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 제4판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진희관, 秦熙官, 1966-, 저 문인철, 文仁喆, 1979-, 저 서보혁, 徐輔赫, 1966-, 저 엄현숙, 嚴現淑, 1977-, 저 임상순, 林相淳, 1971-, 저 함규진, 咸圭鎭, 1969-, 저 홍석훈, 洪碩焄, 1972-, 저
Title Statement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 진희관 [외]
판사항
제4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박영사,   2022  
Physical Medium
274 p. : 천연색삽화, 도표 ; 23 cm
ISBN
9791130314181
General Note
공저자: 문인철, 서보혁, 엄현숙, 임상순, 함규진, 홍석훈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255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1974
005 20220527153855
007 ta
008 220406s2022 ulkad b 000c kor
020 ▼a 9791130314181 ▼g 93340
035 ▼a (KERIS)BIB000016152299
040 ▼a 011001 ▼c 011001 ▼d 211009
041 0 ▼a kor ▼a eng
082 0 4 ▼a 320.9519 ▼2 23
085 ▼a 320.953 ▼2 DDCK
090 ▼a 320.953 ▼b 2022z19
245 2 0 ▼a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 ▼d 진희관 [외]
246 3 ▼a 열두개 주제로 생각하는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250 ▼a 제4판
260 ▼a 서울 : ▼b 박영사, ▼c 2022
300 ▼a 274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3 cm
500 ▼a 공저자: 문인철, 서보혁, 엄현숙, 임상순, 함규진, 홍석훈
504 ▼a 참고문헌: p. 255
546 ▼a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700 1 ▼a 진희관, ▼g 秦熙官, ▼d 1966-, ▼e▼0 AUTH(211009)138866
700 1 ▼a 문인철, ▼g 文仁喆, ▼d 1979-, ▼e▼0 AUTH(211009)77216
700 1 ▼a 서보혁, ▼g 徐輔赫, ▼d 1966-, ▼e▼0 AUTH(211009)115374
700 1 ▼a 엄현숙, ▼g 嚴現淑, ▼d 1977-, ▼e▼0 AUTH(211009)67445
700 1 ▼a 임상순, ▼g 林相淳, ▼d 1971-, ▼e▼0 AUTH(211009)10755
700 1 ▼a 함규진, ▼g 咸圭鎭, ▼d 1969-, ▼e▼0 AUTH(211009)17197
700 1 ▼a 홍석훈, ▼g 洪碩焄, ▼d 1972-, ▼e▼0 AUTH(211009)18597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0.953 2022z19 Accession No. 11186180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지난 4년여의 기간 동안 한반도와 남북관계는 많은 변화를 겪었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한반도는 ‘따뜻한 봄날’을 맞이하기도 했다. 세 차례의 남북정상회담과 역사상 최초의 북미정상회담이 열리면서 한반도는 대전환을 맞이할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했다. 그러나 2019년 2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이 결렬되면서 남북관계는 교착국면에 빠져들었다.

또한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활로를 찾기 어려웠던 2020년에는 ‘대북전단살포’ 사건으로 인해 개성공동연락사무소가 폭파되는 일촉즉발의 위기를 맞이하기도 했다. 여전히 남북관계는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고, 북미대화 역시 마찬가지로 교착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기일수록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에 대한 좀 더 정확한 지식의 공유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정확한 인식이 정확한 대응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제4판 서문

