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2002 | |
005 | 20220830093946 | |
007 | ta | |
008 | 220406s2022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99725807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6114575 | |
040 | ▼a 241027 ▼c 241027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616.89/142 ▼2 23 |
085 | ▼a 616.89142 ▼2 DDCK | |
090 | ▼a 616.89142 ▼b 2022 | |
245 | 0 0 | ▼a DBT(변증법행동치료), 학교에 가다 : ▼b 청소년 정서 문제 해결을 위한 DBT 기술 훈련(DBT STEPS-A) / ▼d James J. Mazza [외]공저 ; ▼e 조윤화 [외]공역 |
246 | 1 9 | ▼a DBT skills in schools : ▼b skills training for emotional problem solving for adolescents (DBT STEPS-A) |
246 | 3 | ▼a DBT, 학교에 가다 |
246 | 3 | ▼a 디비티, 학교에 가다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22 | |
300 | ▼a 627 p. : ▼b 삽화 ; ▼c 26 cm | |
500 | ▼a DBT =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 |
500 | ▼a 공저자: Elizabeth T. Dexter-Mazza, Alec L. Miller, Jill H. Rathus, Heather E. Murphy | |
500 | ▼a 공역자: 김기환, 권승희, 최현정 | |
504 | ▼a 참고문헌: p. 623-627 | |
650 | 0 | ▼a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
650 | 0 | ▼a Adolescent psychotherapy |
700 | 1 | ▼a Mazza, James J., ▼e 저 |
700 | 1 | ▼a Dexter-Mazza, Elizabeth T., ▼e 저 |
700 | 1 | ▼a Miller, Alec L., ▼e 저 ▼0 AUTH(211009)146475 |
700 | 1 | ▼a Rathus, Jill H., ▼e 저 ▼0 AUTH(211009)146476 |
700 | 1 | ▼a Murphy, Heather E., ▼e 저 |
700 | 1 | ▼a 조윤화, ▼d 1968-, ▼e 역 ▼0 AUTH(211009)146474 |
700 | 1 | ▼a 김기환, ▼g 金錡煥, ▼d 1975-, ▼e 역 ▼0 AUTH(211009)50584 |
700 | 1 | ▼a 권승희, ▼d 1977-, ▼e 역 ▼0 AUTH(211009)146473 |
700 | 1 | ▼a 최현정, ▼g 崔縣淨, ▼d 1981-, ▼e 역 ▼0 AUTH(211009)113822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16.89142 2022 | Accession No. 111861835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9-20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1persons reqested this item)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학교 기반의 개입 전문가인 James와 DBT 전문가인 Elizabeth가 개발한 교과과정은 독특한 사회정서학습 교육과정으로, 청소년들이 정서 조절 기술, 효과적인 대인관계 전략, 의사결정 기술을 배우고 키우도록 도와준다. 이 과정에서 가르치는 기술들은 고위험군 청소년과 성인에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DBT 기술과 정확하게 동일한 DBT 기술들이다.
DBT STEPS-A 개발의 주된 목표 중 하나는 청소년들이 효과적인 행동 전략 또는 ‘삶을 향상시키는’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청소년들은 학교에 계속 다니고, 대학에 진학하고, 연애관계를 잘 살피고, 좋은 직장을 유지하는 것 같은, 앞으로 다가올 삶의 중요한 문제들을 이 기술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DBT STEPS-A는 청소년들이 삶에서 중대한 결과를 가져오는 의사결정을 하기 전에 이 기술들을 배우고 익힐 수 있게 돕는다.
