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10427 | |
005 | 20230222131828 | |
007 | ta | |
008 | 220318s2018 ulkad 001c kor | |
020 | ▼a 9788955662122 ▼g 93320 | |
035 | ▼a (KERIS)BIB000014797825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82 | 0 4 | ▼a 339 ▼2 23 |
085 | ▼a 339 ▼2 DDCK | |
090 | ▼a 339 ▼b 2018z3 | |
100 | 1 | ▼a 김명기, ▼g 金明紀, ▼d 1954- ▼0 AUTH(211009)149703 |
245 | 1 0 | ▼a 거시경제학 강의 = ▼x Lectures on macroeconomics / ▼d 김명기 |
260 | ▼a 서울 : ▼b 한나래아카데미 : ▼b 한나래출판사, ▼c 2018 | |
300 | ▼a 336 p. : ▼b 삽화, 도표 ; ▼c 26 cm | |
500 | ▼a 부록: 자본스톡을 포함하는 로머모형, 통화공급, 이자율과 현재할인가치 외 | |
500 | ▼a 색인수록 |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9 2018z3 | Accession No. 11186116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저자의 거시경제학 강의에서 시작된 책이다. 오랜 기간 한국은행에서 우리나라 경제의 동향 분석 및 전망을 담당했던 저자는 퇴직 후 강단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어떻게 하면 현실경제, 우리나라 경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까’를 고민했다.
현실 경제에 거시이론을 적용했던 실무적 경험을 토대로 거시경제의 움직임이나 정책에 대한 학생(독자)들의 분석 및 판단 능력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사례를 들어 우리나라 경제의 현실을 거시경제이론으로 설명하였고 중급수준의 거시경제학을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내용들을 담았다.
현실경제에 대한 이해를 돕는 책
이 책은 저자의 거시경제학 강의에서 시작되었다. 오랜 기간 한국은행에서 우리나라 경제의 동향 분석 및 전망을 담당했던 저자는 퇴직 후 강단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어떻게 하면 현실경제, 우리나라 경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까’를 고민했다. 그리하여 강의, 강의노트, 책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에서 저자는 현실 경제에 거시이론을 적용했던 실무적 경험을 토대로 거시경제의 움직임이나 정책에 대한 학생(독자)들의 분석 및 판단 능력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사례를 들어 우리나라 경제의 현실을 거시경제이론으로 설명하였고 중급수준의 거시경제학을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내용들을 담았다. 이 책을 통해 학생들은 경제를 보는 안목과 문제해결력을 키우고, 그러한 토대 위에서 현실 경제를 이해함으로써 거시경제학에 대한 흥미와 함께 우리나라 국민경제에 대한 관심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가볍지만 단단한 거시경제학 책
거시경제학 책 하면 두꺼운 두께, 묵직한 부피를 떠올리기 마련이다. 그에 반해 이 책은 상대적으로 얇고 가볍다. 저자는 중급 수준의 거시경제학 공부에 필수적인 내용을 가려 담으면서 가급적 한국경제를 예로 하여 설명함으로써 국민경제의 현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교재가 드물다고 느꼈다. 그리하여 부피는 크지 않지만 속은 알찬, 거시경제학 책을 내놓게 되었다.
책은 크게 장기와 단기로 나누어 장기 부분에서는 왜 어떤 나라는 부자이고 다른 나라는 가난한가에 초점을 두어 서술하였다. 국가 간 빈부의 격차가 장기 경제성장의 산물인 만큼 그 원인을 지식축적의 차이라고 보는 로머모형을 좀 더 자세히 다루었고, 단기 경기변동 부분에서는 새케인지언이론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려고 노력하였다. 특히 경기변동에서는 단순한 가정을 기초로 설명한 다음 그러한 가정이 어떠한 미시적 기초로 설정된 것인지를 덧붙여 학생들의 체계적 이해를 이끌어내려 했다. 이와 함께 현재 대부분 중앙은행이 물가안정목표제와 금리중시 통화정책을 채택하고 있는 현실에 맞추어 거시경제정책의 실상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아울러 금융위기가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근의 글로벌 금융위기를 사례로 설명하여 학생들이 글로벌 안목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1부 거시경제학으로 들어가기 1장 거시경제학 소개 1 거시경제학이란? 2 거시경제학은 주요 문제를 어떻게 연구하는가? 3 주요 학습 내용 2장 거시경제 데이터의 측정 1 경제활동의 측정 - 국민소득계정 2 인플레이션의 측정 3 고용 상황의 측정 4 성장률과 70의 법칙 2부 장기 3장 총산출 및 재화시장균형 1 생산모형 2 생산모형의 활용: 국가 간 소득격차 분석 3 재화시장의 균형 4장 솔로우모형 1 솔로우모형의 설정과 해 및 동학 2 솔로우모형에서의 인구증가 3 솔로우모형에서의 기술진보 4 성장회계 5장 내생적 성장이론 1 지식의 특성 2 로머모형 3 <부록> 자본스톡을 포함하는 로머모형 6장 노동시장, 임금과 실업 1 노동의 공급과 수요 2 마찰적 실업과 구조적 실업 3 자연실업률 7장 화폐와 인플레이션 1 화폐 2 화폐수량이론 3 실질이자율과 명목이자율 4 인플레이션의 비용 5 시뇨리지 6 〈부록 1〉 통화공급 7 〈부록 2〉 이자율과 현재할인가치 3부 단기 8장 경기변동입문 1 장기, 단기, 그리고 충격 2 단기모형 3 오쿤의 법칙 4 <부록> 거시경제이론의 시야: 장기와 단기 9장 IS곡선 1 재화시장의 균형 2 IS곡선의 유도 3 IS곡선의 활용 4 IS곡선의 미시적 기초 10장 통화정책곡선 1 통화정책과 이자율 2 통화정책준칙 3 중앙은행의 이자율 조절에 대한 미시적 기초 4 <부록> 화폐시장의 균형과 LM곡선 11장 필립스곡선 1 새케인지언 필립스곡선 2 단기모형의 활용 3 경직적 인플레이션에 대한 미시적 기초 4 <부록> 단기 총공급곡선 12장 총수요/총공급모형과 안정화정책 1 총수요(AD)곡선 2 총공급(AS)곡선 3 총수요/총공급모형 4 총수요/총공급모형과 거시경제적 충격 5 안정화 정책: 통화정책을 중심으로 6 동태확률일반균형(DSGE)모형 13장 금융위기와 거시경제 1 대차대조표와 레버리지 2 그림자금융 3 금융마찰 4 제로 하한에서의 통화정책 5 글로벌 금융위기의 발생과 정책 대응 4부 개방경제 및 미시적 기초 14장 개방경제 거시경제이론 1 무역수지와 자본유출입 2 외환시장과 환율 3 개방경제 단기모형 4 환율제도 15장 미시적 기초: 소비, 투자, 정부 1 소비 2 투자 3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