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파이썬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머신러닝 / 번역개정2판 (1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Müller, Andreas C. Guido, Sarah, 저 박해선, 역
서명 / 저자사항
파이썬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머신러닝 / 안드레아스 뮐러, 세라 가이도 지음 ; 박해선 옮김
판사항
번역개정2판
발행사항
서울 :   한빛미디어,   2022  
형태사항
503 p. : 천연색삽화, 도표 ; 24 cm
원표제
Introduction to machine learning with Python : a guide for data scientists
ISBN
9791162245279
일반주기
사이킷런 핵심 개발자가 쓴 머신러닝과 데이터 과학 실무서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Python (Computer program language) Programming languages (Electronic computers) Data mining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1229
005 20220512111438
007 ta
008 220330s2022 ulkad 001c kor
020 ▼a 9791162245279 ▼g 93000
035 ▼a (KERIS)BIB000016090876
040 ▼a 241050 ▼c 241050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006.31 ▼a 005.133 ▼2 23
085 ▼a 006.31 ▼2 DDCK
090 ▼a 006.31 ▼b 2022z8
100 1 ▼a Müller, Andreas C. ▼0 AUTH(211009)145697
245 1 0 ▼a 파이썬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머신러닝 / ▼d 안드레아스 뮐러, ▼e 세라 가이도 지음 ; ▼e 박해선 옮김
246 1 9 ▼a Introduction to machine learning with Python : ▼b a guide for data scientists
250 ▼a 번역개정2판
260 ▼a 서울 : ▼b 한빛미디어, ▼c 2022
300 ▼a 503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4 cm
500 ▼a 사이킷런 핵심 개발자가 쓴 머신러닝과 데이터 과학 실무서
500 ▼a 색인수록
650 0 ▼a Python (Computer program language)
650 0 ▼a Programming languages (Electronic computers)
650 0 ▼a Data mining
700 1 ▼a Guido, Sarah, ▼e▼0 AUTH(211009)145699
700 1 ▼a 박해선, ▼e▼0 AUTH(211009)31527
900 1 0 ▼a 뮐러, 안드레아스, ▼e
900 1 0 ▼a 가이도, 세라,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006.31 2022z8 등록번호 121259689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07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사이킷런 핵심 개발자에게 배우는 머신러닝 이론과 구현. 현업에서 머신러닝을 연구하고 인공지능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꼭 학위를 받을 필요는 없다. 사이킷런(scikit-learn)과 같은 훌륭한 머신러닝 라이브러리가 복잡하고 난해한 작업을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감싸주는 덕분이다.

이 책에서는 사이킷런의 핵심 개발자가 복잡한 수학을 동원하지 않고 실용적으로 머신러닝을 구축하는 모든 단계를 설명한다. 미적분, 선형대수, 확률 이론을 공부하지 않았어도 이 책을 통해 머신러닝을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본 번역개정2판은 scikit-learn 업데이트에 따라 전반적으로 내용을 갱신한 원서 4쇄를 기반으로 합니다. 오탈자를 바로잡고, 시각적 편의를 위해 풀컬러로 인쇄했습니다.

실제 문제에 대한 해법을 찾는 머신러닝 기술자를 위한 본격 머신러닝 입문서 사이킷런 1.x 버전을 반영하고 구글 코랩에서 실습 가능한 번역개정2판

이 책은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밑바닥부터 만드는 법을 다루지는 ‘않으며’, 대신 사이킷런과 다른 라이브러리에 이미 구현된 방대한 양의 모델을 사용하는 법에 집중합니다. 머신러닝과 인공지능에 대한 사전 지식이 필요 없는 입문서로, 파이썬과 사이킷런을 중심으로 머신러닝 애플리케이션을 성공적으로 만드는 모든 단계를 밟아갑니다. 여기서 소개하는 방법들은 상용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데이터 전문가는 물론 연구자와 과학자에게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파이썬과 NumPy, matplotlib 라이브러리에 친숙하다면 이 책의 대부분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번역개정2판의 특징
본 번역개정판은 원서 4쇄를 기반으로 하며, 초판 발행 이후 알려진 오탈자를 모두 바로잡았습니다. 또한 scikit-learn 1.x 버전 릴리스에 따라 전반적으로 내용을 업데이트했습니다. 나아가 구글 코랩에서 실습이 가능하도록 전반적으로 수정했습니다.

