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오래되고 멋진 클래식 레코드 (1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村上春樹, 1949- 홍은주, 1967-
서명 / 저자사항
오래되고 멋진 클래식 레코드 = My good old classical records / 무라카미 하루키 ; 홍은주 옮김
발행사항
파주 :   문학동네,   2022  
형태사항
354 p. : 천연색삽화 ; 22 cm
원표제
古くて素敵なクラシック·レコードたち
ISBN
9788954685672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2369
005 20220422175121
007 ta
008 220406s2022 ggka 000c kor
020 ▼a 9788954685672 ▼g 03830
035 ▼a (KERIS)BIB000016147644
040 ▼a 244009 ▼c 244009 ▼d 211009
041 1 ▼a kor ▼h jpn
082 0 4 ▼a 780.15 ▼2 23
085 ▼a 780.15 ▼2 DDCK
090 ▼a 780.15 ▼b 2022
100 1 ▼a 村上春樹, ▼d 1949- ▼0 AUTH(211009)28254
245 1 0 ▼a 오래되고 멋진 클래식 레코드 = ▼x My good old classical records / ▼d 무라카미 하루키 ; ▼e 홍은주 옮김
246 1 9 ▼a 古くて素敵なクラシック·レコードたち
246 3 ▼a Hurukute sutekina kurasikku·recodotachi
260 ▼a 파주 : ▼b 문학동네, ▼c 2022
300 ▼a 354 p. : ▼b 천연색삽화 ; ▼c 22 cm
700 1 ▼a 홍은주, ▼d 1967- ▼0 AUTH(211009)45464
900 1 0 ▼a 무라카미 하루키, ▼e
945 ▼a ITMT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15 2022 등록번호 11186221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80.15 2022 등록번호 1513592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15 2022 등록번호 11186221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80.15 2022 등록번호 1513592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본업인 소설가 외에도 사시사철 음악과 함께하는 애호가, 눈에 들어온 것은 저도 모르게 모아버리고 마는 수집가로도 유명한 무라카미 하루키가 개인적으로 소장중인 1만 5천여 장의 아날로그 레코드 중 486장의 클래식 레코드를 한 권의 책에 담아냈다. 100여 곡의 명곡에 얽힌 사사로운 에피소드를 따라가다보면 클래식 애호가든 아니든 어느새 이야기에 푹 빠져들게 만드는 하루키 매직을 만나게 된다.

고등학교 시절부터 클래식을 애청하며 창작의 원천이자 오랜 취미생활로 삼아온 작가는 “레코드를 모으는 것이 취미라서 이럭저럭 육십 년 가까이 부지런히 레코드가게를 들락거리고 있다”라고 밝히며 이 책을 시작한다.

최근 들어 컬렉터를 대상으로 발매되는 화려하고 다양한 사양의 LP와 다르게 대부분 “1950년부터 1960년대 중반에 녹음된 새카만 바이닐 디스크”이며, 별다른 체계와 목적 없이 눈에 띄는 대로 사모은 탓에 “통일성이라고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중구난방의 컬렉션이라고 작가는 말한다.

하지만 틈날 때마다 한 장 한 장 정성껏 손질하며 턴테이블에 올리고, 지휘자와 연주자뿐 아니라 음반사, 녹음연도에 따라서도 미묘하게 달라지는 연주의 결에 귀기울이는 모습에서는 클래식 팬으로서의 진지한 애정이 가득 묻어난다.

“오래된 먼지투성이 레코드를 싼값에 데려와 최대한 반짝반짝하게 만들어주는 것은 내게 무엇보다 큰 기쁨이다”라며 아날로그 레코드의 물성을 예찬하는 작가의 태도는 분야를 막론하고 무언가에 애착을 가지고 수집해본 사람들, 나아가 독자 입장에서 그의 소설을 오랫동안 애독해온 사람들에게 색다른 공감대를 형성한다.

“자랑할 정도는 아니지만, 이런 걸 모았답니다.”

60년째 지속가능한 취미생활의 결정체
무라카미 하루키의 레코드장 엿보기

#에세이 #클래식 #LP #아날로그 #빈티지 #수집 #취미
무라카미 하루키 최신간 에세이
박종호 & 김겨울 추천!


본업인 소설가 외에도 사시사철 음악과 함께하는 애호가, 눈에 들어온 것은 저도 모르게 모아버리고 마는 수집가로도 유명한 무라카미 하루키가 개인적으로 소장중인 1만 5천여 장의 아날로그 레코드 중 486장의 클래식 레코드를 한 권의 책에 담아냈다. 100여 곡의 명곡에 얽힌 사사로운 에피소드를 따라가다보면 클래식 애호가든 아니든 어느새 이야기에 푹 빠져들게 만드는 하루키 매직을 만나게 된다.

