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나의 투쟁 보고서 : 미얀마 혁명시집

나의 투쟁 보고서 : 미얀마 혁명시집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Ketty, 저 우 탄툿우, 역 문창길, 1958-, 편 박주하, 편 이송우, 1971-, 편 도정, 감수
서명 / 저자사항
나의 투쟁 보고서 : 미얀마 혁명시집 / 켓티 외 ; 우 탄툿우 번역
발행사항
서울 :   들꽃,   2022  
형태사항
181 p. ; 21 cm
총서사항
들꽃세계문학선 ;003
ISBN
9788961432207
일반주기
편자: 문창길, 박주하, 이송우  
감수: 도정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2215
005 20220902103602
007 ta
008 220406s2022 ulk 000cp kor
020 ▼a 9788961432207 ▼g 03810
035 ▼a (KERIS)BIB000016144290
040 ▼a 211014 ▼c 211014 ▼d 211009
041 1 ▼a kor ▼h bur
082 0 4 ▼a 895.81008 ▼2 23
085 ▼a 898.581008 ▼2 DDCK
090 ▼a 898.581008 ▼b 2022
245 0 0 ▼a 나의 투쟁 보고서 : ▼b 미얀마 혁명시집 / ▼d 켓티 외 ; ▼e 우 탄툿우 번역
260 ▼a 서울 : ▼b 들꽃, ▼c 2022
300 ▼a 181 p. ; ▼c 21 cm
490 1 0 ▼a 들꽃세계문학선 ; ▼v 003
500 ▼a 편자: 문창길, 박주하, 이송우
500 ▼a 감수: 도정
700 0 ▼a Ketty, ▼e
700 0 ▼a 우 탄툿우, ▼e
700 1 ▼a 문창길, ▼d 1958-, ▼e▼0 AUTH(211009)146562
700 1 ▼a 박주하, ▼e▼0 AUTH(211009)146563
700 1 ▼a 이송우, ▼d 1971-, ▼e▼0 AUTH(211009)146564
700 0 ▼a 도정, ▼e 감수
830 0 ▼a 들꽃세계문학선 ; ▼v 003
900 0 0 ▼a 켓티,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98.581008 2022 등록번호 1118620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들꽃세계문학선 3권. 미얀마 전역에서 활동하는 시인, 작가들의 군부의 폭력과 탄압에 맞서 저항하는 혁명시집.

미얀마 작가들의 문학투쟁을 지지하며

지난 2월 1일 미얀마에서 군부쿠데타가 일어나 아웅산 수치 여사가 이끄는 민간정부를 강탈한 이후 군사령관 민아웅 흘라잉은 무장 군인을 통해 국민들을 탄압하고, 인권을 유린하는 등 이로 인해 수 많은 희생자와 난민이 발생하고 있다. 현재도 미얀마 군부쿠데타 세력은 현재 아웅산 수찌(Aung San Suu Kyi) 여사가 이끄는 민족민주동맹(NLD)의 지도자들과 의원들을 구금하고 있다. 군부는 쿠데타에 반발하는 미얀마 민족민중들을 향해 총격과 전투기를 동원 공중폭격을 가하는 등 현재 약 1,000여 명이 넘는 희생자가 발생했으며, 수많은 부상자와 난민이 속출하고 있어 국제사회의 비난을 강하게 받고 있다. 비무장 상태에서 저항하는 시민들은 국제사회의 개입을 호소하는가 하면, 각 소수민족 무장반군과 손을 잡고 투쟁하고 있기도 하다.
미얀마 군부 세력은 지난 2020년 11월 치러진 총선이 부정선거라는 명분하에 쿠데타를 일으켰다. 그들은 수 만 명의 선거인 명부가 조작되었다고 주장하며, 이에 대한 민간 정부의 해명을 요구하였으나 기대했던 답변이 없는 점을 빌미로 군사쿠데타를 일으켰다. 우리는 지난 2017년 소수민족인 로힝야족을 탄압하고 집단 거주지를 소개하며 학살을 일삼았던 군부의 만행을 전 세계 시민들과 함께 지켜보았다. 여기에 민간 정부를 책임지고 있는 아웅산 수치 여사는 군부의 입장을 옹호하는 발언 등으로 국제 사회의 거센 비난을 자초하기도 했다. 이로 인해 세계 여러 기관에서 받았던 인권상과 평화상 등이 취소되거나 박탈당하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미얀마는 매우 중요한 기로에 서 있다. 현재 벌어지고 있는 군부 쿠데타 세력의 탄압에 맞선 각 민족민중들의 투쟁이 승리해서 한 단계 발전된 민주사회로 나아가느냐, 아니면 군부쿠데타 세력이 계속 정권을 유지하느냐 하는 갈림길에 서 있는 것이다. 사태가 악화되자 투쟁 시민들은 소수민족 방위군들과 연대를 모색하며, 무장투쟁을 전개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와같이 소수민족 무장투쟁 세력들과 시민방위군이 쿠데타군과의 장기전으로 치닫는다면 미얀마는 국가분열 상태로 접어들 가능성이 농후하다. 더 이상 희생자가 나오지 않고 정상 국가가 되기 위해서는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실효적인 중재안과 쿠데타 세력이 물러나는 일이다.
한편, 미얀마의 현 상황을 두고 국내 일부 반미운동을 하는 인사들의 발언과 태도는 매우 우려스럽다. 쿠데타에 저항하며, 평화적으로 비무장 투쟁을 하는 민족민주단체와 시민들의 배후에 미국이 지원한다거나 조종하고 있다는 근거 없는 발언과 주장은 매우 유감이다. 쿠데타군들에 의해 고통 받고 있는 미얀마 민주시민 세력의 순수한 민주화 투쟁마저 추상적 반미주의 시각에서 평가하고 진단하는 것은 우려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미얀마는 다민족 국가로서 각자 독립적이고 민주적인 정치력을 발휘해, 군부쿠데타군과 대항하고 투쟁있는 것이 현실이다.
미얀마 군부쿠데타 세력의 권력찬탈에 반대하고 민주시민세력에 지지를 보내며 인도적 지원과 투쟁기금을 모아 전달하는 등 오월 광주를 겼었던 역사적 경험을 바탕삼아 연대와 지지를 보내는 한국 국민들과 작가들에게 미얀마 시민들은 우호적인 태도와 고마움을 전하고 있는 것을 우리는 지켜보고 있다. 이에 창작21작가회도 이미 미얀마 작가들의 민주화투쟁에 대한 연대와 지지 성명서를 발표한 바 있다. 또한 쿠데타 발발 이후 지금까지 많은 작가들과 일반 시민들의 성금과 기부물품을 모아 현지인들과 국경 난민지역에 생활용품과 생계비 지원 등을 보내고 있다.

