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新국제법입문 = 제4판 (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정인섭 鄭寅燮, 1954-
서명 / 저자사항
新국제법입문 =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law / 정인섭 지음
판사항
제4판
발행사항
서울 :   박영사,   2022  
형태사항
xix, 450 p. : 삽화 ; 26 cm
총서사항
법학신서 시리즈
ISBN
9791130341057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1056
005 20220418183336
007 ta
008 220330s2022 ulka 001c kor
020 ▼a 9791130341057 ▼g 93360
035 ▼a (KERIS)BIB000016116534
040 ▼a 247017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41 ▼2 23
085 ▼a 341 ▼2 DDCK
090 ▼a 341 ▼b 2022z2
100 1 ▼a 정인섭 ▼g 鄭寅燮, ▼d 1954- ▼0 AUTH(211009)139760
245 1 0 ▼a 新국제법입문 = ▼x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law / ▼d 정인섭 지음
246 3 1 ▼a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law
246 3 0 ▼a 국제법입문
250 ▼a 제4판
260 ▼a 서울 : ▼b 박영사, ▼c 2022
300 ▼a xix, 450 p. : ▼b 삽화 ; ▼c 26 cm
490 1 0 ▼a 법학신서 시리즈
500 ▼a 색인수록
830 0 ▼a 법학신서 시리즈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1 2022z2 등록번호 111861412 도서상태 예약서가비치 반납예정일 예약 예약가능(1명 예약중)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어떻게 하면 독자가 좀 더 편하게 읽고 쉽게 국제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느냐에 유의했다. 필자의 다른 국제법 교과서인 「신국제법강의」(박영사)가 주로 대학(원)에서의 법학 전공자나 고위급 국가시험 응시자들을 주된 독자로 한다면, 약 1/3 남짓 분량으로 간추린 이 책자는 국제법을 공부하려는 그 밖의 독자들을 대상으로 했다.

「신국제법입문」이 전판에 이어 3년 만에 제4판을 간행하게 되었다. 책은 한 번 발간되면 두고두고 오랫동안 읽혀야 명저(名著)라고 할 수 있겠지만, 필자의 능력 부족으로 새 판이 나오면 바로 고치고 싶은 부분부터 눈에 뜨이니 주기적으로 개정판을 내지 않을 수 없다. 사실 필자는 한 번 발간되면 개정 없이 10년, 20년 뒤까지도 독자들이 한결같이 찾는 국제법서를 내는 게 꿈 중 하나이다.
국제법은 번역이 필요 없는 국제사회의 공통 언어로서 국제관계를 이해하는 기본 틀로서 작동한다. 현재 대한민국의 입지는 원활한 국제관계 유지 없이는 국가 발전과 번영을 상상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그런데도 근래 국내 대학에서 국제법에 대한 관심과 수강이 적어지고 있는 현상은 우려되는 사실이다. 이는 시험이 교육을 지배하는 대한민국 특유의 왜곡된 현실에서 비롯된 결과이다. 국제법에 무지하거나 국제법을 무시하고 근거 없는 민족감정 속으로의 매몰은 자칫 우리 모두에게 피해만 가져올 것이다.
구판과 비교할 때 전반적인 구조와 체제에는 큰 변화가 없다. 내용에 있어서는 가급적 추가되는 분량만큼 삭제도 해 전체 페이지가 너무 늘어나지 않도록 유의했으나, 결과적으로 15면 정도 늘어났다. 내용 흐름 자체는 건드리지 않았어도 중간중간 작은 손질을 한 곳도 적지 않다. 필자로서는 어떻게 하면 독자가 좀 더 편하게 읽고 쉽게 국제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느냐에 유의했다. 그렇지만 내용의 전문성 확보와 읽기의 편안함은 조화가 쉽지 않은 문제이다.
필자의 다른 국제법 교과서인 「신국제법강의」(박영사)가 주로 대학(원)에서의 법학 전공자나 고위급 국가시험 응시자들을 주된 독자로 한다면, 약 1/3 남짓 분량으로 간추린 이 책자는 국제법을 공부하려는 그 밖의 독자들을 대상으로 했다. 이 책자의 발간 목적, 대상 독자층, 「신국제법강의」와의 차이점 등은 초판 머리말에서 말한 내용 그대로이므로, 궁금한 독자는 바로 뒤의 글을 참고하기 바란다.
금년에 새 판을 내면서도 박영사에 계신 여러분들의 신세를 졌다. 특히 교정을 책임져 주신 편집부 김선민 이사와 조성호 기획이사의 노력과 지원이 없었으면 이 책이 이렇게 신속하고 보기 좋게 나오기 어려웠으리라 생각한다. 또한 보이지 않는 뒤편에서 책 제작에 헌신해 주신 다른 관계자들께도 지면을 통해 감사한다. 이 책을 갖고 국제법을 공부하는 모든 분들에게 항상 행운이 깃들기를 기원한다.

2022. 1
정 인 섭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정인섭(지은이)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및 동 대학원 졸업(법학박사) 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전문대학원) 교수(1995-2020)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위원(2004-2007) 대한국제법학회 회장(2009) 인권법학회 회장(2015. 3-2017. 3) 현: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 [저서 및 편서] 재일교포의 법적지위(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국제법의 이해(홍문사, 1996) 한국판례국제법(홍문사, 1998 및 2005 개정판) 국제인권규약과 개인통보제도(사람생각, 2000) 재외동포법(사람생각, 2002) 고교평준화(사람생각, 2002)(공편저) 집회 및 시위의 자유(사람생각, 2003)(공편저) 이중국적(사람생각, 2004) 사회적 차별과 법의 지배(박영사, 2004) 국가인권위원회법 해설집(국가인권위원회, 2005)(공저) 재일변호사 김경득 추모집 ― 작은 거인에 대한 추억(경인문화사, 2007) 국제법 판례 100선(박영사, 2008 및 2016 개정4판)(공저) 증보 국제인권조약집(경인문화사, 2008) 신국제법강의(박영사, 2010 및 2023 제13판) 난민의 개념과 인정절차(경인문화사, 2011)(공편) 생활 속의 국제법 읽기(일조각, 2012) 김복진: 기억의 복각(경인문화사, 2014 및 2020 증보판) 신국제법입문(박영사, 2014 및 2022 개정4판) 조약법강의(박영사, 2016) 한국법원에서의 국제법판례(박영사, 2018) 신국제법판례 120선(박영사, 2020) 국제법 시험 25년(박영사, 2020 및 2022 증보판) 국제법 학업 이력서(박영사, 2020) Korean Questions in the United Nations(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2) 외 [역서] 이승만, 미국의 영향을 받은 중립(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20)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제1장 국제법의 의의와 역사
제2장 국제법의 법원
제3장 국제법과 국내법의 관계
제4장 국 가
제5장 국가의 관할권 행사와 면제
제6장 조 약 법
제7장 국가책임
제8장 국가의 영역
제9장 해 양 법
제10장 국제환경법
제11장 국제인권법
제12장 국제형사법
제13장 국제연합
제14장 WTO와 국제통상법
제15장 국제분쟁의 사법적 해결
제16장 국제사회에서의 무력사용
제17장 국제인도법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