작가도 수집가도 아닌 취미생활자 무라카미 하루키가
60년간 습관처럼 모아버린 특별하고 개인적인 컬렉션


고등학교 시절부터 클래식을 애청하며 창작의 원천이자 오랜 취미생활로 삼아온 작가는 “레코드를 모으는 것이 취미라서 이럭저럭 육십 년 가까이 부지런히 레코드가게를 들락거리고 있다”라고 밝히며 이 책을 시작한다. 최근 들어 컬렉터를 대상으로 발매되는 화려하고 다양한 사양의 LP와 다르게 대부분 “1950년부터 1960년대 중반에 녹음된 새카만 바이닐 디스크”이며, 별다른 체계와 목적 없이 눈에 띄는 대로 사모은 탓에 “통일성이라고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중구난방의 컬렉션이라고 작가는 말한다. 하지만 틈날 때마다 한 장 한 장 정성껏 손질하며 턴테이블에 올리고, 지휘자와 연주자뿐 아니라 음반사, 녹음연도에 따라서도 미묘하게 달라지는 연주의 결에 귀기울이는 모습에서는 클래식 팬으로서의 진지한 애정이 가득 묻어난다. “오래된 먼지투성이 레코드를 싼값에 데려와 최대한 반짝반짝하게 만들어주는 것은 내게 무엇보다 큰 기쁨이다”라며 아날로그 레코드의 물성을 예찬하는 작가의 태도는 분야를 막론하고 무언가에 애착을 가지고 수집해본 사람들, 나아가 독자 입장에서 그의 소설을 오랫동안 애독해온 사람들에게 색다른 공감대를 형성한다.

하루키 문학의 열쇠가 되는 클래식 레코드
그간 소설에서 접해온 ‘하루키 월드’의 흔적을 찾아내는 재미


책에서는 차이콥스키, 모차르트, 라흐마니노프, 바흐 등 익히 잘 알려진 작곡가들의 교향곡과 협주곡에서 로시니와 비제의 오페라, 들리브의 무용음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품을 아우른다. 더불어 비첨, 오그던, 마르케비치, 오자와 등 작가가 특별히 즐겨 듣는 거장 지휘자들의 음반은 따로 모아 언급하면서 총 100곡이 넘는 클래식 명곡을 다룬다. 대외적인 평가보다는 개인적인 취향과 ‘어쩌다보니 모여버린’ 목록을 우선한 방대한 이 리스트에서 그간 소설에서 접해온 ‘하루키 월드’의 흔적을 찾아내는 것도 재미다. 『태엽 감는 새』의 첫 장을 여는 로시니 오페라 <도둑까치> 서곡, 『일인칭 단수』에서 인상적인 단편소설로 탄생한 슈만의 <사육제> 등 소설 제목에 전면적으로 등장했던 곡이 먼저 눈길을 끌고, 『해변의 카프카』의 베토벤 피아노삼중주 <대공>, 『노르웨이의 숲』의 브람스 피아노협주곡 2번 등 그간의 대표작에서 인물 심리와 취향을 드러내는 데 효과적인 역할을 한 곡들도 언급된다. 하차투랸의 바이올린협주곡을 들으면서는 스스로 팬이라고 여러 번 밝힌 레이먼드 챈들러의 장편소설 『기나긴 이별』의 한 구절을 인용하기도 한다.

오직 취향과 우연으로 골라낸,
경이롭고 감탄할 하루키만의 플레이리스트


세계적인 작가이니 음악 감상법에도 자기만의 고집이 있지 않을까 싶지만, 무라카미 하루키가 레코드를 사고 듣는 기준은 지극히 개인적이고 단순하다. 세일품 상자를 뒤지다가 그저 재킷 디자인이 마음에 들어서 집어들기도 하고, 가격이 너무 저렴해서 사버리기도 한다. 어떤 레코드는 틀기만 하면 잠이 들어버리는 탓에 낮잠의 배경음악으로 애용한다고 밝힌다. 그만큼 일상생활에 녹아든 취미로서 자유롭게 향유하는 한편, 치열한 음악 비즈니스의 세계에서 재능을 소모하고 사라져간 음악가의 흔적을 겸허하게 바라보고, 거장의 젊은 시절 발자취를 담담하게 더듬어간다. 단순한 취미생활 에세이를 넘어 일가를 이룬 작가로서 다른 분야의 예술을 탐닉하고 또 경외하는 자세를 엿볼 수 있는 보물 같은 책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무라카미 하루키(지은이)

