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2400 | |
005 | 20220427161554 | |
007 | ta | |
008 | 220406s2021 ulk 001c kor | |
020 | ▼a 9791158246532 ▼g 93360 | |
035 | ▼a (KERIS)BIB000015810542 | |
040 | ▼a 247017 ▼c 247017 ▼d 211009 | |
082 | 0 4 | ▼a 342.519 ▼2 23 |
085 | ▼a 342.53 ▼2 DDCK | |
090 | ▼a 342.53 ▼b 2021z29 | |
100 | 1 | ▼a 차강진, ▼g 車康鎭 ▼0 AUTH(211009)34829 |
245 | 2 0 | ▼a (로스쿨) 헌법강의 = ▼x Constitutional law / ▼d 차강진 저 |
250 | ▼a 제7판 | |
260 | ▼a 서울 : ▼b 학연, ▼c 2021 | |
300 | ▼a xiv, 920 p. ; ▼c 27 cm | |
500 | ▼a 색인수록 |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 청구기호 342.53 2021z29 | 등록번호 1118622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개정판에는 2021년 1월 실시된 변호사 시험문제(제10회) 및 2020년도 실시된 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 모의시험문제 내용, 그리고 2020년 헌법재판소에서 내린 중요한 결정을 반영하였다. 이와 함께 변경된 판례와 개정된 법률에 따라 관련 내용을 변경하고 오.탈자도 바로 잡았다.
2021년판 머리말
이번 개정판에는 2021년 1월 실시된 변호사 시험문제(제10회) 및 2020년도 실시된 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 모의시험문제 내용, 그리고 2020년 헌법재판소에서 내린 중요한 결정을 반영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변경된 판례와 개정된 법률에 따라 관련 내용을 변경하고 오·탈자도 바로 잡았습니다.
2020년 헌법재판소가 변경한 판례로는, 유예기간을 두고 있는 법령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의 청구기간 기산점을 ‘법령의 시행일’로 보았던 종래의 견해에서 ‘유예기간 경과일’을 청구기간 기산점으로 본 결정(헌재 2020. 4. 23. 2017헌마479)과 병역준비역에 편입된 복수국적자가 편입된 때부터 3개월 이내에 대한민국 국적을 이탈하지 않으면 병역의무가 해소된 후에야 이탈할 수 있도록 규정한 국적법 제12조 제2항 본문과 국적법 제14조 제1항 단서 중 제12조 제2항 본문 부분에 대해 이전의 합헌결정과 달리 국적이탈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한 결정(헌재 2020. 9. 24. 2016헌마889)(헌법불합치, 잠정적용)이 있습니다.
어떤 유형의 문제이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헌법과목의 기본적이며 핵심적인 사항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정리가 요구됩니다. 이제까지와 마찬가지로 이번 개정판 역시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였습니다. 헌법과목 시험을 준비하는데 이 책이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독자들의 조속한 합격을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이 책의 출간을 위해 여러 날 고생하신 학연 출판사 편집부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21. 2. 16.
차 강 진
정보제공 :

저자소개
차강진(지은이)
