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교육 대전환, 리더에게 묻다 (Loan 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상희, 1964-, 저 조희연, 曺喜昖, 1956-, 저 반상진, 潘相振, 1960-, 저 나영돈, 저 강대중, 姜大仲, 1971-, 저 김진경, 1953-, 저 윤상민, 저
Title Statement
교육 대전환, 리더에게 묻다 / 박상희 [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지식의날개 :   한국방송대학교출판문화원,   2022  
Physical Medium
320 p. : 삽화 ; 21 cm
ISBN
9788920042768
General Note
공저자: 조희연, 반상진, 나영돈, 강대중, 김진경, 윤상민  
기획: KNOU위클리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2109
005 20221013162431
007 ta
008 220406s2022 ulka AZ c kor
020 ▼a 9788920042768 ▼g 03370
035 ▼a (KERIS)BIB000016147660
040 ▼a 244006 ▼c 244006 ▼d 211009
082 0 4 ▼a 379.519 ▼2 23
085 ▼a 379.53 ▼2 DDCK
090 ▼a 379.53 ▼b 2022z3
245 0 0 ▼a 교육 대전환, 리더에게 묻다 / ▼d 박상희 [외]
260 ▼a 서울 : ▼b 지식의날개 : ▼b 한국방송대학교출판문화원, ▼c 2022
300 ▼a 320 p. : ▼b 삽화 ; ▼c 21 cm
500 ▼a 공저자: 조희연, 반상진, 나영돈, 강대중, 김진경, 윤상민
500 ▼a 기획: KNOU위클리
700 1 ▼a 박상희, ▼d 1964-, ▼e▼0 AUTH(211009)2493
700 1 ▼a 조희연, ▼g 曺喜昖, ▼d 1956-, ▼e▼0 AUTH(211009)57990
700 1 ▼a 반상진, ▼g 潘相振, ▼d 1960-, ▼e▼0 AUTH(211009)66254
700 1 ▼a 나영돈, ▼e
700 1 ▼a 강대중, ▼g 姜大仲, ▼d 1971-, ▼e▼0 AUTH(211009)85559
700 1 ▼a 김진경, ▼d 1953-, ▼e▼0 AUTH(211009)14477
700 1 ▼a 윤상민, ▼e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9.53 2022z3 Accession No. 11186194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10년이 걸릴지도 몰랐던 일이 6개월 만에 이루어졌다. 2020년 코로나19로 갑작스럽게 소환된 미래교육을 두고 하는 말이다. 2년이 지난 지금 코로나19는 여전히 우리 일상에 깊이 들어와 있고, 사회적 불평등의 격차는 교육 분야에서 더 확연히 드러났다. 전면 등교 혹은 원격 수업은 일주일에 몇 번으로 정할지 등 위기 상황에 따라 그때그때 달라지는 지침은 혼란스럽기만 하다. 분명한 것은 코로나19 이후로 돌아갈 수 없다는 사실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한민국의 교육정책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까.

2020년부터 유아교육, 초․중등교육, 고등교육에서 재취업․직업교육훈련, 평생교육, 국가교육 분야를 책임지고 있는 대표 교육기관의 리더 6인을 만나 인터뷰를 진행했다. 유아교육과 초‧중등교육 분야에서는 박상희 육아정책연구소장과 조희연 서울특별시교육감을 만나 어린이집‧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 정책의 방향에 대해 들어보았고, 고등교육에서는 2020년 당시 국가교육개발원장을 지낸 반상진 전북대 교육학과 교수, 재취업‧직업교육훈련 분야로는 나영돈 한국고용정보원장을 만나 현재 대학이 직면한 문제의 해결 방안을 모색했다.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펴내는 강대중 국가평생교육진흥원장, 미래형 교육체제 수립을 준비하는 국가교육회의 김진경 의장까지 기관장 6인의 인터뷰를 통해 지금과는 다른 ‘교육 대전환’의 방향성을 가늠해 본다.

교육 리더 6인이 말하는
1세부터 100세까지 교육정책의 현황과 미래
2020년 코로나19는 짧은 기간에 교육 현장을 송두리째 바꿔 놓았다. 비대면 온라인 수업이 일상이 된 교육 현장에서 배움의 모습은 어떻게 달라지고 있을까. 유아교육, 초․중등교육, 고등교육에서 재취업․직업교육훈련, 평생교육, 국가교육 분야를 책임지고 있는 대표 교육기관 리더 6인의 인터뷰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한민국 교육정책의 방향과 전 생애 주기별 배움의 방법을 모색해 본다. 이 책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평생교육주간신문 <KNOU위클리>의 연재 기사 ‘호모 스투디엔스’를 기반으로 기획되었다.