이번 혁명시집을 발간하게 된 동기는 지난 여름 오래전부터 교류해온 샨주의 나이멍 아웅뜨윈 시인을 통해 3백여 편의 미얀마 시인, 작가들이 쓴 혁명시를 전달 받았다. 이 시들은 미얀마 전역에서 활동하는 시인, 작가들로 군부의 폭력과 탄압에 맞서 저항하는 혁명시들이었다. 필자로서는 이 혁명시를 일일이 검토하면서 흥분하지 않을 수 없었다. 또 혁명시를 전해준 아웅뜨윈 시인도 한국어로 번역되어 한국의 많은 작가들과 독자들에게 읽혀지기를 기대한다는 뜻을 보내왔다. 이에 미얀마 혁명시집을 발간하기로 하고, 『창작21』 몇몇 편집위원을 중심으로 실무팀을 구성 번역 및 감수 작업에 착수하였다. 번역과 함께 출간에 따른 비용 확보를 위한 궁리 끝에 텀블벅을 활용하자는 데에 의견을 모으고 실행에 옮겼다. 한 달 동안 사회적기금을 모금 하였는데, 전국의 작가들과 일반 후원자들의 성원에 크게 힘 입어 목표금액을 초과 달성하면서 이번 혁명시집을 순조롭게 발간할 수 있게 되었다. 후원자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 드리고자 한다. 덧붙여, 이번 혁명시집 발간은 미얀마 시인들의 신변 안전에도 우려하지 않을 수 없어 매우 신중하고 조심스러운 작업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한편, 미얀마 시인들의 작품을 번역해 주신 우 탄툿우 교수님과 감수를 해 주신 도정스님께 깊은 감사 인사를 드린다.
끝으로 이번 혁명시집에 뜻을 모아 작품 정리, 교정 등 실무를 도맡아 해 주신 박주하, 이송우 창작21 편집위원의 노고에 감사하다. 관심을 갖고 성원해준 여러분들의 뜻이 충분히 미얀마 작가들에게 힘과 용기가 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2022년 1월 겨울
문 창 길(시인)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책머리에

제1부 나의투쟁보고서
켓티 나의 투쟁 보고서
캇우 저주
루아웅(웬뜨웬) 어머님께
ㆍ
ㆍ
[중략]
ㆍ
ㆍ
싸웅웨(낫마웃) 혁명하는 인생
예요 2월의 봄
녜잉멘나인 민주주의의 노래를 다 함께 합창합시다

제2부 새로운 봄의 노래
모쪼테 혁명의 시
소카인녜잉 군중혁명
하셰인 새로운 봄의 노래
ㆍ
ㆍ
[중략]
ㆍ
ㆍ
꼬조(까레시) 약속
미약(까레) 밤8시의 노래
모따웃쭈에 오늘의 열사들

제3부 우리 모두가 국가다
요미예 혁명
떼마웅 별이 빛나는 밤
링띳(니흐시예따잇) 별꽃 한 개
ㆍ
ㆍ
[중략]
ㆍ
ㆍ
린띳(흐닌시예다잇) 당신들의 비상회의는 아직 끝나지 않았는가?
마웅피라 난쟁이의 연설
아웅카인미앗 길을 안내하는 지도

제4부 혁명의 미소
렌뜻(흐닌시예따잇) 젖어 있는 큰 도로
쪼뎃르웬 부르는 소리
뚜탓산 혁명
ㆍ
ㆍ
[중략]
ㆍ
ㆍ
꼬유예 디바운의 깃발
민조 죽을 때까지 증오하리
모쩌테이 혁명

발문
나이명 아웅뜨윈 밤낮없는 고되고 지난한 나날
킨 미야 진 미얀마와 미얀마 민주 시민들을 기억해 달라
티낫코 미얀마 시인들의 혁명시를 알리 수 있게 되어 기뻐

후기
박주하 미래를 위햐, 자유를 위해 투쟁
이송우 미얀마에서는 ''인간의 슬픈 증거''가 매일 벌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