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2599 | |
005 | 20220902173802 | |
007 | ta | |
008 | 220408s2022 ulka b 000c kor | |
020 | ▼a 9791185939858 ▼g 03920 | |
035 | ▼a (KERIS)BIB000016137217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82 | 0 4 | ▼a 335.430947 ▼2 23 |
085 | ▼a 335.430947 ▼2 DDCK | |
090 | ▼a 335.430947 ▼b 2022 | |
245 | 0 0 | ▼a 동유럽의 공산주의 유산 = ▼x Communist legacies in East Central Europe : ▼b 청산할 것인가, 기억할 것인가? / ▼d 김신규 [외] |
260 | ▼a 서울 : ▼b 인문과교양, ▼c 2022 | |
300 | ▼a 351 p. : ▼b 삽화 ; ▼c 23 cm | |
490 | 1 0 | ▼a 동유럽발칸연구소 인문사회연구소사업단 총서 ; ▼v 4 |
500 | ▼a 공저자: 김용덕, 김종석, 김지영, 이하얀, 김철민, 이선필, 송병준, 김상원 | |
504 | ▼a 참고문헌: p. 336-351 | |
536 | ▼a 이 도서는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지원을 받아 출판됨 ▼g (NRF-2019S1A5C2A02083167) | |
700 | 1 | ▼a 김신규, ▼g 金信圭, ▼d 1969-, ▼e 저 ▼0 AUTH(211009)141467 |
700 | 1 | ▼a 김용덕, ▼g 金容德, ▼d 1962-, ▼e 저 ▼0 AUTH(211009)96874 |
700 | 1 | ▼a 김종석, ▼d 1964-, ▼e 저 ▼0 AUTH(211009)146605 |
700 | 1 | ▼a 김지영, ▼g 金志寧, ▼d 1966-, ▼e 저 ▼0 AUTH(211009)47732 |
700 | 1 | ▼a 이하얀, ▼g 李하얀, ▼d 1986-, ▼e 저 ▼0 AUTH(211009)146606 |
700 | 1 | ▼a 김철민, ▼g 金喆珉, ▼d 1970-, ▼e 저 ▼0 AUTH(211009)34032 |
700 | 1 | ▼a 이선필, ▼d 1965-, ▼e 저 ▼0 AUTH(211009)106559 |
700 | 1 | ▼a 송병준, ▼g 宋秉俊, ▼d 1965-, ▼e 저 ▼0 AUTH(211009)83405 |
700 | 1 | ▼a 김상원, ▼g 金相元, ▼d 1967-, ▼e 저 ▼0 AUTH(211009)74637 |
830 | 0 | ▼a 동유럽발칸연구소 인문사회연구소사업단 총서 ; ▼v 4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5.430947 2022 | Accession No. 11186234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동유럽발칸연구소 인문사회연구소사업단 총서 4권. 1989년을 전후해 동유럽 각국은 체제전환을 추진하면서 민주화와 시장경제 도입의 문제와 함께 공산주의 시기의 부정적 유산을 어떻게 처리할지의 문제에 직면했다. 여기에는 옛 정권의 불법적인 행위, 인권 탄압, 부당한 억압, 재산 몰수와 직업 차별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자행되었던 부정을 처벌하거나 바로잡고 새로운 정의를 세우는 소위 이행기 정의가 포함되어 있었다.
체제전환 이후 지속적으로 민주화를 추진하고 민주주의를 공고화하기 위해서는 옛 정권 시기의 가해자를 밝혀내 이들을 처벌하거나 아니면 적어도 가해자가 누구인지를 밝혀내고 희생자를 복권하는 정의 구축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 형식과 내용에서는 차이가 있을지 모르지만 거의 모든 국가에서 이행기 정의를 추진했다.
Communist Legaciesin EastCentral Europe
1989년을 전후해 동유럽 각국은 체제전환을 추진하면서 민주화와 시장경제 도입의 문제와 함께 공산주의 시기의 부정적 유산을 어떻게 처리할지의 문제에 직면했다. 여기에는 옛 정권의 불법적인 행위, 인권 탄압, 부당한 억압, 재산 몰수와 직업 차별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자행되었던 부정을 처벌하거나 바로잡고 새로운 정의를 세우는 소위 이행기 정의(transitional justice)가 포함되어 있었다. 체제전환 이후 지속적으로 민주화를 추진하고 민주주의를 공고화하기 위해서는 옛 정권 시기의 가해자를 밝혀내 이들을 처벌하거나 아니면 적어도 가해자가 누구인지를 밝혀내고 희생자를 복권하는 정의 구축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 형식과 내용에서는 차이가 있을지 모르지만 거의 모든 국가에서 이행기 정의를 추진했다.