★ 주요 내용
머신러닝의 기본 개념과 응용
널리 사용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의 장점과 단점
머신러닝으로 처리한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
모델 평가와 매개변수 튜닝을 위한 고급 방법
체인 모델과 워크플로 캡슐화를 위한 파이프라인
텍스트 데이터를 다루는 기술
머신러닝과 데이터 과학 기술 향상을 위한 조언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세라 가이도(지은이)

오랫동안 스타트업에서 일해온 데이터 과학자이자 뛰어난 콘퍼런스 발표자입니다. 파이썬, 머신러닝, 대량의 데이터와 기술 세계를 좋아합니다. 미시간 대학교의 대학원에 입학했으며, 지금은 뉴욕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안드레아스 뮐러(지은이)

독일 본(Bonn) 대학교에서 머신러닝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1년간 아마존의 컴퓨터 비전 응용 부서에서 머신러닝 연구자로 일한 뒤 뉴욕 대학교의 데이터 과학 센터에 합류했고, 현재는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Applied Machine Learning' 과목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지난 4년 동안 학계와 산업계에서 널리 사용하는 머신러닝 툴킷인 사이킷런의 핵심 기여자와 관리자로 활동했습니다. 또 잘 알려진 여러 머신러닝 패키지를 직접 만들거나 개발에 참여했습니다. 뮐러의 소망은 머신러닝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수준 높은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공개 툴을 만드는 것입니다.

박해선(옮긴이)

기계공학을 전공했지만 졸업 후엔 줄곧 코드를 읽고 쓰는 일을 했습니다. 블로그(tensorflow.blog )에 글을 쓰고 머신러닝과 딥러닝에 관한 책을 집필, 번역하면서 소프트웨어와 과학의 경계를 흥미롭게 탐험하고 있습니다. 『챗GPT로 대화하는 기술』(한빛미디어, 2023), 『혼자 공부하는 머신러닝+딥러닝』(한빛미디어, 2020), 『혼자 공부하는 데이터 분석 with 파이썬』(한빛미디어, 2023), 『Do it! 딥러닝 입문』(이지스퍼블리싱, 2019)을 집필했습니다. 『트랜스포머를 활용한 자연어 처리』(한빛미디어, 2022), 『케라스 창시자에게 배우는 딥러닝개정 2판』(길벗, 2022), 『개발자를 위한 머신러닝&딥러닝』(한빛미디어, 2022), 『XGBoost와 사이킷런을 활용한 그레이디언트 부스팅』(한빛미디어, 2022), 『구글 브레인 팀에게 배우는 딥러닝 with TensorFlow.js』(길벗, 2022), 『파이썬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머신러닝(번역개정2판)』(한빛미디어, 2022), 『머신러닝 파워드 애플리케이션』(한빛미디어, 2021), 『파이토치로 배우는 자연어 처리』(한빛미디어, 2021), 『머신러닝 교과서 with 파이썬, 사이킷런, 텐서플로(개정3판)』(길벗, 2021)을 비롯해 여러 권의 책을 우리말로 옮겼습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CHAPTER 1 소개
1.1 왜 머신러닝인가?
__1.1.1 머신러닝으로 풀 수 있는 문제
__1.1.2 문제와 데이터 이해하기
1.2 왜 파이썬인가?
1.3 scikit-learn
__1.3.1 scikit-learn 설치
1.4 필수 라이브러리와 도구들
__1.4.1 주피터 노트북
__1.4.2 NumPy
__1.4.3 SciPy
__1.4.4 matplotlib
__1.4.5 pandas
__1.4.6 mglearn
1.5 파이썬 2 vs. 파이썬 3
1.6 이 책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버전
1.7 첫 번째 애플리케이션: 붓꽃의 품종 분류
__1.7.1 데이터 적재
__1.7.2 성과 측정: 훈련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
__1.7.3 가장 먼저 할 일: 데이터 살펴보기
__1.7.4 첫 번째 머신러닝 모델: k-최근접 이웃 알고리즘
__1.7.5 예측하기
__1.7.6 모델 평가하기
1.8 요약 및 정리

CHAPTER 2 지도 학습
2.1 분류와 회귀
2.2 일반화, 과대적합, 과소적합
__2.2.1 모델 복잡도와 데이터셋 크기의 관계
2.3 지도 학습 알고리즘
__2.3.1 예제에 사용할 데이터셋
__2.3.2 k-최근접 이웃
__2.3.3 선형 모델
__2.3.4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
__2.3.5 결정 트리
__2.3.6 결정 트리의 앙상블
__2.3.7 (한국어판 부록) 배깅, 엑스트라 트리, 에이다부스트
__2.3.8 커널 서포트 벡터 머신
__2.3.9 신경망(딥러닝)
2.4 분류 예측의 불확실성 추정
__2.4.1 결정 함수
__2.4.2 예측 확률
__2.4.3 다중 분류에서의 불확실성
2.5 요약 및 정리

