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1683 | |
005 | 20220509175353 | |
007 | ta | |
008 | 220401s2021 ulka 000c kor | |
020 | ▼a 9791137253278 ▼g 03700 | |
035 | ▼a (KERIS)BIB000015980602 | |
040 | ▼a 224010 ▼c 224010 ▼d 211009 | |
082 | 0 4 | ▼a 808.0669 ▼2 22 |
085 | ▼a 808.0669 ▼2 DDCK | |
090 | ▼a 808.0669 ▼b 2021 | |
100 | 1 | ▼a 최성환, ▼d 1972- ▼0 AUTH(211009)42865 |
245 | 1 0 | ▼a 역사 논문 쓰기 입문 / ▼d 최성환 지음 |
260 | ▼a 서울 : ▼b Bookk, ▼c 2021 | |
300 | ▼a 221 p. : ▼b 삽화 ; ▼c 21 cm | |
500 | ▼a 부록: 역사정보DB 사이트 목록 |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08.0669 2021 | 등록번호 11186159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최성환(지은이)
한국지방사를 전공하는 역사학자이다. 현재 국립목포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섬 전문 연구소인 도서문화연구원에서 활동하고 있다. 섬이 지닌 소통과 교류의 문화상을 재조명하는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섬 유배인에 대한 다양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지은 책으로는 『목포』(21세기북스, 2020), 『신안여행을 위한 문화관광 가이드북』(신안군, 2019), 『천사섬 신안, 섬사람 이야기』(크레펀, 2014), 『문순득 표류 연구』(민속원, 2012) 등이 있다. 섬 유배인과 관련된 논문으로는 「정약전의 흑산도 유배 생활과 저술 활동」, 「유배인 김약행의 〈유대흑기(遊大黑記)〉를 통해 본 조선 후기 대흑산도」, 「《자산록(玆山錄)》을 통해 본 19세기 후반 박우현의 우이도 유배 생활과 섬 사회상」, 「조선 후기 추자도 유배인의 추이와 생활 양상」, 「‘두류단(頭流壇)’을 통해 본 김평묵의 지도(智島) 유배 생활: 그 소통과 영향」, 「《속음청사(續陰晴史)》를 통해 본 20세기 초 김윤식의 지도 유배 생활과 도서 지역 사회상 변화」 등이 있다.

목차
1부 역사 논문의 이해 1.1 역사 공부의 희열 1.2 책의 구성과 활용 방법 1.3. 역사 논문에 대한 상식 2부 논문을 위한 준비 2.1 논문을 구성하는 요소 2.2 어떤 논문을 쓸 것인가에 대한 고민 2.3 논문계획서 작성하기 2.4 논문의 기본 양식 3부 논문 쓰기 실습 3.1 논문 제목 작성의 기본 3.2 목차 구성하기 3.3 논문형 문체 사용하기 3.4 머리말의 구성과 작성 요령 3.5 맺음말의 구성과 작성 요령 3.6 인용문 사용법 3.7 ‘주(註)’의 역할과 중요성 3.8 도표와 그림의 활용 3.9 참고문헌 정리하기 3.10 초록 작성법 3.11 표절 방지를 위한 유사도 검사 4부 디지털 사료 찾기와 자료집 만들기 4.1 디지털 사료 찾기와 추천 사이트 4.2 나만의 자료집 만들기 4.3 부록 : 역사정보DB 사이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