삶을 향상시키는 전략,
DBT STEPS-A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DBT 기술은 1993년에 처음 책으로 발표되었다. DBT 기술들은 원래 일상 기능과 효과적인 정서 조절이 힘든 복합적인 장애를 가진 자살 고위험군을 위해 개발되었다. 수년간 이 기술들은 성인을 대상으로 널리 활용되었으며, 이후에는 유사한 종류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활용되었다. DBT 기술이 모든 사람에게 유용하다는 생각이 자리 잡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 정서 조절 및 일반적인 기능에 어려움을 겪는 환자의 친구와 가족을 위해, 그리고 이와 같은 어려움을 겪는 아동의 부모들을 위해 DBT 기술 훈련을 진행하기 시작했을 때, DBT 기술이 넓은 범위에 적용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후에 기업들도 DBT 기술에 관심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학부모들도 학교에서 DBT 기술을 가르치기를 바란다는 것 또한 알게 되었다. 요약하자면, 비록 오랜 시간이 걸렸지만 DBT 기술이 일반 대중에게 도움이 된다는 것이 점차 분명해졌다. 하지만 동시에 중요한 문제가 생겼다. 바로 ‘이 기술들을 어떻게 대중에게 가르칠 것인가?’였다. 어른들에게 이 기술을 가르치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 훈련 기회를 만들면 어른들은 많이 참여했다.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소년 또한 참여가 어렵지는 않았다. 우리 프로그램을 알게 되면, 그들 또한 잘 찾아와 주었다. 많은 부모와 학생이 본인들의 학교에서도 그 기술을 배우고 싶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서적으로 어려움을 겪지 않는 아이들과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이들을 동시에 참여하게 할지 말지 결정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고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 온 문제이다.
학교 기반의 개입 전문가인 James와 DBT 전문가인 Elizabeth는 그들 각각이 가진 전문성을 활용하여 이 책에서 명확히 소개되고 있는 해결책을 개발하였다. 그들이 개발한 교과과정은 독특한 사회정서학습(Social Emotional Learning: SEL) 교육과정으로, 청소년들이 정서 조절 기술, 효과적인 대인관계 전략, 의사결정 기술을 배우고 키우도록 도와준다. 이 과정에서 가르치는 기술들은 고위험군 청소년(Mehlum et al., 2014; Miller, Rathus, & Linehan, 2007)과 성인(Linehan, 1993, 2015a)에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DBT 기술과 정확하게 동일한 DBT 기술들이다. DBT와 변증법적 관점과 일관되게, 저자들은 학교 환경에서 모든 청소년에게 DBT 기술을 확장·적용할 수 있는 독창적인 방법을 개발하였다. DBT STEPS-A 교육과정은 모든 청소년이 DBT 기술을 활용하고 정서 조절의 어려움을 줄일 수 있도록 돕는 훌륭한 예방적 접근이다.
DBT STEPS-A 개발의 주된 목표 중 하나는 청소년들이 효과적인 행동 전략 또는 ‘삶을 향상시키는’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우리가 ‘삶을 향상시키는’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이 과정이 가르치는 기술을 적시에 적절한 방법으로 사용할 경우, 단순히 현재의 문제 해결을 넘어 학생 개인에게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청소년들은 학교에 계속 다니고, 대학에 진학하고, 연애관계를 잘 살피고, 좋은 직장을 유지하는 것 같은, 앞으로 다가올 삶의 중요한 문제들을 이 기술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DBT STEPS-A는 청소년들이 삶에서 중대한 결과를 가져오는 의사결정을 하기 전에 이 기술들을 배우고 익힐 수 있게 돕는다. 우리는 DBT STEPS-A가 청소년들에게 힘든 감정적 상황들을 잘 관리하고, 어려운 상황에서 더 나은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도구와 전략을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번역은 최대한 영어 원문에 충실하였지만, 한국어로 읽는 독자들을 고려하여 세 가지 변화를 주었다.
첫째, 학습 지도안에 나오는 사례의 주인공 이름을 한국식 이름으로 바꾸었다.
