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영어교사와 학습자를 위한) 영어 논리 및 논술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성연, 金成姸, 1970-
Title Statement
(영어교사와 학습자를 위한) 영어 논리 및 논술 / 김성연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문화사,   2020  
Physical Medium
316 p. : 삽화 ; 26 cm
ISBN
9788968178412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00-311)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0380
005 20220425144106
007 ta
008 220318s2020 ulka b 001c kor
020 ▼a 9788968178412 ▼g 93370
035 ▼a (KERIS)BIB000015531646
040 ▼a 011001 ▼c 011001 ▼d 211009
041 0 ▼a kor ▼a eng
082 0 4 ▼a 428.24 ▼2 23
085 ▼a 428.24 ▼2 DDCK
090 ▼a 428.24 ▼b 2020z5
100 1 ▼a 김성연, ▼g 金成姸, ▼d 1970- ▼0 AUTH(211009)145267
245 2 0 ▼a (영어교사와 학습자를 위한) 영어 논리 및 논술 / ▼d 김성연 지음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20
300 ▼a 316 p. : ▼b 삽화 ; ▼c 26 cm
504 ▼a 참고문헌(p. 300-311)과 색인수록
536 ▼a 이 저서는 2015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5S1A6A4A01013160)
546 ▼a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28.24 2020z5 Accession No. 111861119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4-04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글쓰기를 통해 비판적 사고력을 함양하고 전문적 분석역량을 강화할 것을 강조하는 현대의 글쓰기 연구 트렌드를 따라 집필된 교재다. 영어 쓰기를 학습의 목적이 아닌 전문적 내용지식 습득을 위한 도구로 보는 관점에 기반하여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학생이 쓰기를 도구로 활용하여 전공 분야별로 고유한 사고방식과 내용지식에 접근하고, 주도적으로 학습역량을 강화하여 궁극적으로 창의적, 비판적 사고를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교재는 글쓰기를 통해 비판적 사고력을 함양하고 전문적 분석역량을 강화할 것을 강조하는 현대의 글쓰기 연구 트렌드를 따르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기존의 쓰기 교재들은 언어 중심 쓰기 접근법에 기초하여 언어적 정확성을 강조하였지만 쓰기에 수반되는 사고, 창의성, 분석역량 등을 직접적으로 다루지 않았다. 이에 반해 본 교재는 영어 쓰기를 학습의 목적(learning to write)이 아닌 전문적 내용지식 습득을 위한 도구(writing to learn)로 보는 관점에 기반하여 사고(thinking)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학생이 쓰기를 도구로 활용하여 전공 분야별로 고유한 사고방식과 내용지식에 접근하고, 주도적으로 학습역량을 강화하여 궁극적으로 창의적, 비판적 사고를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서론 중에서