일본의 작가, 영미문학 번역가. 1949년 교토에서 태어났다. 와세다대학교 제1문학부 연극과를 졸업했다. 대학 재학 중에 결혼하여 1974년부터 7년여 동안 아내와 재즈 카페를 운영했다. 서른 살을 앞두고 소설을 쓰기 시작한 그는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1979)로 《군조》 신인문학상을 수상하면서 등단했다. 1981년부터 전업 작가로서 활동했고, 1987년에 발표한 《노르웨이의 숲》으로 경이로운 판매 기록을 세운다. 이는 일본 문화계에 ‘무라카미 하루키 신드롬’이리는 용어를 각인시키는 계기가 된다. 이후 《양을 둘러싼 모험》,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 《태엽 감는 새》, 《1Q84》, 《기사단장 죽이기》 등 화제작을 차례차례 발표했다. 일본을 넘어 아시아를 비롯한 미국, 유럽, 러시아까지 총 5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된 그의 책들은 각국 베스트셀러 목록에 오르고 권위 있는 문학상들을 수상했다. 무라카미 하루키는 영미문학 번역가로도 유명하다. 스콧 피츠제럴드, 레이먼드 챈들러, 레이먼드 카버, 트루먼 커포티 같은 작가의 작품을 일본어로 옮겨 재조명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홍은주(옮긴이)