둘째, 미국 문화에 익숙하지 않으면 하기 힘든 수업 활동을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쉽게 할 수 있는 활동으로 바꾸었다. 20단원의 마음챙김 연습을 예로 들면, 원서에는 미국 야구장의 ‘국민 응원가’인
셋째, 약자로 만들어진 기술 이름을 외우기 쉽도록 한국어 약자로 바꾸었다(예: 효과적인 대인관계 기술 이름 ‘DEAR MAN’을 ‘기표주보 집단협상’으로 번역함). 영어로 된 기술 이름을 그대로 쓸 경우, 각 알파벳이 뜻하는 기술 이름도 영어로 외워야 하는 점이 기술 습득에 장해물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하여 2017년에 조윤화, 최현정, 권승희, 조이수현이 함께 한글 기술 이름을 지었고, 이때 만든 기술 이름을 이 책의 번역 시 대부분 사용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Jill H. Rathus(지은이)
뉴욕 브루클린에 위치한 롱아일랜드 대학교 C. W. Post Campus의 심리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임상심리학 박사과정 프로그램에서 DBT 과학자 -실무자 훈련을 담당하고 있다. 그는 DBT와 인지행동치료(CBT) 전문가이며, 뉴욕주의 그레이트 뉴욕에 위치한 Cognitive Behavioral Associates의 공동 창립자이자 공동 대표이다.
Alec L. Miller(지은이)
뉴욕 브롱스에 위치한 알버트 아인슈타인 의과대학의 Montefiore 의학센터 내 정신의학 및 행동과학부의 임상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는 화이트 플레인스와 맨해튼에 위치한 교육 및 자문 기관인 Cognitive and Behavioral Consultants의 공동 창립자이며 임상본부장이다.
James J. Mazza(지은이)
워싱턴 주립 대학교 교육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분야 연구에 힘쓰며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Mazza 박사는 여러 나라의 학교 관계자들에게 DBT STEPS-A의 실행, 다층지원체계 내의 정신건강 중재 방법 개발, 전인 교육을 위한 학교 시스템 역할의 일환인 사회정서학습 교육과정 통합에 대한 교육과 자문을 하고 있으며, 워싱턴주 시애틀 주재 Mazza Consulting and Psychological Services의 공동 대표이다.
Elizabeth T. Dexter-mazza(지은이)
Mazza Consulting and Psychological Services의 공동 대표로, 청소년과 성인들을 대상으로 종합적 DBT와 DBT 기술 기반 코칭을 제공하고 있으며, 정서 조절 장애를 가진 개인의 가족 및 친구들에게 부모 코칭 등 여러 가지 지원을 해 오고 있다. Dexter-Mazza 박사는 Marsha M. Linehan의 감독 아래 워싱턴 주립 대학교의 Behavioral Research and Therapy Clinic(BRTC)에서 박사 후 과정 수련을 마쳤으며, DBT, 경계선 성격장애, 자살 위기 관리에 대한 대학원 교육에 관한 여러 책과 논문을 낸 저자이다.
Heather E. Murphy(지은이)
워싱턴주 시애틀에서 자해 및 자살 행동을 보이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개인 상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워싱턴 주립 대학교에서 객원교수로 재직 중이다.
최현정(옮긴이)
임상심리학자. 서울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임상심리 전문가 수련을 마쳤다. 국가 폭력, 성폭력, 조직적 성 착취 체계에서 벗어나 삶을 회복하려는 사람들과 함께 일했으며 이와 관련된 글을 쓰거나 연구를 했다. 현재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트라우마 생존자를 지원하는 트라우마 치유 센터 〈사람마음〉의 초대 이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조용한 마음의 혁명: 심리학으로 본 한국사회 마음의 건강』, 옮긴 책으로 『성격장애 로샤평가』, 『긍정심리치료』, 『내러티브 노출치료』, 『DBT, 학교에 가다』 등이 있다.
김기환(옮긴이)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임상 및 상담 심리학 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덕성여자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전임상담원,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위기상담팀장, 한국임상심리학회 홍보 및 정보이사, 마음사랑인지행동치료센터 부소장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심리상담연구소 ‘사람과 사람’의 소장 및 서울디지털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권승희(옮긴이)
현재 윌로우심리상담센터 부소장, 유앤미심리상담연구소 부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고려대학교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상담 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남가주 대학교에서 1년간 인턴 과정을 수료한 후, 일리노이 주립 대학교, 샌프란시스코 주립대학교 등에서 상담심리학자로 근무하였다.
