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정당의 기능 3
1. 정당이란 무엇인가 3
2. 정당의 기능 6
3. 한국에서 정당의 기능 22
제2장 정당의 기원 29
1. 제도적 관점 30
2. 역사적-상황적 관점에서 정당의 기원 40
3. 한국 정당의 기원 42
제3장 균열과 정당 51
1. 립셋과 록칸 51
2. 한국 정치에 대한 립셋-록칸 이론의 적용 55
3. 균열 이론에 대한 비판 65
제4장 이념과 정당 73
1. 폰 바이메의 정당 계보(familes spirituelles) 74
2. 이념의 공간 모델 88
3. 한국에서의 정당 이념 91
제5장 정당체계 97
1. 정당체계의 구분 98
2. 한국의 정당체계 110
제6장 정당의 조직 121
1. 뒤베르제 121
2. 포괄정당 126
3. 우파로부터의 전염 128
4. 선거-전문가 정당 129
5. 카르텔 정당 132
6. 현대적 명사정당 134
7. 기업형 정당 138
8. 득표 추구 정당, 정책 추구 정당, 공직 추구 정당 141
9. 한국에서의 정당 조직 144
제7장 정당의 공직 후보 선출 155
1. 공직 후보 선출 방식 157
2. 공직 후보의 자격 167
3. 공직 후보 선출의 분권화 168
4. 공천의 개방화, 분권화의 이유 170
5. 한국 정당의 공직 후보 선출 172
제8장 여당 179
1. 의회제 국가와 정당 정부 180
2. 대통령제 184
3. 이원정부제 190
4. 한국의 여당 192
제9장 야당 203
1. 정치적 반대와 다원주의 204
2. 야당과 정치체계 207
3. 한국의 야당 211
제10장 정당과 파벌 227
1. 파벌의 구분 230
2. 파벌 발생의 원인 237
3. 파벌의 기능 239
4. 한국 정당에서의 파벌 242
제11장 정당 정치의 변화와 새로운 정당 249
1. 조용한 혁명(silent revolution) 252
2. 조용한 반혁명 253
3. 좌파-자유지상주의 대 우파-권위주의 255
4. 포퓰리즘 258
5. 극우정당/포퓰리즘 정당 부상의 원인 261
6. 한국의 경우 266
제12장 정당의 미래 271
1. 정당의 위기 272
2. 정당 위기의 의미 278
3. 정당은 정말 위기일까? 281
4. 한국의 경우 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