이화여자대학교 불어교육학과와 동 대학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했다. 일본에 거주하며 프랑스어와 일본어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기사단장 죽이기》 《양 사나이의 크리스마스》, 미야모토 테루의 《등대》, 미야베 미유키의 《안녕의 의식》, 델핀 드 비강의 《실화를 바탕으로》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왜 아날로그 레코드인가 008
1 스트라빈스키 〈페트루슈카〉 016
2 슈만 교향곡 2번 C장조 작품번호 61 019
3 모차르트 피아노협주곡 25번 C장조 K.503 022
4 라흐마니노프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 작품번호 43 025
5 쇼팽 발라드 3번 A♭장조 작품번호 47 028
6 포레 〈레퀴엠〉 작품번호 48 031
7 하차투랸 바이올린협주곡 D단조 034
8 모차르트 교향곡 41번 〈주피터〉 C장조 K.551 037
9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교향시 〈돈키호테〉 작품번호 35 040
10 멘델스존 바이올린협주곡 E단조 작품번호 64 043
11 그로페 〈그랜드캐니언 모음곡〉 046
12 베토벤 바이올린소나타 9번 〈크로이처〉 A장조 작품번호 47 049
13 베토벤 바이올린소나타 5번 〈봄〉 F장조 작품번호 24 052
14 본 윌리엄스 〈탈리스 주제에 의한 환상곡〉 055
15 요제프 하이든 피아노소나타 48번 C장조 Hob.ⅩⅥ/35 058
16 요제프 하이든 교향곡 94번 〈놀람〉 G장조 061
17 브람스 간주곡집 작품번호 116, 117, 118, 119 064
18 쇼스타코비치 피아노협주곡 1번 C단조 작품번호 35
쇼스타코비치 피아노협주곡 2번 F장조 작품번호 102 067
19 쇤베르크 〈정화된 밤〉 작품번호 4 오케스트라판 073
20 쇤베르크 〈정화된 밤〉 작품번호 4 현악육중주판 076
21 베토벤 피아노삼중주 7번 〈대공〉 B♭장조 작품번호 97 079
22 드뷔시 전주곡집 1권 082
23 베토벤 칠중주 E♭장조 작품번호 20 085
24 버르토크 현악사중주 4번 088
25 차이콥스키 바이올린협주곡 D장조 작품번호 35 091
26 로시니 가극 〈도둑까치〉 서곡 094
27 라벨 현악사중주 F장조 097
28 풀랑크 〈글로리아〉 103
29 브람스 교향곡 3번 F장조 작품번호 90 106
30 브람스 바이올린협주곡 D장조 작품번호 77 109
31 베토벤 교향곡 5번 〈운명〉 C단조 작품번호 67 115
32 베토벤 교향곡 6번 〈전원〉 F장조 작품번호 68 118
33 버르토크 〈중국의 이상한 관리〉 작품번호 19 121
34 헨델 〈수상음악〉 124
35 말러 교향곡 1번 D장조 127
36 스트라빈스키 〈불새〉 모음곡 130
37 슈만 〈사육제〉 작품번호 9 133
38 라흐마니노프 피아노협주곡 4번 G단조 작품번호 40 139
39 비발디 비올라다모레를 위한 협주곡집 등 142
40 베토벤 현악사중주 14번 C?단조 작품번호 131 145
41 베토벤 피아노협주곡 1번 C장조 작품번호 15 151
42 블로흐 〈셸로모 첼로와 관현악을 위한 히브리 광시곡〉 154
43 랄로 스페인 교향곡 D단조 작품번호 21 157
44 모차르트 클라리넷협주곡 A장조 K.622 160
45 버르토크 피아노협주곡 1번 163
46 슈만 피아노오중주 E♭장조 작품번호 44 166
47 리스트 피아노협주곡 1번 E♭장조 169
48 멘델스존 교향곡 3번 〈스코틀랜드〉 A단조 작품번호 56 172
49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5번 D단조 작품번호 47 175
50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네 개의 마지막 노래〉 178
51 슈베르트 피아노소나타 21번 B♭장조 D.960(유작) 181
52 림스키코르사코프 교향 모음곡 〈셰에라자드〉 작품번호 35 187
53 모차르트 피아노사중주 1번 G단조 K.478 193
54 크라이슬러 소품집 196
55 라흐마니노프 교향곡 2번 E단조 작품번호 27 199
56 J. S. 바흐 두 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 D단조 BWV1043 202
57 스트라빈스키 〈병사의 이야기〉 208
58 파야 〈스페인 정원의 밤〉 211
59 모차르트 현악오중주 4번 G단조 K.516 217
60 버르토크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 220
61 J. S. 바흐 관현악 모음곡 2번 B단조 BWV1067 226
62 프로코피예프 모음곡 〈키제 중위〉 작품번호 60 229
63 모차르트 피아노협주곡 20번 D단조 K.466 232
64 시벨리우스 교향곡 5번 E♭장조 작품번호 82 235
65 드뷔시 〈바다〉 238
66 모차르트 교향곡 38번 〈프라하〉 D장조 K.504 241
67 댕디 〈프랑스 산사람 노래에 의한 교향곡〉 G장조 작품번호 25 244
68 J. S. 바흐 두 대의 하프시코드를 위한 협주곡 2번 C장조 BWV1061 247
69 슈베르트 현악오중주 C장조 D.956 250
70 차이콥스키 교향곡 6번 〈비창〉 B단조 작품번호 74 256
71 그리그 바이올린소나타 3번 C단조 작품번호 45 259
72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돈 후앙〉 작품번호 20 262
73 오르프 세속 칸타타 〈카르미나 부라나〉 265
74 브람스 피아노협주곡 2번 B♭장조 작품번호 83 268
75 J. S. 바흐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4번 G장조 BWV1049 271
76 리스트 교향시 〈전주곡〉 274
77 프랑크 바이올린소나타 A장조 277
78 요한 슈트라우스 가극 〈집시 남작〉 280
79 말러 교향곡 4번 G장조 283
80 차이콥스키 피아노협주곡 1번 B♭단조 작품번호 23 286
81 슈만 첼로협주곡 A단조 작품번호 129 289
82 브람스 피아노삼중주 1번 B장조 작품번호 8 292
83 시벨리우스 교향시 〈포욜라의 딸〉 작품번호 49 295
84 말러 〈죽은 아이를 그리는 노래〉 298
85 들리브 발레 모음곡 〈코펠리아〉 304
86 J. S. 바흐 〈음악의 헌정〉 BWV1079 307
87 차이콥스키 환상서곡 〈로미오와 줄리엣〉 310
88 프로코피예프 〈스키타이 모음곡〉 작품번호 20 313
89 모차르트 현악사중주 15번 D단조 K.421 316
90 베르크 현악사중주를 위한 〈서정 모음곡〉 319
91 버르토크 비올라협주곡(유작) 322
92 브람스 피아노오중주 F단조 작품번호 34 325
93 슈베르트 〈방랑자 환상곡〉 C장조 작품번호 15 D.760 328
94 비제 가극 〈진주조개잡이〉 331
95 모차르트 호른협주곡 3번 E♭장조 K.447 334
96 베토벤 피아노소나타 32번 C단조 작품번호 111 337
97 토머스 비첨의 멋진 세계 343
98 존 오그던의 개성적인 생애 346
99 마르케비치의 구덩이 349
100 젊은 날의 오자와 세이지 352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