우리가 사는 곳이 중심이 되는
교육자치, 지역사회의 회복
유아교육에서 박상희 육아정책연구소장은 아이의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육아와 발달 단계를 고려한 육아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리고 재택근무 실시로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면서 주목받은 부모교육의 필요성, 아동학대 문제 등과 함께 공영형 유치원과 유보통합 등의 정책도 짚어 본다. 초‧중등교육에서는 조희연 서울특별시교육감이 코로나19가 초래한 학교 현장의 문제점을 짚어 보며 지식전수자에서 조력자로 변하는 교사의 역할 등을 조명하고, 부모의 경제적 격차가 교육 격차로 이어지지 않도록 역차별 지원을 하는 ‘정의로운 차등’정책도 피력한다.
고등교육 분야에서 반상진 전 한국교육개발원장은 대학 졸업장이 필요 없는 세상이 되어 가지만 지방에 좋은 대학을 더 많이 짓는 것이 국가의 역할이라고 주장한다. 포항에 포스코 제철소 건립과 함께 포스텍이 생기면서 인구가 늘고 지역이 발전했던 사례를 들며 교육, 일자리, 문화 인프라는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덧붙인다. 나영돈 한국고용정보원장은 코로나19가 변화시킨 고용시장의 모습을 살펴보며 미래 직업에서 갖춰야 할 핵심 역량으로 ‘데이터’와 ‘협업’을 들었다. 또한 재취업‧직업교육훈련의 주체는 특성화고와 전문대가 되어야 하고 이때 전문대-산업계의 긴밀한 공조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평생교육 분야에서 강대중 국가평생교육진흥원장은 100세 시대를 맞이해서 학교교육사회에서 평생학습사회로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함을 주장하면서, 학교가 닫힌 곳이 아닌 지역사회로 열린 곳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국가교육의 큰 방향을 준비하는 국가교육회의 김진경 의장은 산업화 시대에 유효했던 서구추격형 모델이 지금 현실과 맞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며 지금 자신이 사는 곳이 중심이 되는 교육자치, 지역사회의 회복을 주장한다.
이 책에서 다루는 전 생애 주기별 교육정책은 각각 다르지만 모두 ‘개인’과 ‘지역’을 향해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한민국의 교육 대전환은 자신이 사는 지역이 중심이 되는 교육, 지역사회와 열린 학교가 함께 교류하며 발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진경(지은이)

서울대 국어교육과와 동대학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1974년 『한국문학』 신인상에 시가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며, ‘5월시’ 동인으로 활동했다. 우리나라 첫 연작 판타지 동화인 ‘고양이 학교’로 프랑스 어린이·청소년 문학상인 앵코륍티블상을 받았다. 시집 『갈문리의 아이들』 『슬픔의 힘』, 동화 『목수들의 전쟁』 『거울 옷을 입은 아이들』, 소설 『그림자 전쟁』 『우리들의 아름다운 나라』 등을 출간했으며 그 밖의 저서로 『시대의 경계에서 일인칭으로 말 걸기』 『스스로를 비둘기라고 믿는 까치에게』 『김진경의 신화로 읽는 세상』 등이 있다. 1989년 초대 정책실장으로 전교조 창립을 주도했으며, 대통령비서실 교육문화비서관을 거쳐 국가교육회의 의장으로 일하며 우리나라 교육 발전을 위해 힘썼다.

조희연(지은이)

서울특별시교육감. 전북 정읍 출생. 전주 북중학교와 서울 중앙고를 거쳐,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 사회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남가주대(USC)에서 한국학 객원교수와 일본 케이센대, 대만 국립교통대, 영국 랑카스터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UBC)에서 교환교수를 지냈고 비판사회학회장, 학술단체협의회 공동대표 등을 역임했다.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이자 민주주의연구소장, 시민사회복지대학원장을 지냈으며 제20·21대 서울특별시교육감이다. 주요 저서로는 『계급과 빈곤』, 『현대 한국 사회운동과 조직』, 『한국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한국의 국가·민주주의·정치변동』, 『비정상성에 대한 저항에서 정상성에 대한 저항으로』, 『지구화 시대의 국가와 탈국가』 등이 있다. 민주화운동, 시민운동, 교수운동, 학술운동의 경험을 종합하여 한국정치와 사회운동의 역동적 상호관계를 다룬 『투트랙민주주의: 제도정치와 운동정치의 병행 접근(전 2권)』을 출간한 바 있다. 교육 관련 저서로는, 『병든 사회, 아픈 교육』, 『태어난 집은 달라도 배우는 교육은 같아야 한다』, 『일등주의교육 넘어』, 『교육감의 페이스북: 특별하지 않은 꽃은 없다』 등이 있다.