CHAPTER 3 비지도 학습과 데이터 전처리
3.1 비지도 학습의 종류
3.2 비지도 학습의 도전 과제
3.3 데이터 전처리와 스케일 조정
__3.3.1 여러 가지 전처리 방법
__3.3.2 데이터 변환 적용하기
__3.3.3 (한국어판 부록) QuantileTransformer와 PowerTransformer
__3.3.4 훈련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의 스케일을 같은 방법으로 조정하기
__3.3.5 지도 학습에서 데이터 전처리 효과
3.4 차원 축소, 특성 추출, 매니폴드 학습
__3.4.1 주성분 분석(PCA)
__3.4.2 비음수 행렬 분해(NMF)
__3.4.3 t-SNE를 이용한 매니폴드 학습
3.5 군집
__3.5.1 k-평균 군집
__3.5.2 병합 군집
__3.5.3 DBSCAN
__3.5.4 군집 알고리즘의 비교와 평가
__3.5.5 군집 알고리즘 요약
3.6 요약 및 정리

CHAPTER 4 데이터 표현과 특성 공학
4.1 범주형 변수
__4.1.1 원-핫-인코딩(가변수)
__4.1.2 숫자로 표현된 범주형 특성
4.2 OneHotEncoder와 ColumnTransformer: scikit-learn으로 범주형 변수 다루기
4.3 make_column_transformer로 간편하게 ColumnTransformer 만들기
4.4 구간 분할, 이산화 그리고 선형 모델, 트리 모델
4.5 상호작용과 다항식
4.6 일변량 비선형 변환
4.7 특성 자동 선택
__4.7.1 일변량 통계
__4.7.2 모델 기반 특성 선택
__4.7.3 반복적 특성 선택
4.8 전문가 지식 활용
4.9 요약 및 정리

CHAPTER 5 모델 평가와 성능 향상
5.1 교차 검증
__5.1.1 scikit-learn의 교차 검증
__5.1.2 교차 검증의 장점
__5.1.3 계층별 k-겹 교차 검증과 그외 전략들
__5.1.4 (한국어판 부록) 반복 교차 검증
5.2 그리드 서치
__5.2.1 간단한 그리드 서치
__5.2.2 매개변수 과대적합과 검증 세트
__5.2.3 교차 검증을 사용한 그리드 서치
5.3 평가 지표와 측정
__5.3.1 최종 목표를 기억하라
__5.3.2 이진 분류의 평가 지표
__5.3.3 다중 분류의 평가 지표
__5.3.4 회귀의 평가 지표
__5.3.5 모델 선택에서 평가 지표 사용하기
5.4 요약 및 정리

CHAPTER 6 알고리즘 체인과 파이프라인
6.1 데이터 전처리와 매개변수 선택
6.2 파이프라인 구축하기
6.3 그리드 서치에 파이프라인 적용하기
6.4 파이프라인 인터페이스
__6.4.1 make_pipleline을 사용한 파이프라인 생성
__6.4.2 단계 속성에 접근하기
__6.4.3 그리드 서치 안의 파이프라인 속성에 접근하기
6.5 전처리와 모델의 매개변수를 위한 그리드 서치
6.6 모델 선택을 위한 그리드 서치
__6.6.1 중복 계산 피하기
6.7 요약 및 정리

CHAPTER 7 텍스트 데이터 다루기
7.1 문자열 데이터 타입
7.2 예제 애플리케이션: 영화 리뷰 감성 분석
7.3 텍스트 데이터를 BOW로 표현하기
__7.3.1 샘플 데이터에 BOW 적용하기
__7.3.2 영화 리뷰에 대한 BOW
7.4 불용어
7.5 tf-idf로 데이터 스케일 변경하기
7.6 모델 계수 조사
7.7 여러 단어로 만든 BOW(n-그램)
7.8 고급 토큰화, 어간 추출, 표제어 추출
__7.8.1 (한국어판 부록) KoNLPy를 사용한 영화 리뷰 분석
7.9 토픽 모델링과 문서 군집화
__7.9.1 LDA
7.10 요약 및 정리

CHAPTER 8 마무리
8.1 머신러닝 문제 접근 방법
__8.1.1 의사 결정 참여
8.2 프로토타입에서 제품까지
8.3 제품 시스템 테스트
8.4 나만의 추정기 만들기
8.5 더 배울 것들
__8.5.1 이론
__8.5.2 다른 머신러닝 프레임워크와 패키지
__8.5.3 랭킹, 추천 시스템과 그 외 다른 알고리즘
__8.5.4 확률 모델링, 추론, 확률적 프로그래밍
__8.5.5 신경망
__8.5.6 대규모 데이터셋으로 확장
__8.5.7 실력 기르기
8.6 마치며

관련분야 신착자료

Deisenroth, Marc Peter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