[약 력] ∙ 학성고등학교 졸업 ∙ 부산대학교 법과대학 및 동 대학원 졸업(법학박사) ∙ Brigham Young University J. Reuben Clark Law School Visiting Scholar ∙ 부산대학교 강사 ∙ 합격의 법학원 및 에듀패스 헌법전임 [주요저서] ∙ 로스쿨 헌법 Workbook(학연, 2017) ∙ 헌법 Blackbox(학연, 2017) ∙ 헌법입문(학연, 2017) ∙ Rainbow 변시 기출해설 헌법 선택형(학연, 2021) ∙ Rainbow 변시 모의해설 헌법 선택형(학연, 2021) ∙ 로스쿨 헌법강의(학연, 2021) ∙ 헌법논점 Capsule(학연, 2021) ∙ 이것만은 알고쓰자! 헌법 판례!(학연, 2021) ∙ 최근 5년 헌법재판소 결정지문(학연, 2021) ∙ Rainbow 변시 모의해설 공법 사례형(학연, 2023) ∙ Rainbow 변시 모의해설 공법 선택형(학연, 2023) ∙ Rainbow 변시 기출해설 공법 사례형(학연, 2023) ∙ Rainbow 변시 기출·모의해설 헌법 선택형(진도별)(학연, 2023) ∙ Rainbow 변시 기출해설 공법 선택형(학연, 2023) ∙ 진도별 변시ㆍ사시기출 헌법사례연습(학연, 2023)

목차
제1편 헌법총론 Chapter 01. 헌법과 헌법학 3 제1절 헌법의 의의 3 제1항 헌법의 개념 3 제2항 헌법의 분류 4 제3항 헌법의 법원(法源) 5 제2절 헌법해석과 합헌적 법률해석 8 제1항 헌법해석 8 제2항 합헌적 법률해석(헌법합치적 법률해석) 9 제3절 헌법의 제정ㆍ개정ㆍ변천 10 제1항 헌법의 제정 10 제2항 헌법의 개정 11 제3항 헌법의 변천 13 제4절 헌법의 수호 14 제1항 헌법수호의 의의와 유형 14 제2항 국가긴급권 14 제3항 저항권 15 제4항 방어적 민주주의 16 Chapter 02. 대한민국헌법 총설 18 제1절 대한민국 헌정사 : 헌법의 개정과정 18 제2절 대한민국의 국가형태와 구성요소 23 제1항 대한민국의 국가형태 23 제2항 대한민국의 구성요소 23 제3절 헌법 전문 및 헌법의 기본원리 31 제1항 헌법 전문 31 제2항 헌법의 기본원리 33 제4절 한국헌법의 기본질서 51 제1항 정치적 기본질서 : 민주적 기본질서 51 제2항 경제적 기본질서 : 사회적 시장경제질서 52 제3항 평화주의적 국제질서 55 제5절 헌법의 기본제도 59 제1항 헌법과 제도적 보장 59 제2항 정당제도(복수정당제) 61 제3항 선거제도 76 제4항 공무원제도 105 제5항 지방자치제도 116 제2편 기본권론 Chapter 01. 총 론 141 제1절 기본권의 의의 141 제2절 기본권의 성격 141 제1항 주관적 공권성 인정 여부 141 제2항 자연권성 인정 여부 142 제3항 기본권의 이중적 성격 142 제3절 기본권의 주체 143 제1항 자연인 143 제2항 법 인 147 제4절 기본권의 효력 150 제1항 기본권의 대국가적 효력(기본권의 수직적 측면의 효력) 150 제2항 기본권의 제3자적 효력(기본권의 수평적 측면의 효력) 151 제3항 기본권의 갈등 155 제5절 기본권의 제한 161 제6절 기본권의 확인과 보장 176 제1항 기본권 보호의무 176 제2항 기본권의 침해와 구제 179 Chapter 02. 인간의 존엄과 가치ㆍ행복추구권ㆍ법앞의 평등 182 제1절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182 제1항 인간의 존엄과 가치의 존중에 관한 입법례 182 제2항 인간의 존엄과 가치조항의 규범적 의미 182 제3항 인간의 존엄과 가치조항의 기본권성 인정 여부 183 제4항 인간의 존엄과 가치조항의 적용범위 183 제5항 인간의 존엄과 가치의 실현수단 183 제2절 행복추구권 184 제1항 행복추구권의 의의 184 제2항 행복추구권의 성격 184 제3항 행복추구권의 주체 185 제4항 행복추구권의 내용 185 제5항 행복추구권의 효력 205 제6항 행복추구권의 제한 206 제3절 법 앞의 평등 208 제1항 평등의 원칙 208 제2항 평등권 224 제3항 평등조항의 적용대상(평등권의 주체) 226 제4항 평등조항의 효력 226 제5항 평등원칙의 구체적 실현 226 제6항 평등원칙과 평등권의 제한-합리적 차별 226 Chapter 03. 자유권적 기본권 237 제1절 자유권적 기본권 총론 237 제1항 자유권적 기본권의 의의 237 제2항 자유권적 기본권의 법적 성격 237 제3항 자유권적 기본권의 주체와 효력 237 제4항 자유권적 기본권의 제한 238 제2절 인신의 자유권 238 제1항 생명권 238 제2항 신체의 자유 243 제3절 사생활자유권 292 제1항 사생활자유권의 구조와 체계 292 제2항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292 제3항 주거의 자유 308 제4항 통신의 자유 310 제5항 거주ㆍ이전의 자유 313 제4절 정신적 자유권 318 제1항 정신적 자유권의 구조와 체계 318 제2항 양심의 자유 318 제3항 종교의 자유 327 제4항 언론ㆍ출판의 자유 332 제5항 집회ㆍ결사의 자유 366 제6항 학문과 예술의 자유 385 Chapter 04. 