조윤화(옮긴이)
윌로우심리상담센터 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상담심리) 학위를 받았고, 일리노이 주립 대학교 박사과정 인턴을 수료하였다. 버몬트 주립 대학교 상담센터 교육팀장,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조교수, 마음사랑인지 행동치료센터 책임상담원,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연구교수로 재직하였다.

Table of Contents
역자 서문 추천의 글 시작하는 글 제1부 DBT STEPS-A 개관 제1장 DBT STEPS-A 소개 DBT STEPS-A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책의 구성 청소년을 위한 사회정서학습 교육과정의 필요성 기존 사회정서학습 교육과정 왜 DBT STEPS-A인가 DBT STEPS-A 교육과정 개관: 기술 모듈과 세부 기술 결론 제2장 학교 현장의 실질적 사안들 시행 방법 교육 일정 교육과정 목표 학급 규모와 수업 구성 방식 DBT STEPS-A 교사의 자질과 연수 단원 구조 학생들을 위한 수업 자료 행정 사안들 DBT STEPS-A 기술 수업을 위한 특별 규칙 DBT STEPS-A 교사가 다루어야 할 특별 사안들 제3장 힘든 학생들을 위한 DBT STEPS-A 중재반응모델 특수교육의 3단계 지원 이후 다층지원체계 안에서의 DBT STEPS-A 일반교육 2~3단계 학생들을 위한 전략 학교기반 정신건강의 1~3단계 서비스 학교가 제공할 수 없는 DBT 서비스 제2부 학습 지도안과 시험 1단원 DBT STEPS-A 과정 안내 2단원 변증법 3단원 마음챙김: 지혜로운 마음 4단원 마음챙김: ‘무엇을’ 기술 5단원 마음챙김: ‘어떻게’ 기술 6단원 고통 감싸기: 위기 생존 기술 소개와 달라진 활기비밀 7단원 고통 감싸기: 자기위안과 신기한 쉼의 상자 8단원 고통 감싸기: 극단적인 감정을 다루기 위한 신체 안정-냉동복식 기술 9단원 고통 감싸기: 장단점 찾기 10단원 고통 감싸기: 현실 수용 기술 소개와 온전한 수용 11단원 고통 감싸기: 마음 돌리기와 기꺼이 마음 12단원 고통 감싸기: 지금 생각챙김(그리고 고통 감싸기 시험) 13단원 마음챙김: 지혜로운 마음 14단원 마음챙김: ‘무엇을’ 기술과 ‘어떻게’ 기술 15단원 정서 조절: 정서 조절의 목표와 정서의 기능 16단원 정서 조절: 정서 기술하기 17단원 정서 조절: 팩트 체크와 반대로 행동하기 18단원 정서 조절: 문제 해결 19단원 정서 조절: 자긍 연습 안아파수식-‘긍’ 20단원 정서 조절: 자긍 연습 안아파수식-나머지 기술 21단원 정서 조절: 파도타기 기술-지금 감정챙김 22단원 정서 조절: 정서 조절 시험 23단원 마음챙김: 지혜로운 마음 복습 24단원 마음챙김: ‘무엇을’ 기술과 ‘어떻게’ 기술 복습 25단원 효과적인 대인관계: 목표와 개요 26단원 효과적인 대인관계: 기표주보 집단협상 기술 27단원 효과적인 대인관계: 친심원해 기술 28단원 효과적인 대인관계: 금가진자 기술 29단원 효과적인 대인관계: 요청과 거절의 강도를 정하기 위한 조건 따져 보기 30단원 효과적인 대인관계 시험 고통 감싸기 시험 고통 감싸기 시험 해설 정서 조절 시험 정서 조절 시험 해설 효과적인 대인관계 시험 효과적인 대인관계 시험 해설 제3부 학생 유인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