어느덧 네 번째 개정판을 출판하게 된 것에 대해 독자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아울러 일곱 분의 필자께서 매년 성실하게 개정 원고를 보내 주신 것에 대해서도 필자의 한 사람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다.
책이 처음 만들어지던 2017년 가을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4년여의 기간 동안 한반도와 남북관계는 많은 변화를 겪었다. 초판 원고를 쓰던 당시에는 북한의 연이은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실험발사를 보면서 한반도의 앞날을 예측하기 어려웠으나,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한반도는 ‘따뜻한 봄날’을 맞이하기도 했다. 세 차례의 남북정상회담과 역사상 최초의 북미정상회담이 열리면서 한반도는 대전환을 맞이할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했다.
그러나 2019년 2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이 결렬되면서 남북관계는 교착국면에 빠져들었다. 또한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활로를 찾기 어려웠던 2020년에는 ‘대북전단살포’ 사건으로 인해 개성공동연락사무소가 폭파되는 일촉즉발의 위기를 맞이하기도 했다. 여전히 남북관계는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고, 북미대화 역시 마찬가지로 교착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해 9월말, 문재인 대통령이 유엔에서 종전선언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호소한 것에 대해 북한을 비롯한 주변국들의 반응이 긍정적이지만 아직 가야할 길이 멀어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지난 반세기 넘게 대립해온 남북의 역사를 보면 더디 가고 있지만, 대립과 대결에서 화해와 협력의 시대로 조금씩 이동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그리고 세계 질서는 과거 냉전시기에서 새로운 전략의 시대로 변화하고 있고, 세계 기술 패권의 변화는 국가관계의 변화를 가져올 것이란 예상을 갖게 한다. 따라서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는 동북아 그리고 세계질서 속에서 이에 걸맞는 남북관계와 한반도의 변화된 위상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기일수록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에 대한 좀 더 정확한 지식의 공유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정확한 인식이 정확한 대응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한 권의 책이 이 모든 정보를 공유하고 인식하게 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다. 다만 이 책이 독자들에게 정확한 지식을 공유하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면 필자들에게는 보람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올해에는 한국의 대통령선거와 지방선거, 연말에 미국의 중간선거와 중국 주석의 3연임을 결정할 전국대표대회가 열려 한반도 문제가 이슈가 되기 쉽지 않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또한 국제적인 코로나 사정도 여전히 낙관하기 어렵다. 그러나 역사가 말해주듯, 입구가 있으면 반드시 출구가 있었다. 코로나 팬데믹도 북한의 핵문제도 결국 출구가 있기 마련일 것이다.
올해에는 이러한 출구를 마련하는 한 해가 꼭 되었으면 하고 기대해 본다.
재차 독자들께 감사드리며, 항상 좋은 책을 출판해주시는 박영사 담당 선생님들에게도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2022년 1월
필자들을 대표하여 진 희 관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서보혁(지은이)

앞에는 들과 낙동강이, 뒤에는 산이 자리한 경북 안동의 한 마을에서 태어나 자랐다. 권위주의 시대를 마감하고 민주주의 시대를 준비하던 1980년대 중반에 서울에서 대학을 다녔다. 1987년 민주화의 여파는 노동운동과 통일운동의 활성화로 이어졌고 이는 북한·통일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되었다. 1990년대 후반에 뒤늦게 대학원에 진학해 북한·통일 문제를 공부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 정책 변화와 북한과 미국의 관계를 연구해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북한 연구가 어려운 여건에서 한국정치연구회 선후배들과 함께 한 북한 원서 탐독의 경험과 정치학 방법론 및 과학철학에 대해 국내 최고의 식견을 가진 김웅진 선생님의 가르침으로부터 많은 배움을 얻었다. 또한 2003년 학위 취득 후 국가인권위원회에서 북한 인권 문제를 다뤄본 경험은 이후 북한·통일 연구에 새로운 자극이 되었다. 그동안 북한 인권에 대한 다수의 논문을 썼고, 《탈냉전기 북미관계사》, 《북한인권》, 《한국 평화학의 탐구》, 《평화 경제의 비전과 추진방향》(공저), 《평화 경제의 비전과 추진방향》(공저), 《한국인의 평화 사상 1, 2》(공편) 등을 출간했다. 앞으로 해외 파병과 생존권 문제에 대해서도 공부할 계획이다.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연구교수와 국가인권위원회 전문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통일연구원 평화연구실 연구위원으로 일하고 있다.

함규진(지은이)

지금도 수없이 발굴되고 새로이 해석되는 방대한 역사의 세계를 우리 삶에 와 닿는 언어로 맛깔스럽게 전하는 역사저술가. 지식으로서의 역사를 넘어 ‘역사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이라는 무궁무진한 탐구 주제를 가지고 방송, 집필, 온라인 강의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재미있게 풀어내고자 노력하고 있다. 196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정약용의 정치사상을 주제로 정치외교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국가경영전략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현재는 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동양과 서양, 전통과 현대, 보수와 진보 등 서로 대립되는 듯한 입장 사이에 길을 내고 함께 살아갈 집을 짓는 작업에 열중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30개 도시로 읽는 한국사》, 《108가지 결정》, 《벽이 만든 세계사》, 《개와 늑대들의 정치학》, 《조약으로 보는 세계사 강의》, 《리더가 읽어야 할 세계사 평행이론》, 《세계사를 바꾼 담판의 역사》, 《유대인의 초상》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하버드대학 미·중 특강》, 《후안흑심》, 《피에 젖은 땅》, 《공정하다는 착각》, 《실패한 우파가 어떻게 승자가 되었나》 등이 있다.