경제적 기본권 394 제1절 재산권 394 제1항 재산권 보장의 의의 394 제2항 재산권 보장의 역사와 그 변용 394 제3항 재산권 보장의 법적 성격 394 제4항 재산권의 주체 395 제5항 재산권의 범위(객체) 395 제6항 재산권 보장의 내용(헌법 제23조 제1항) 399 제7항 재산권 행사의 공공복리적합의무(헌법 제23조 제2항) 401 제8항 재산권의 제한(헌법 제23조 제3항) 413 제2절 직업선택의 자유 424 제1항 직업선택의 자유의 의의 424 제2항 직업선택의 자유의 법적 성격 425 제3항 직업선택의 자유의 주체 425 제4항 직업선택의 자유의 내용 426 제5항 직업선택의 자유의 효력 427 제6항 직업선택의 자유에 대한 제한 427 제3절 소비자의 권리 454 제1항 소비자권리의 의의 454 제2항 소비자권리의 법적 성격 455 제3항 소비자권리의 주체 455 제4항 소비자권리의 내용 455 제5항 소비자권리의 효력 456 제6항 소비자권리의 침해와 구제 456 Chapter 05. 정치적 기본권 457 제1절 민주정치와 정치적 기본권 457 제1항 정치적 기본권의 개념 457 제2항 정치적 기본권의 유형 457 제2절 참정권 458 제1항 참정권의 의의 458 제2항 참정권의 법적 성격 458 제3항 참정권의 주체 459 제4항 참정권의 내용 459 제5항 참정권의 제한과 그 한계 468 Chapter 06. 청구권적 기본권 473 제1절 청구권적 기본권의 구조와 체계 473 제1항 청구권적 기본권의 의의 473 제2항 청구권적 기본권의 법적 성격 473 제3항 청구권적 기본권의 주체 473 제4항 청구권적 기본권의 효력 473 제2절 청원권 474 제1항 청원권의 의의 474 제2항 청원권의 법적 성격 474 제3항 청원권의 주체 474 제4항 청원권의 내용 474 제5항 청원의 효과 477 제6항 청원권의 제한 478 제3절 재판청구권 479 제1항 재판청구권의 의의 479 제2항 재판청구권의 법적 성격 479 제3항 재판청구권의 주체 480 제4항 재판청구권의 내용 480 제5항 재판청구권의 효력 500 제6항 재판청구권의 제한 500 제4절 국가배상청구권 507 제1항 국가배상청구권의 의의 507 제2항 국가배상청구권의 법적 성격 507 제3항 국가배상청구권의 주체 508 제4항 국가배상청구권의 내용 508 제5항 국가배상청구권의 제한 513 제5절 형사보상청구권 518 제6절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 521 제1항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의 의의 521 제2항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의 법적 성격 521 제3항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의 내용 522 제4항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의 제한 523 Chapter 07. 사회적 기본권 524 제1절 사회적 기본권의 구조와 체계 524 제1항 사회적 기본권의 의의 524 제2항 사회적 기본권의 연혁 524 제3항 사회적 기본권의 법적 성격 524 제4항 사회적 기본권의 구조와 유형 525 제2절 인간다운 생활권 526 제1항 인간다운 생활권의 의의 526 제2항 인간다운 생활권의 법적 성격 526 제3항 인간다운 생활권의 주체 527 제4항 인간다운 생활권의 내용 528 제5항 인간다운 생활권의 효력 534 제6항 인간다운 생활권의 제한 534 제7항 인간다운 생활권의 침해와 구제 534 제3절 교육을 받을 권리 535 제1항 교육을 받을 권리의 의의 535 제2항 교육을 받을 권리의 법적 성격 536 제3항 교육을 받을 권리의 주체 536 제4항 교육을 받을 권리의 내용 536 제5항 교육을 받을 권리의 실현 548 제6항 교육을 받을 권리의 효력 551 제7항 교육을 받을 권리의 제한 551 제4절 근로의 권리 552 제1항 근로의 권리의 의의 552 제2항 근로의 권리의 법적 성격 552 제3항 근로의 권리의 주체 553 제4항 근로의 권리의 내용 554 제5항 근로의 권리의 효력 558 제6항 근로의 권리의 제한 558 제5절 근로3권 558 제1항 근로3권의 의의 558 제2항 근로3권의 연혁과 입법례 559 제3항 근로3권의 법적 성격 559 제4항 근로3권의 주체 560 제5항 근로3권의 구조와 체계 560 제5항 근로3권의 효력 568 제6항 근로3권의 제한과 한계 568 제6절 환경권 571 제1항 환경권의 의의 571 제2항 환경권의 법적 성격 571 제3항 환경권의 주체 572 제4항 환경권의 내용 572 제5항 환경권의 효력 573 제6항 환경권의 제한 574 제7항 환경권의 침해와 구제 574 제7절 혼인ㆍ가족ㆍ모성보호ㆍ보건에 관한 권리 578 제1항 혼인과 가족제도의 보장 578 제2항 모성을 보호받을 권리 588 제3항 보건권 588 Chapter 08. 