강대중(지은이)

국가평생교육진흥원장. 강원도 원주 출생. 서울대 사범대학과 대학원에서 교육학을 전공하고, 미국 조지아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문화일보> 기자,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정책보좌관,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선임전문원으로 일했다. 한국평생교육학회 부회장, 교육부 제3기 정책자문위원회 평생직업교육혁신분과위원장,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 미래교육전문위원회 전문위원을 역임했다. 한국학부모학회회장, 한국교육학회 부회장,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교육분과위원장을 맡고 있다. 현재 서울대 교육학과 교수이자 국가평생교육진흥원장이다. 저서로는 『Powering a Learning Society During an Age of Disruption』(공저, 2021), 『코로나19, 한국 교육의 잠을 깨우다』(공저, 2020), 『평생교육론』(공저, 2019), 『미래교육, 교사가 디자인하다』(공저, 2016), 『Life and Learning of Korean Artists and Craftsmen: Rhizoactivity』(단독, 2015) 등이 있고, 「학습하는 부모: 평생학습시대의 학부모 담론 재구성」(2020), 「학습자자세, 학습관리장치, 맥락지식-평생학습이론 구축을 위한 중심 개념 탐색」(공저, 2017)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반상진(지은이)

전 한국교육개발원장, 전북대 교육학과 교수. 동국대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를, 미국 위스콘신메디슨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북대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교육행정, 교육재정, 교육경제학, 교육정치학, 교육정책을 강의하고 있고, 최근 주요 연구주제는 대학 구조 개혁, 대학 재정지원 사업 관련 고등교육 정책, 대학 등록금 정책, 대전환시대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 교육재정 정책 등이다. (사)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소장, 한국교육정치학회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장, 한국교육행정학회장을 역임했으며, UNESCO 한국위원회 교육분과위원장, 교육부 대학구조개혁위원 등으로 일했다. 그리고 제18대 한국교육개발원장을 역임했다. 『동향과 전망』에 기재한 「대학 재정과 대학 등록금 무엇이 문제인가?」는 국내 학술논문 이용에서 상위를 차지한 바 있다. 저서로 『대학평가의 정치학』(2018), 『교육재정학』(2014), 『생산가능인구 감소시대 인력정책 10대 이슈』(2014), 『새로운 사회를 여는 교육혁명』(2012), 『학습사회의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2011), 『고등교육경제학』(2008) 등이 있다.

박상희(지은이)

육아정책연구소장. 전남 완도 출생. 고려대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중앙대 대학원 유아교육학과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간의 삶에 영향을 주는 교육환경 중 인류 대대로 내려오는 이야기의 힘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시작했다. 『유아문학-이론과 적용』, 『독서치료』 등 유아문학 관련 다수의 저자이며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와 한국독서치료학회 이사 및 편집위원장을 역임하면서 어린이문학의 세계에 대한 폭넓은 연구와 실천적 활동에 매진했다. 광신대 유아교육과 교수, 동 대학원 통합예술치료학과 주임교수 및 보육교사교육원장을 역임했다. 영유아들의 행복한 성장과 발달에는 부모와 교사의 행복감과 직업만족도가 필수라는 생각을 하며 부모와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나 소진요인 등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출판했다. 또한 교정시설과 가정폭력 피해자 쉼터 등에서 다양한 개인과 가족을 만나 이야기와 영화 등을 통해 가족상담 활동을 했다.

