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2111 | |
005 | 20221013164756 | |
007 | ta | |
008 | 220406s2022 ulk 000c kor | |
020 | ▼a 9791138806206 ▼g 03370 | |
035 | ▼a (KERIS)REQ000055790034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82 | 0 4 | ▼a 379.519 ▼c 23 |
085 | ▼a 379.53 ▼2 DDCK | |
090 | ▼a 379.53 ▼b 2022z4 | |
100 | 1 | ▼a 김동환, ▼d 1970- ▼0 AUTH(211009)147060 |
245 | 1 0 | ▼a 교육의 바른길, 우리 함께 갑시다 : ▼b 진정한 교육 혁신을 이루어 낼 방안은 무엇인가? / ▼d 김동환 지음 |
260 | ▼a 서울 : ▼b 좋은땅, ▼c 2022 | |
300 | ▼a 213 p. ; ▼c 23 cm |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9.53 2022z4 | 등록번호 11186194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진정한 교육 혁신을 이루어 낼 방안은 무엇인가? 장학사 출신의 저자가 우리 교육이 가야 할 바른길에 대해 고민한 흔적을 『교육의 바른길, 우리 함께 갑시다』에 남겼다. 전문성과 미래 비전, 지역을 살리는 확실한 정책적 대안이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다.
진정한 교육 혁신을 이루어 낼 방안은 무엇인가?
희망 가득한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위한 교육의 바른길을 찾아
교육은 정치와 달라야 하지만 기존 정치판을 흉내 내는 진영 논리를 교육계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교육자치가 발전하는 시대에 발맞추어 교육감의 철학과 신념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제는 지방자치 이상으로 교육자치도 중요하다. 전문성과 미래 비전, 지역을 살리는 확실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저자는 교육의 바른길을 제시하고, 진정한 교육 혁신을 이루어 낼 방안이 무엇인지 고민할 때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포용과 통합의 정신이 균형 잡힌 조화로운 교육을 지향해야 하며, 이것이 바로 교육 리더십이라고 주장한다. 공교육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고, 학교에서 진정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으려면 어떤 길을 가야 하는지 외치는 저자의 목소리가 많은 이들에게 닿기를 바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동환(지은이)
학력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 졸업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석사 위스콘신오시코시대학교 대학원 교육리더십과 정책학석사 경력 현) 광주전남미래교육희망포럼 상임대표 전) 득량남초등학교 교장 전) 화순 동복초등학교, 도곡초등학교 교감 전) 전라남도교육청 장학사 전) 진도·영암교육청 장학사 전) ‌순천북초·해룡초·흑산초홍도분교·서울삼정초·서울공진초등학교 교사 전) 전남초등교(원)감협의회 회장 전) 국정통합교과서 편찬위원 저자와의 만남 이메일: donghwank005@gmail.com 페이스북: donghwank

목차
시작하며: 이 시대가 요구하는 교육 리더십 1부 혁신학교 말고 교육혁신 하자 Ⅰ. 혁신학교 12년! 줄지 않는 사교육비 1. 무엇을 혁신할 것인가? 2. 혁신학교 VS 교육혁신 Ⅱ. 학생 수능성적 전국 꼴찌! 1. 문제는 대학입시다 2. 잿밥에만 공들이는 정책들 Ⅲ. 한 아이도 포기하지 않는다? 1. 매년 학교를 떠나는 아이들만 1,300명 2. 내로남불 인사정책! 선생님도 떠난다 리더십 1: 왜 포용과 통합의 리더십인가? 2부 전남교육, 젊고 새롭게 Ⅰ.학부모는 자녀의 학력을 알 권리가 있다 1. 학업성취도 평가? 2. 효도와 예절부터 가르친다 Ⅱ. 사교육비 절감을 위해 학원부터 알자 1. 공교육 혁신, 학부모 신뢰 회복부터 2.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려면 다양해야 한다 Ⅲ. 수많은 복지 중 왜 아침밥인가? 1. 아침, 방학 중 급식 2. 교육의 의무 끝까지 간다 리더십 2: 사람을 이해하는 리더십이란? Ⅳ. 아이들에게 친구를 만들어 주자 1. 전남 학생이 먼저다 2. 이왕 가는 유학이라면 서울보다 해외로 Ⅴ. 목포사람 목포에서, 여수사람 여수에서 1. 교직원 근속상한연한 전격 폐지! 2. 이렇게 하면 수업에만 전념할 수 있다 3. 학교의 「자율책임 경영제」란? 4. 교장공모제 투표로 바꾼다면 맺음말: 우리 함께 갑시다, 교육의 바른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