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경제학 들어가기 = 제5판

경제학 들어가기 = 제5판 (Loan 3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준구, 李俊求, 1949- 이창용, 李昌鏞, 1960-, 저
Title Statement
경제학 들어가기 = Introductory economics / 이준구, 이창용
판사항
제5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고양 :   문우사,   2022  
Physical Medium
xxiii, 730 p. : 천연색삽화, 도표 ; 26 cm
ISBN
9791185994932
General Note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10333
005 20221206141044
007 ta
008 220318s2022 ggkad 001c kor
020 ▼a 9791185994932 ▼g 93320
035 ▼a (KERIS)BIB000016096673
040 ▼a 241002 ▼c 241002 ▼d 211009
082 0 4 ▼a 330 ▼2 23
085 ▼a 330 ▼2 DDCK
090 ▼a 330 ▼b 2022z1
100 1 ▼a 이준구, ▼g 李俊求, ▼d 1949- ▼0 AUTH(211009)107239
245 1 0 ▼a 경제학 들어가기 = ▼x Introductory economics / ▼d 이준구, ▼e 이창용
250 ▼a 제5판
260 ▼a 고양 : ▼b 문우사, ▼c 2022
300 ▼a xxiii, 730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6 cm
500 ▼a 색인수록
700 1 ▼a 이창용, ▼g 李昌鏞, ▼d 1960-, ▼e▼0 AUTH(211009)111425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0 2022z1 Accession No. 111861068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19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0 2022z1 Accession No. 11186189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0 2022z1 Accession No. 111865593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15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머리말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엄청난 고통은 2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현재진행형으로 계속되고 있다. 유례없이 빠른 속도로 백신과 치료약이 개발되어 겨우 한숨 돌리나 했더니, 이제는 새로운 변이종이 속속 등장해 우리를 두려움에 몰아넣고 있다. 세계 경제는 글로벌 금융위기에 이은 코로나 팬데믹의 원투펀치를 맞고 심하게 비틀거리고 있다. 그나마 각국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에 힘입어 심각한 위기국면으로 치닫지 않는 것이 다행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처럼 급변하는 세계 경제의 상황이 경제학 입문서를 새로 써야 하는 압력으로 작용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기존의 이론틀을 그대로 유지하되, 그와 같은 상황의 변화를 어떤 형식으로든 반영해야 충분한 업데이트가 될 수 있다고 본다. 이번 개정작업은 바로 이런 관점에서 진행되었다.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시대의 흐름을 비교적 충실하게 반영하는 책이라는 느낌을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
네 번에 걸친 개정작업을 통해 이제는 경제학 입문서로서 어느 정도 틀을 갖추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처음 쓸 때 가장 신경을 썼던 것은 『경제학원론』과 어느 정도의 차별성을 갖게 만드느냐였다. 난이도나 포괄범위에서 한 단계 더 낮아야 한다는 사실은 분명했지만,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까지 가야 하느냐는 쉽게 선택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었다. 그래서 처음 책을 냈을 때는 이 점에 대한 불안함이 없지 않았으나, 이제는 어느 정도 마음을 놓아도 된다는 느낌이다.
내가 교과서를 쓰거나 개정할 때 늘 도움을 아끼지 않아 왔던 정지영 교수가 이번에도 귀중한 도움을 주었다. 깐깐한 안목으로 여기저기 틀린 곳을 짚어준 덕분에 책이 훨씬 더 좋아질 수 있었다고 느낀다. 언제나처럼 예쁜 표지를 디자인해 준 신비아 양, 그리고 통계자료 정리를 맡아 수고를 아끼지 않은 허수경 박사에게도 너무나 고맙다는 말을 하고 싶다. 마지막으로 이런저런 도움을 아끼지 않은 문우사의 김영훈 사장과 전영완 차장에게도 깊은 감사의 뜻을 표한다.

