교육을 존중하며 관심과 애정을 갖는 분들이 읽기 쉽도록, 그리고 방대한 자료들 속에서 핵심만을 알고 싶을 때 선뜻 읽을 수 있는 교재로서 역할을 하기 바랍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홍애령(지은이)

현) 상명대학교 글로벌문화예술교육연구소 전임연구교수 전)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Post doc) 서울대학교 박사

김지안(지은이)

약 력 ∙ 21회 공인중개사 시험 합격 ∙ 24회 법무사 시험 합격 ∙ (전) 법무사단기학원 스터디매니저 ∙ (현) 법무사단기학원 민사사건관련서류의 작성 강사 ∙ (현) 중앙법률사무교육원 소장작성실무 및 강제집행실무 강사 ∙ (현) 법무연수원 검찰공무원을 위한 민사실무과정 강사 ∙ (현) 새봄 법무사 사무소 운영 편저서 ∙ 민사사건관련서류의 작성(법학사, 2022)

김형남(지은이)

현) 세종대학교 무용학과 교수, 세종무용콘텐츠 연구소 소장 한국무용학회 회장 한국무용협회 부이사장 PADAF 공동조직위원장 세종대학교 박사

차은주(지은이)

현) 송호대학교 공연영상IT과 교수 전) 상명대학교 글로벌문화예술교육연구소 전임연구교수 중앙대학교 박사

임수진(지은이)

현 서울대학교, KAIST, 한국예술종합학교 및 영재교육원 강사 전 KAIST 인문사회과학부 대우교수 국민대학교 학술연구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정옥희(지은이)

현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 Dance Chronicle 편집위원 미국 템플대학교 박사

강진주(지은이)

현 세종대학교 겸임교수 세종무용콘텐츠연구소 연구원 안양예술고등학교 강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이지선(지은이)

전 한양대학교 겸임교수 국민대학교 예술대학 및 교육대학원 겸임교수 국민대학교 대학원 교육공학 박사

정보제공 : Aladin

목차

1장. 문화예술교육의 개념
-문화, 예술, 문화예술의 개념
-문화예술교육의 개념화
-문화예술교육의 영역과 대상

2장. 문화예술교육의 학문적 배경
-미학적 관점에서 본 문화예술교육
-교육학 관점에서 본 문화예술교육
-심리학 관점에서 본 문화예술교육
-사회학 관점에서 본 문화예술교육

3장. 국가별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주요 흐름
-국가별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동향과 특징
-국가별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시사점

4장. 국내 문화예술교육정책과 법
-문화정책과 문화예술교육
-한국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전개
-한국의 문화예술교육 정책모델

5장.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이해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개념과 가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현황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실천사례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지향점

6장.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이해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개념과 가치
-사회문화예술교육의 현황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실천사례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지향점

7장. 지역문화예술교육의 이해
-지역문화예술교육의 개념과 가치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지역문화예술교육 실천사례
-지역문화예술교육의 지향점

8장.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
-여가와 평생교육의 개념과 가치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의 실천사례
-여가와 평생교육의 지향점

9장.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및 주요기관
-가르치는 예술가의 개념 및 발생 배경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의 지향점
-국내 문화예술교육 지원기관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의 지향점

10장. 문화다양성과 문화예술 국제협력
-문화다양성과 정책
-문화다양성 교육과 문화예술교육
-문화다양성 문화예술교육의 실천사례
-문화다양성 문화예술교육의 한계와 지향점
-문화예술 국제협력

11장. 4차 산업혁명과 문화예술교육
-4차 산업혁명의 정의 및 특성
-4차 산업혁명 시대, 문화예술의 변화와 전망
-4차 산업혁명 관련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사례
-4차 산업혁명과 문화예술교육의 지향점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