나영돈(지은이)

한국고용정보원장. 경북 청도 출생. 한국외대 아프리카어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행정대학원에서 석사를, 프랑스 파리 국립기술직업대(CNAM)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제34회 행정고시 출신으로 고용노동부 고용서비스정책관, 직업능력정책관, 청년여성고용정책관, 노동시장정책관, 서울지방고용노동청장, 고용정책실장을 역임했다. 고용정책은 취약계층을 우선하고 지역의 산업계가 중심이 되어야 하며, 커리어 개발을 지원하여 디지털 역량을 키우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한다. 최근에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으로 전 국민의 생애경력개발을 지원하는 잡케어(JobCare)시스템을 개발하여 보급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윤상민(지은이)

KNOU위클리 기자. 경북 포항 출생. 성균관대, 프랑스 몽펠리에 3대학과 엑스 마르세유 1대학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SBS 창사특집 4부작 다큐멘터리 ‘최후의 바다, 태평양’의 통번역 및 프렌치 폴리네시아 현지 코디네이터를 맡았고, &lt교수신문&gt, &lt뉴스컬처&gt, &lt르몽드 디플로마티크 한국어판&gt, &lt아주경제&gt에서 기자 생활을 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6 연극 부문 우수 리뷰에 선정된 바 있고, 공저로 『한국 근현대사 역사의 현장 40곳』(후마니타스)이 있다. 사람 만나기를 좋아하고, 이야기 듣기는 더 좋아한다. 언젠가는 사람들 기억 속에 한 시절의 추억으로 남을 ‘인생 영화’를 만든다는 꿈이 있다.

KNOU위클리(기획)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교육주간신문. 학습&#8231;교양&#8231;학술을 중심 키워드로 방송대 학생과 동문, 교직원과 소통하는 고등교육 미디어를 지향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서문 _ 윤상민 KNOU위클리 기자 7

1장 놀이로 알아가는 배움의 즐거움, 탐색의 안전기지가 되는 부모 - 박상희 육아정책연구소장
코로나19, 가족을 소환하다┃코로나19 시대의 행복한 육아와 회복탄력성┃아이와의 갈등, 육아서적 대신 눈을 맞춰라!┃부모교육이 필요한 부모┃이야기보따리가 많은 부모┃나선형 인생과 레이트 블루머┃유아교육에서 디지털은 도구!┃코로나19 시대, 친권주의의 역설┃내 아이의 첫 선생님, 어린이집·유치원 교사┃아이의 발달 단계 고려한 유아정책┃오래된 난제, 유보통합

2장 유튜브로 공부하는 아이들, 교실은 어떻게 달라져야 할까? - 조희연 서울특별시교육감
학교가 문을 닫자 아이들의 삶도 멈췄다┃디지털 격차, 학습 격차로 이어지다┃학령인구 감소 시대, 학급당 적정 학생 수는?┃교사, 지식전수자에서 조력자로┃미래학교의 모습: 창덕여중과 혁신미래학교┃대학 입시, 수저론 그리고 공교육의 역할

3장 대학 학위가 보증수표였던 시대는 끝났다 - 반상진 전 한국교육개발원장
온라인 교육과 비대면 시대의 ‘뉴 노멀’┃‘벚꽃 피는 순서로 대학이 소멸한다’는 풍문┃시험 중심 사회와 메리토크라시┃교수자격시험의 필요성┃대학 졸업장이 필요 없는 세상: 무크, 칸 아카데미, 코세라┃국공립대 통합 네트워크 ‘세종대왕 프로젝트’

4장 미래 직업에서 갖춰야 할 핵심 역량은 ‘데이터’와 ‘협업’ - 나영돈 한국고용정보원장
고용시장을 변화시킨 코로나19┃재택근무, 미래 노동 형태의 표준┃평생교육 시대의 직업교육, AI 교육에 전문대도 참여해야┃프랑스의 재취업·직업교육훈련┃국가역량체계와 선행학습인증(RPL)┃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일자리┃긱 이코노미, 공유 경제 그리고 경력단절여성┃미래 직업에서 갖춰야 할 핵심 역량

5장 학교교육사회에서 평생학습사회로 전환하는 패러다임 - 강대중 국가평생교육진흥원장
결핍을 충족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평생교육의 개념과 역사┃고령화사회와 실버 세대┃생애 대전환기 맞는 50대를 위한 평생교육┃문해교육은 국가의 사명┃지역사회에 학교를 개방하는 사례들┃대학과 평생교육┃평생학습기금과 유급학습휴가제도

6장 서구추격형 모델을 넘어 지역이 중심이 되는 교육 대전환 - 김진경 국가교육회의 의장
코로나19, 닫힌 학교 문을 열다┃국가교육회의와 국가교육위원회┃정신력 강조하는 산업화 세대 vs 몸에 가치 부여하는 신세대┃학생 중심의 진로·직업교육과 고교학점제┃서울대와 지방대는 다르지 않다는 역설┃기이한 ‘공정’ 외치는 청년 세대와 장년 세대의 갈등┃교육 공공성에 대한 국민적 눈높이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