2022년 2월
이준구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이준구(지은이)

1972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나와 미국 Princeton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New York주립대학교(Albany) 경제학과에서 가르친 바 있으며, 1984년 서울대학교 경제학부에 교수로 부임한 후 뛰어난 제자들을 길러내는 즐거움 속에서 살았다. 2015년 명예교수가 된 그는 『소득분배의 이론과 현실』, 『경제학원론』(공저), 『미시경제학』, 『재정학』(공저), 『시장과 정부』, 『쿠오바디스 한국경제』, 『미국의 신자유주의 실험』(2017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이준구 교수의 인간의 경제학』, 『이준구 교수의 열린경제학』 등 여러 권의 책을 썼다. 계절을 가리지 않고 코트에 나갈 정도로 테니스를 좋아하며, 꽃 가꾸는 일도 즐기는 일 중 하나다. 사진 촬영도 좋아해 어디에 가든 카메라를 짊어지고 나가는 것이 거의 버릇처럼 되었다.

이창용(지은이)

이창용(李昌鏞) 박사는 1984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나와 미국 Harvard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Rochester 대학교 경제학과에서 가르친 바 있으며, 1994년부터 2009년까지 서울대학교 경제학부에서 경제학원론, 거시경제학, 금융이론 등을 가르쳤다. 현실의 경제 문제에 남다른 관심을 갖고 있는 이 박사는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에 게재된 논문을 비롯해 그동안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상아탑을 떠나 현실 경제에 뛰어든 그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과 아시아개발은행의 Chief Economist를 역임하고, 현재 국제통화기금(International Monetary Fund)의 아태국장으로 활약하고 있다. 190cm의 장신을 자랑하는 그는 농구, 테니스, 배구 등 여러 가지 운동을 두루 좋아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제1편 경제학의 기초

제1장 경제학이란?
1.1 경제학의 기본 성격
1.2 합리적 선택의 기초
1.3 경제적 자원과 생산가능곡선
1.4 국민경제의 기본 골격
1.5 시장과 가격

제2장 경제학 연구의 방법
2.1 경제이론이란?
2.2 경제모형
2.3 경제이론의 구분
2.4 경제학적 사고의 기초

제3장 수요, 공급 그리고 시장의 균형
3.1 수요
3.2 수요의 탄력성
3.3 공급
3.4 공급의 탄력성
3.5 시장의 균형
3.6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제2편 소비자와 생산자

제4장 소비자의 선택
4.1 소비자의 선택과 수요
4.2 소비자의 최적선택
4.3 가격 변화의 효과
4.4 수요의 네트워크효과

제5장 기업의 생산활동
5.1 기업이란?
5.2 생산기술
5.3 생산비용
5.4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
5.5 기업의 선택

제3편 상품시장과 경쟁

제6장 완전경쟁시장
6.1 시장의 형태
6.2 완전경쟁시장의 요건
6.3 단기에서의 이윤극대화와 공급곡선
6.4 장기균형
6.5 완전경쟁시장은 어떤 점에서 바람직한가?

제7장 불완전경쟁시장
7.1 배경 설명
7.2 독점시장
7.3 독점의 경제적 효과
7.4 가격차별
7.5 과점시장
7.6 독점경쟁시장

제8장 게임과 전략
8.1 게임의 기본 골격
8.2 용의자의 딜레마 게임
8.3 경쟁전략의 실례
8.4 경매의 이론

제4편 생산요소시장과 소득분배

제9장 생산요소시장의 이론
9.1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와 공급의 결정과정
9.2 생산요소시장의 균형
9.3 노동시장
9.4 자본의 개념
9.5 이자율의 결정
9.6 이 윤

제10장 소득분배의 현실
10.1 배경 설명
10.2 불평등도의 측정
10.3 빈곤의 문제
10.4 재분배정책

제5편 미시경제이론의 여러 문제

제11장 정보경제이론
11.1 불완전한 정보와 탐색행위
11.2 비대칭정보
11.3 개살구시장과 역선택
11.4 신호발송과 선별
11.5 개살구시장과 관련된 유인의 문제
11.6 본인-대리인의 관계와 도덕적 해이
11.7 도적적 해이와 관련된 유인의 문제