머리말
글쓰기는 생각의 힘을 보여주고, 감동을 전달하고, 직무 역량을 나타내는 등 인간 생활 전반에 걸쳐 우리의 생각, 감정, 행동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이와 관련하여 두 가지 일화를 소개하고자 한다. 몇 년 전 필자가 업무 처리 차 학교 주변의 관공서에 갔었는데 업무 마감 30분 전에 도착하였다. 정년퇴임하신 어른이 자원봉사자로 민원을 처리하고 계셨는데 내 앞에 이미 두 분이 대기 중이었다. 내 차례가 돌아왔을 때 마감 시간까지 불과 10분 남짓 남아 있었는데 이 분은 대충 설명하고 빨리 마무리하려고 하지 않고 성심성의껏 안내해주셨다. 필자는 그 모습에 감동을 받아 해당 기관의 홈페이지에 상당히 구체적으로 후기를 남겼다. 그로부터 며칠 후 해당 부서의 책임자로부터 고맙다는 내용의 전화를 받았다. 알고 보니 필자가 올린 칭찬의 글이 상위 기관으로 전달되어 기관 전체가 가산점을 받게 된다는 내용이었다. 이렇게 자그마한 글이 개인 차원을 넘어 기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 신기하면서도 매사 최선을 다하는 누군가를 응원할 수 있다는 마음에 뿌듯했다.
영어 쓰기와 관련해서는 최근 교환교수로 대만의 대학에 몇 개월 방문하면서 경험한 흥미로운 일화가 있다. 대학 방문을 준비하면서 여러 가지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해당 대학의 조교 선생님과 수십 차례 이메일을 주고받아야 했다. 이메일로 소통하면서 필자는 조교 선생님의 신속한 업무 처리 능력과 정확한 정보 전달 능력에 적잖이 놀랐다. 조교 선생님의 영어 글쓰기에 나타난 업무 역량이 탁월하다고 생각했고 원어민이거나 적어도 외국 경험이 많은 분일 것이라고 상상하였다. 그런데 직접 만나보니 영어로 대화하는 것이 다소 서툴고 외국 경험은 전무한 대만인이었다. 대만에서는 대학시험에서 영어 쓰기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학교 교육과정에서 영어 글쓰기를 강조하기 때문에 사람들의 영어쓰기 역량이 우수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 사례는 영어 글쓰기와 업무역량의 밀접한 관계를 잘 보여준다.
이에 비해 한국의 영어쓰기 지도는 다소 뒤처진 감이 있는데 이는 아직까지 학교현장에서 쓰기지도가 경시되고 있고, 지도가 이루어져도 언어 형식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우리는 학교 수업에서 영어 쓰기를 제대로 배우지 못했고, 쓰기의 기회가 있었어도 문법 오류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글을 썼던 기억이 많다. 필자는 중학교 때 처음 영어를 배웠던 세대이기에 대학에 가서 원어 강의를 처음 접하면서 적잖이 당황했지만 영어 연극, 영어 회화 동아리 등과 같이 다양하고 흥미로운 활동들을 통해 의사소통 중심의 영어를 학습할 수 있었다.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색다른 보람을 느꼈고 이를 계기로 운명처럼 교수의 길을 가게 되었다. 2008년에 첫 연구년을 받아 미국에 가게 되었는데, 미국 대학에서 보낸 시간은 필자에게 새로운 전환점이 되었다. John Bean의 Engaging Ideas라는 책을 접하고 동시에 미국 대학의 작문 수업을 참관하면서 “아하”라고 무릎을 탁 치게 되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그동안 문법적으로 정확한 문장, 수려한 어휘를 구사하는 것이 곧 영어 쓰기라는 고정관념이 자리 잡고 있었는데, 미국에서의 경험은 문법 너머에 펼쳐지는 생각의 힘과, 이를 수업과정에 반영한 교수법의 강점을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그 이후 필자는 영어 쓰기를 도달해야 할 목표, 습득해야 할 대상, 연습해야 할 언어 요소로 보는 관점에서 탈피하여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고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도구로서의 영어 쓰기를 강조하게 되었다. 지난 10여 년간 필자는 이러한 방향으로 나아가고자 다양한 방법을 연구, 모색해 왔다. 영어 쓰기에 대한 관점의 변화와 함께 새로운 쓰기 접근법을 중등학교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한국연구재단이 후원하는 중견연구 과제를 2년간 수행하였다. 현장교사들과 쓰기 수업 연구를 진행하면서 현장에서 필요한 쓰기 교육에 대해 많이 배우고 깨달았다. 주말을 반납하고 열정적으로 참여해준 교사들과 수업 연구를 진행하면서 사고력 함양을 위한 쓰기지도의 당위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이후 영어로 진행하는 전공수업에서 영어 쓰기를 다양하게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때맞추어 교원 임용고시에 영어로 답안을 서술하는 문항 유형이 추가되면서 학생들이 영어 쓰기를 연습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해외에서 수학한 친구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영어 쓰기는 미지의 세계이자 극복해야 할 난제였다. 다행히도 학생들은 쓰기에 대한 어려움을 토로하면서도 포기하지 않고 열심히 쓰기 과제 수행에 임했다. 필자는 그동안 학부 및 대학원 과정에서 다양한 전공 수업과 연계하여 상시적으로 쓰기 과제를 주고 피드백을 주면서 수업을 진행하였는데 학생들은 늘 성실하게 참여하였고, 이 과정에서 필자도 다양한 경험을 축적하였다. 이를 계기로 영어과 현장교사, 예비교사, 영어 쓰기를 어려워하는 학생들을 위해 책을 집필해야겠다는 마음을 갖게 되었다.
결정적으로 2015년 봄에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저술출판 사업에 선정되었다. 3년간에 걸쳐 연구 계획을 이행하다보니 자연스럽게 원고가 완성되었다. 원고를 준비하기까지 많은 도움을 준 이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갖게 된다. 특히, 원고 내용 중 장르중심의 쓰기 과업과 읽기 연계 쓰기 과업을 구안해주신 이훈희, 강석창 선생님과 원고를 검토해주신 오희정, 박윤경 선생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 또한, 임용고시 기출 문제에 대한 답안을 작성해준 학생을 포함하여 텍스트 자료의 활용을 흔쾌히 동의해준 학생들에게 고마움을 전하고 싶다. 뿐만 아니라 인문저술출판지원사업을 통해 3년간 지원해준 한국연구재단에 특별히 감사드린다. 많은 분들의 협조로 결실을 맺은 이 책이 영어 쓰기에 대한 독자 관점의 지평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2020.2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성연(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영어교육과(학사, 영어교육)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석사, 영어학)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석사, 교육공학)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박사, 영어교육) 2002년에 한양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수로 임용된 이래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 정책연구를 포함하여 다수의 교육부 연구 과제(초등영어 시수확대, 교사연수기관 평가, 원어민 보조교사제도 등)를 수행하였으며, 현장교사의 영어 쓰기 능력 및 영어 쓰기지도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젝트를 완수한 바 있다.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자지원사업(단년 및 다년과제), 인문저술출판지원사업(다년과제)을 수주하였고 미국 국무부 주관 Fulbright grant program에서 Mid-career Research Fellow(2008년), Senior Research Fellow(2015년)로 선정된 바 있다. 또한, 영어과교육과정 심의, 중등영어교과서 검정 등 영어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 참여하였으며 중등영어 교과서를 집필한 바 있다. 현재까지 국내외 전문학술지에 60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하였으며 최근에는 British Council, Springer 등에서 출판하는 교재에 연구결과를 게재하였다. 영어 쓰기, 교사교육, 교육정책, 언어평가, 테크놀로지 활용 영어교육, ESP 등의 주제에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연구를 수행해오고 있다.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한국응용언어학회, 한국영어교육학회, Asia TEFL 등에서 편집이사, 연구이사, 재무이사 등을 역임한 바 있으며 현재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에서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서문
서론