이행기 정의는 옛 억압 정권이 행한 불법적인 행위에 대한 법적 처벌은 물론 새로운 체제에서 옛 정권이 다시 집권하는 것을 막고 또 피해자의 재산이나 직업을 반환·복권함으로써 정의를 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지만 탈공산주의 동유럽 국가들이 선택한 이행기 정의 메커니즘은 국가별로 상이했다. 동독과 체코슬로바키아는 옛 정권의 고위 관료와 비밀경찰 그리고 그 협력자들을 공직에서 배제하는 정화(lustration)와 비밀문서를 공개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동시에 양국은 일부이긴 했지만 옛 정권의 불법 행위에 대한 기소와 처벌도 시도했다. 폴란드와 헝가리는 동독과 체코슬로바키아에 비해서 뒤늦게 비밀문서를 공개하고 일부 인사를 공직에서 배제하거나 혹은 자진 사퇴하도록 유도했다. 반면, 국가 분리 이후 슬로바키아나 옛 유고슬라비아 계승 국가 중 하나인 슬로베니아는 사법적 책임을 묻기 위한 기소와 처벌, 인사 검증을 통한 공직 배제보다는 옛 정권의 부정의를 밝히면서도 이를 용서하는 방법을 선택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김종석(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폴란드어과를 졸업하였다. 폴란드 바르샤바 국립대학교 역사학부에서 석.박사과정을 졸업하였고 2001년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학 대학 폴란드어과 조교수이자 학과장이다.
김철민(지은이)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 국립대학교에서 동유럽역사학(국제정치사 전공) 박사학위를 받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사회교육원 원장직을 수행했다. 현재 한국유럽학회 부회장,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연구 이사를 맡고 있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 EU 연구소 소장, 동유럽학대학 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보스니아 역사: 무슬림을 중심으로』, 『동유럽 민족분쟁』, 『한국전쟁과 동유럽』, 『종교와 문화의 모자이크, 발칸: 역사적 함의와 진실』, 『국제난민 이야기: 동유럽 난민을 중심으로』, 『발칸유럽 민족문제에 대한 이해: 민족 기원과 민족주의』, 『동유럽 체제 전환과정과 통일 한국에 주는 의미』 등의 학술 저서 외에도, 일반인들의 중동부유럽의 이해를 돕기 위한 『(문화와 사회로) 발칸유럽 들여다보기』, 『(역사와 인물로) 동유럽 들여다보기』, 『에메랄드 물빛 가득한 영혼의 휴식처, 크로아티아』등이 있다. 학술 논문들은 중·동부유럽 지역의 다양한 역사와 국제 정치 외에도 문화와 사회, 경제 등 지역학 연구 분야 등을 주요 주제로 다루고 있다.
김용덕(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폴란드어과를 졸업하고 폴란드 크라쿠프의 야기에워대학교 역사학부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폴란드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Kolonia Polska w Mandzurii 1897-1949>, <재미있는 폴란드 역사 이야기>, <동부 유럽>, <가해와 피해의 구분을 넘어-독일 폴란드 역사 화해의 길>(공저), <동유럽 영화 이야기>(공저), <합스부르크제국의 다원성과 복잡성>(공저), <Korea w oczach Polakow>(공저) 등이 있으며 동유럽과 폴란드의 역사와 정치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저술했다.
송병준(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관계학과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HK+ 연구교수 주요 저서 『유럽연합 거버넌스 2』, 2016, 높이깊이 『유럽연합 정책결정시스템』, 2018,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조약으로 보는 유럽통합사』, 2016, 통합유럽연구회, 높이깊이 (공저) 『통합과 갈등의 유럽연합』, 2017, 높이깊이 (공저) 『유럽 언론에 나타난 한국의 이미지』, 2017, 한국학중앙연구원 (공저) 『한-EU 관계론』, 2019,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공저) 『중소기업의 중동부유럽 진출을 위한 거시환경 분석』, 20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공저) 『동유럽 공산정권의 붕괴와 체제전환』, 2021, 동유럽발칸연구소, 인문과 교양 (공저) 『유럽통합이론』, 2021, 한국학술정보
김신규(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체코·슬로바키아어과를 졸업했으며, 동 대학교 동구지역학과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그리고 국제관계학과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센터 책임연구원, 동유럽발칸연구소 책임연구원 그리고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체코 프라하 카렐대학교(Karlova Univerzita) 교환교수를 역임했다. 2013년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체코·슬로바키아어과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대통령제와 정치적 메커니즘(공저)>과 <지구촌의 선거와 정당(공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1989년 이후 체코 외교정책의 접근 방향: 대서양주의와 유럽주의” “탈공산주의 동유럽 국가의 경제개혁과 민주화 평가 및 발전 방향” “슬로바키아와 체코의 대통령 직선제 개헌” “새로운 안보의 진공을 타개하기 위한 약소국의 선택” 등이 있다.