제12장 시장과 정부
12.1 배경 설명
12.2 시장과 효율성
12.3 정부의 역할
12.4 공공재의 문제
12.5 환경의 문제

제6편 거시경제이론 입문

제13장 거시경제이론의 기초
13.1 거시경제이론의 기본 개념
13.2 총수요와 총공급

제14장 거시경제이론의 주요 변수
14.1 국내총생산
14.2 국내총생산의 여러 측면
14.3 국민총소득과 처분가능소득
14.4 한국의 국민계정
14.5 국내총생산의 개념이 갖는 한계
14.6 물가지수

제7편 국민소득의 결정

제15장 소비, 투자, 정부지출, 순수출
15.1 총수요의 구성요소들
15.2 소비지출
15.3 투자지출
15.4 정부지출과 순수출

제16장 소득-지출분석과 케인즈의 유효수요이론
16.1 소득-지출분석의 기본 골격
16.2 균형국민소득의 도출
16.3 승수효과
16.4 케인즈의 유효수요이론
16.5 완전고용국민소득
16.6 수요 부족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
16.7 승수효과와 재정정책
부록 재정수지와 국가부채

제17장 국민소득과 물가 : 총수요-총공급모형
17.1 총수요곡선
17.2 총공급곡선
17.3 국민경제의 균형
17.4 경제의 자동조정기능
17.5 모형의 응용 : 원유가격 상승의 효과

제8편 화폐와 국민경제

제18장 화폐와 은행제도
18.1 화폐의 성격
18.2 통화량의 측정
18.3 화폐의 수요와 공급
18.4 은행제도의 발전
18.5 예금창조와 통화승수

제9편 경제안정의 문제

제19장 실업과 인플레이션
19.1 국민경제의 두 가지 숙제
19.2 실업의 정의와 측정
19.3 실업의 성격
19.4 인플레이션의 사회적 비용
19.5 인플레이션의 발생 원인

제20장 경제안정정책
20.1 경제안정정책의 성격
20.2 재정정책
20.3 통화정책
20.4 통화정책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20.5 재정정책이냐, 통화정책이냐?
20.6 미세조정의 시도는 바람직한가?
부록 자동안정장치

제10편 경제성장의 문제

제21장 경제성장과 발전
21.1 배경 설명
21.2 지속적 경제성장의 문제
21.3 성장회계 : 양적 성장과 실적 성장
21.4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

제11편 국제경제

제22장 국제무역의 이론
22.1 국제무역의 현실
22.2 교역의 이득과 비교우위이론
22.3 비교우위와 국제무역
22.4 무역에서 나오는 이득
22.5 보호무역론의 근거
22.6 무역규제의 구체적 방식
22.7 자유로운 무역을 추구하는 움직임

제23장 국제수지와 환율
23.1 국제수지표와 국제수지
23.2 환율
23.3 환율과 경상수지
23.4 환율에 관한 여러 가지 이론
23.5 변동환율제도와 고정환율제도

제12편 세계경제의 현황

제24장 위기의 경제학
24.1 배경 설명
24.2 글로벌 금융위기의 발생과 전개 과정
24.3 유로존의 재정위기
24.4 글로벌 금융위기에 대한 정책대응
24.5 코로나19의 대유행

제13편 경제의 역사

제25장 인간의 경제생활이 발전해 온 발자취
25.1 고대사회의 경제
25.2 중세 봉건사회의 경제
25.3 유럽의 팽창과 중상주의 정책
25.4 산업혁명과 세계자본주의의 발전
25.5 1930년대의 세계 대공황
25.6 세계경제의 재건과 성장
25.7 불확실성의 시대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大塚啓二郎 (2023)
최병선 (2023)
柄谷行人 (2023)
Garritzmann, Julian L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