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1194 | |
005 | 20220526161043 | |
007 | ta | |
008 | 220330s2021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30319218 (상) ▼g 94510 | |
020 | ▼a 9788930319225 (하) ▼g 94510 | |
020 | 1 | ▼a 9788930319232 (세트) |
035 | ▼a (KERIS)BIB000016070489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41 | 0 | ▼a kor ▼a chi |
082 | 0 4 | ▼a 610.951 ▼2 23 |
085 | ▼a 610.99011 ▼2 DDCK | |
090 | ▼a 610.99011 ▼b 2021z3 | |
100 | 1 | ▼a 이한영, ▼g 李漢榮 ▼0 AUTH(211009)145889 |
245 | 1 0 | ▼a 중경서 독법 강해 / ▼d 이한영 지음 |
246 | 0 | ▼i 한자표제: ▼a 仲景書 讀法 講解 |
250 | ▼a 개정판 | |
260 | ▼a 서울 : ▼b 집문당, ▼c 2021 | |
300 | ▼a 2책(xx, 944 p.) ; ▼c 27 cm | |
500 | ▼a 감수: 서광진 | |
500 | ▼a 교정: 방철호 | |
500 | ▼a 상. xx, 513 p. -- 하. xx, 516-944 p. | |
504 | ▼a 참고문헌(p. 936-937)과 색인수록 | |
546 | ▼a 漢韓對譯 | |
700 | 1 | ▼a 서광진, ▼g 徐光震, ▼e 감수 |
700 | 1 | ▼a 방철호, ▼g 方喆浩, ▼e 교정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610.99011 2021z3 1 | Accession No. 12125965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610.99011 2021z3 2 | Accession No. 12125965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한의학을 공부하는 데 중경서는 선택이 아니라 반드시 학습해야 하는 필수 과정이다. 그러나 전수 과정 중에 시대사조(時代思潮)의 영향을 받으면서 본의가 변형되고 왜곡되어 난해해졌을 뿐 아니라 상한(傷寒)과 잡병(雜病)을 구분하는 이분적 사고를 낳았다.
이에 대해 저자는 고증(考證)과 문자(文字)를 통하여 한의학 고전의 문제점인 표기의 모호, 과장, 허구를 단호하게 지적한 반면 중경서에 깃든 근거주의와, 水-火-氣의 상호관계를 통해 상한이 잡병의 시작이며, 잡병을 조장하는 원인이라고 밝혔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v.1] 추천사 개정판 머리글 초판 머리글 목차 중경서 독법 해설 읽기 전에 1. 自序辯 1) 僞書之嫌 2) 黃老之風 3) 傳受之例 2. 文字論 1) 虛辭之亂 2) 實辭之敎 3) 易簡之文 3. 六經論 1) 假託之名 2) 六經之解 3) 提綱之解 4) 類聚之案 4. 證候論 1) 證候之意 2) 隨證之治 3) 胸腹之狀 5. 症狀論 1) 亡陽之鑿 2) 亡陽之分 3) 脈道之亡 6. 病源論 1) 病源之意 7. 氣 論 1) 氣字之來 2) 氣化之論 3) 二五之辯 8. 氣血水論 1) 南涯之案 2) 上衝之氣 3) 水病之論 9. 汗吐下論 1) 凡字之解 2) 古醫之法 3) 疾瀉之工 4) 八綱之辨 10. 表裏論 1) 表裏之來 2) 互根之用 3) 表裏之案 11. 感應論 1) 感應之理 2) 百病之應 3) 水氣之囊 12. 腹壓論 1) 胸腹之壓 2) 孔竅之利 3) 開闔之節 13. 病因論 1) 要略之因 2) 元方之因 3) 四家之因 14. 務本論 1) 本草之說 2) 四易之道 3) 務本之訓 [v.2] 추천사 개정판 머리글 초판 머리글 목차 중경서 조문 해설 읽기 전에 凡 例 辨太陽病脈證幷治 辨陽明病脈證幷治 辨少陽病脈證幷治 辨太陰病脈證幷治 辨少陰病脈證幷治 辨厥陰病脈證幷治 辨?亂病脈證幷治 辨陰陽易差後勞復病證幷治 맺음말 인용 도서 색인(항목) 색인(처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