1부 영어 쓰기 이론
1. 쓰기의 정의 및 특성
1.1. 쓰기의 정의
1.2. 쓰기의 특성
1.3. 쓰기의 유형

2. 쓰기 능력
2.1. 쓰기 능력의 정의 및 구성 요소
2.2. 쓰기 능력 발달 요인
2.3. 쓰기능력: 숙련된 작가의 특성

3. 수사학과 논리적 글쓰기
3.1. 수사학의 정의
3.2. 수사학의 역사
3.2.1. 고전 수사학(Classical rhetoric)
3.2.2. 중세-르네상스 시대 수사학(Medieval and Renaissance rhetoric)
3.2.3. 르네상스 이후-20세기 수사학(Renaissance to the 20th century)
3.2.4. 현대 수사학(Contemporary rhetoric)
3.3. 수사학과 글쓰기

4. L2 쓰기의 역사적 배경 및 교수학습 이론
4.1. 결과(Product) 중심의 쓰기
4.2. 과정(Process) 중심의 쓰기
4.3. 포스트 과정(Post-process) 중심의 쓰기

5. L2 쓰기 교수법
5.1. Raimes(1983)
5.2. Silva(1990)
5.3. Ferris & Hedgcock(2014)

2부 영어 쓰기 연습
6. EAP 쓰기
6.1. EAP 쓰기의 정의 및 특성
6.2. EAP 쓰기 과업 3
6.2.1. 학부생을 위한 에세이 쓰기
6.2.2. 대학원생을 위한 논문 쓰기
6.2.3. 읽기 연계 쓰기

7. ESP 쓰기
7.1. ESP 쓰기의 정의 및 특성
7.2. L2 학습자와 ESP 쓰기
7.3. ESP 쓰기 과업의 특성
7.4. ESP 쓰기 과업

8. 영어 교사를 위한 논리 및 논술
8.1. 전공 영어 쓰기의 어려움
8.1.1. 과업 완수
8.1.2. 내용
8.1.3. 구성
8.1.4. 언어 사용
8.1.5. 다시 쓰기
8.2. 영어교육 전공 지식 평가를 위한 쓰기
8.2.1. 내용지식 측정(단어 수준)
8.2.2. 내용지식 측정(문장/단락 수준)

3부 영어 쓰기 교수 및 평가
9. 영어 쓰기 교육과정
9.1. 쓰기 교육과정의 원리 및 실제
9.2. L1 쓰기와 L2 쓰기 교육과정
9.3. 중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쓰기

10. 영어 쓰기 교수설계: 장르 중심 쓰기
10.1. 장르 접근법
10.2. 장르 중심 쓰기 수업의 원리
10.3. 장르 중심 쓰기 수업의 유형
10.4. 장르 중심 수업 디자인의 단계
10.5. 장르 중심 쓰기 수업의 예시

11. 영어 쓰기 교수 설계: 읽기 연계 쓰기
11.1. 읽기 연계 쓰기 수업의 원리
11.2. 읽기 연계 쓰기 수업의 유형
11.2.1. 컴퓨터 매개 모형(Computer-mediated model)
11.2.2. 문학/반응 중심 모형(Literature/Response-based model)
11.2.3. 협업 모형(Collaborative model)
11.2.4. 내용 중심 모형(Content-based model)
11.2.5. 순차적 모형(Sequential model)
11.3. 읽기 연계 쓰기 수업의 예시

12. 영어 쓰기 과업 및 활동
12.1. 쓰기 과업 설계의 원리
12.2. 쓰기 과업 유형
12.2.1. 입력 중심 쓰기(Input-based writing)
12.2.2. 언어 중심 쓰기(Language-based writing)
12.2.3. 통제작문(Controlled writing)
12.2.4. 유도작문(Guided writing)
12.2.5. 자유작문(Free writing)

13. 영어 쓰기 평가
13.1. 영어 쓰기 평가의 주요 개념
13.2. 영어 쓰기 평가의 원리
13.3. 영어 쓰기 평가 과업 및 채점
13.3.1. 영어 쓰기 평가 과업
13.3.2. 영어 쓰기 채점
13.3.3. 평가와 피드백

결론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