국민의 기본적 의무 589 제1절 기본적 의무의 구조와 체계 589 제1항 기본적 의무의 의의 589 제2항 기본적 의무의 법적 성격 589 제3항 기본적 의무의 유형 589 제2절 납세의 의무 589 제3절 국방의 의무 590 제1항 국방의무의 의의 590 제2항 국방의무의 주체 590 제3항 국방의무의 내용 590 제4절 교육을 받게 할 의무 593 제5절 근로의 의무 594 제3편 통치구조론 Chapter 01. 통치구조의 구성원리 597 제1절 국민주권의 원리 597 제2절 대의제의 원리 597 제1항 대의제의 의의 597 제2항 대의제의 기능 599 제3항 현대형 대의제 599 제4항 현행헌법과 대의제 600 제3절 권력분립의 원리 601 제1항 권력분립 원리의 의의 601 제2항 고전적 권력분립론의 전개 602 제4항 권력분립제의 위기와 현대적 변용 603 제4절 법치주의의 원리 604 제5절 책임정치의 원리 604 Chapter 02. 통치구조의 형태 605 제1절 정부형태의 의의와 분류 605 제1항 정부형태의 의의 605 제2항 정부형태의 분류 605 제2절 정부형태의 기본유형 605 제1항 의원내각제 605 제2항 대통령제 607 제3항 의원내각제와 대통령제의 비교 608 제3절 제3유형의 정부형태 609 제1항 이원집행부제(이원정부제) 609 제2항 의회정부제(회의정부제, 집단정부제) 610 제4절 한국헌법과 정부형태 611 제1항 역대헌법과 정부형태의 변천 611 제2항 현행헌법의 정부형태 611 Chapter 03. 통치작용(국가기능ㆍ통치권력) 613 제1절 입법작용(입법권) 613 제1항 입법권의 의의와 범위 613 제2항 입법권의 한계 619 제2절 집행작용(집행권) 619 제1항 집행권의 의의 619 제2항 행정권의 의미와 범위 620 제3절 사법작용(사법권) 620 제1항 사법(작용)의 의의 620 제2항 사법작용의 기능 620 제3항 사법권의 의미와 범위 620 제4항 사법권의 한계 621 Chapter 04. 국회와 국회의원 626 제1절 국 회 626 제1항 의회주의(의회제도) 626 제2항 국회의 헌법상 지위 627 제3항 국회의 구성과 조직 627 제4항 국회의 운영과 의사절차 635 제5항 국회의 권한 642 제2절 국회의원의 헌법상 지위와 특권 672 Chapter 05. 대통령과 정부 683 제1절 대통령 683 제1항 대통령의 헌법상 지위 683 제2항 대통령의 선거 683 제3항 대통령의 신분과 직무 685 제4항 대통령의 권한 689 제2절 정 부 716 제1항 정부의 의의 716 제2항 국무총리 716 제3항 국무위원 719 제4항 국무회의 720 제5항 행정각부 722 제6항 대통령의 자문기관 725 제3절 감사원 726 제4절 선거관리위원회 729 제1항 선거관리위원회의 헌법상 지위 729 제2항 선거관리위원회의 종류 729 제3항 선거관리위원회의 권한과 의무 730 Chapter 06. 법 원 731 제1항 법원의 헌법상 지위 731 제2항 사법권의 독립 731 제3항 법원의 조직 739 제4항 법원의 권한 743 제5항 사법의 절차와 운영 744 제6항 대법원의 규칙제정권 745 Chapter 07. 헌법재판소 747 제1절 헌법재판소 일반론 747 제1항 헌법재판제도 747 제2항 헌법재판소의 헌법상 지위 749 제3항 헌법재판소의 구성과 조직 749 제4항 헌법재판소의 심판절차 751 제2절 위헌법률심판권 763 제3절 탄핵심판권 790 제4절 정당해산심판권 798 제5절 권한쟁의심판권 802 제6절 헌법소원심판권 826 제1항 권리구제형 헌법소원(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1항의 헌법소원) 827 제2항 위헌심사형 헌법소원(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의 헌법소원) 883 ■사항색인 894 ■판례색인 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