이선필(지은이)
이탈리아에서 유럽정치를 전공한 백면서생이 몇 년 전 어느 날 갑자기 애견 학원을 개원하면서 혹독한 시련을 겪는다. 개들과 부대끼고 어느덧 우리 집 서열 1위가 된 ‘일월이’와 함께 살게 되면서 동물권과 반려 문화를 고민하기 시작했다. 지금은 서울 양재동에서 애견 옷 학원과 애견 수제 간식 학원을 운영하며 한국외대에서 <동물복지의 인문학> 교양 강의를 하고 있다.
김상원(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를, 모스크바국립대학교에서 경제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근무했으며 현재는 국민대학교 유라시아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아시아중동부 유럽학회 국제섭외이사, 한국비교경제학회 연구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의 에너지 전환과 북방경제협력』,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유라시아』, 『유라시아경제연합: 지역통합의 현실과 전망』 등을 공저로 저술했다. 주요 논문으로는 <카자흐스탄의 경제 성장과 다각화 전략>, <경제 제재와 러시아 경제의 변화>, <중국의 일대일로와 중앙아시아 경제 변화>, <한국의 에너지 정책 변화와 러시아 LNG 도입에 대한 소고> 등이 있다.
이하얀(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책임연구원
김지영(지은이)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HK교수

Table of Contents
서문 제1장 1989년 공산주의 붕괴 이후 폴란드의 체제 청산 1 들어가는 말 2 1992년의 체제 청산 시도와 올쉐프스키 내각 해임 3 1997~2007년의 체제 청산 과정 4 국가기억원의 창설과 활동 5 나가는 말 제2장 체코와 슬로바키아의 이행기 정의: 정화와 비밀문서 공개 1 머리말 2 탈공산주의 동유럽의 이행기 정의 메커니즘 3 체코와 슬로바키아의 이행기 정의 메커니즘 4 체코의 이행기 정의 5 슬로바키아의 이행기 정의 6 맺음말 제3장 과거와의 단절, 미래로의 연결: 체제전환 이후 헝가리 역사 교과서의 내용 변화 1 서론: 헝가리 역사서술의 부침(浮沈) 2 체제전환 시기 이전의 헝가리 역사서술 3 체제전환 시기 이후의 헝가리 역사서술 4 결론 제4장 불가리아의 공산체제에대한 과거청산 과정 1 머리말 2 체제전환기 전후 불가리아의 정치·사회적 상황 3 체제전환기 전후 불가리아의 경제적 상황 4 맺음말: 비데노프 정부, 변화에 대한 희망의 불씨를 끄다 제5장 유고슬라비아 체제전환의 특징과 국제사적 의미: NATO 전략 개념 변화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유고슬라비아의 체제전환 양상과 그 특징 3 유고슬라비아의 분쟁들과 NATO 4 맺음말: 시사점과 전망 제6장 알바니아의 체제전환: 민주주의로의 험난한 여정 1 머리말 2 알바니아 공산주의의 성립과 특징 3 알바니아의 체제전환 과정 4 정치·경제·사회적 체제전환의 문제들 5 피라미드 금융사기와 내전의 발생 6 내전 이후의 민주화와 민주주의의 한계 제7장 발틱 3국의 체제전환 이행과 과거청산 1 들어가는 말 2 발틱 3국의 체제전환과 시장경제 이행 3 발틱 3국의 체제전환 과정: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로의 이행 4 발틱 3국의 과거청산: 공산주의의 계승과 단절 5 결론 제8장 우크라이나의 체제전환과 사유화 1 서론 2 우크라이나 경제의 구조적 변화와 특징 3 우크라이나 사유화의 발전과정 4 사유화와 국영 기업 5 결론 미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