임상순(지은이)

경상북도 안동 출생 / 정치학 박사(동국대) / 현재 평택대학교 통일학피어선교양전공 주임교수 주요 저역서로 『핵 무기 전파, 그 끝없는 논쟁』(2022, 박영사),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2022, 박영사), 『12개 렌즈로 보는 남북관계』(2021, 박영사) 등이 있다.

홍석훈(지은이)

창원대학교 국제관계학과 부교수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통일연구원에서 기획조정실장 및 연구위원으로 재직하였으며, 동북아 국제관계, 북한정치, 사이버 안보, 지방 공공외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STRATEGIES OF SURVIVAL: North Korean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un(공저, 2023),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공저, 2022) 등이 있다.

문인철(지은이)

서울연구원 도시외교연구센터 연구위원. 대표 저서로는 『한반도 평화의 국제정치학』(공저), 『김정은시대 조선로동당』(공저), 『맛있게 읽는 북한 이야기』(공저),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공저) 등이 있다.

진희관(지은이)

인제대학교 통일교육선도대학사업단장. 인제대학교 통일학부 교수 겸 통일학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NORTH KOREA UNDERSTANDING』, 『북한 김정은 후계체제 구축과정·엘리트·정책·안정성』,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등이 있다.

엄현숙(지은이)

북한학 박사(북한대학원대학교) /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연구원 / 대표 논저: 『12개 렌즈로 보는 남북관계』(공저), 『마음 속 분단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공저), 『‘지식경제시대’ 북한의 대학과 고등교육』(공저), “팬데믹 시대의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교육격차에 관한 연구: 통일전담교육사와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논문), “간접 경험을 통한 대학생의 북한 인식 연구”(논문), “남북한 여대생의 통일인식에 관한 연구”(논문), “정보화 시대 북한의 사이버 교육에 관한 연구”(논문) 등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1장 우리에게 통일과 북한은 무엇인가? 〈진희관〉 001
01 통일은 필수 또는 선택 / 002
02 통일에 대한 관심의 ‘높낮이’ / 005
03 통일은 명분과 실리를 줄 수 있어야 / 008
04 중앙과 지방, 접경과 비접경 지역의 통일 / 014
05 북한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 017
06 남북 신뢰회복과 상호 이익을 추구해야 / 020

2장 남북한이 어떻게 분단되었는가? 〈임상순〉 025
01 남북 분단의 국제적 요인 / 026
02 미군정과 남한 정부 수립 과정 / 028
03 소련군정과 북한 정부 수립 과정 / 037

3장 남북한 체제 발전의 역사 〈문인철〉 047
01 한반도 분단구조에 대한 이해 / 048
02 정치적 정당성이란 무엇인가? / 053
03 북한 체제의 역사 / 056
04 남한 체제 발전의 역사 / 061

4장 남북 갈등 및 협력(합의)의 역사 〈문인철〉 069
01 남북갈등이란 무엇인가? / 070
02 남북갈등의 역사 / 076
03 남북 협력(합의)의 역사 / 082

5장 북한 핵 문제와 국제정치 〈홍석훈〉 097
01 북한의 핵전략 발전과 대외전략 / 098
02 북한 핵정책과 한반도 정세 / 111

6장 북한인권문제의 이해와 해법 〈서보혁〉 123
01 북한인권 실태 / 124
02 북한의 인권정책 / 130
03 국제사회의 북한인권 정책 평가 / 133
04 한국의 역할과 과제 / 138

7장 북한의 경제: 교류협력 〈진희관〉 145
01 북한 경제 현실과 경제정책 / 146
02 북한 경제의 성장도 / 150
03 북한의 장마당 현황과 시장화 / 154
04 남북교역의 현황과 전망 / 159

8장 남북한 통일방안의 역사비교 〈홍석훈〉 169
01 남북한의 통일정책 비교 / 170
02 통일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통일전략 모색 / 180

9장 독일, 예멘, 베트남의 통일사례 〈임상순〉 203
01 독일의 통일사례 / 204
02 예멘의 통일사례 / 211
03 베트남의 통일사례 / 218

10장 사회통합 문제: 북한이탈주민 〈엄현숙〉 225
01 사회통합의 이해 / 226
02 우리사회의 북한이탈주민 / 228
03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통합 / 234

11장 남북한 교육 비교와 통일교육 방향 〈엄현숙〉 239
01 남북한 교육 비교 / 240
02 통일교육의 방향 모색 / 251

12장 통일, 무엇을 할 것인가? 통일의 비전 〈함규진〉 257
01 통일의 희망과 비전 / 258
02 통일의식에서 통일운동으로 / 267
03 근대사의 ‘해피엔딩’을 위하여 / 27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Berger, Stefan (2023)
박장호 (2022)
김성민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