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9348 | |
005 | 20220329161712 | |
007 | ta | |
008 | 220304s2020 ulk 000c kor | |
020 | ▼a 9788962464238 ▼g 93910 | |
035 | ▼a (KERIS)BIB000015661989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82 | 0 4 | ▼a 951.901 ▼2 23 |
085 | ▼a 953.02 ▼2 DDCK | |
090 | ▼a 953.02 ▼b 2020z10 | |
100 | 1 | ▼a 김창호, ▼g 金昌鎬, ▼d 1951- ▼0 AUTH(211009)47802 |
245 | 1 0 | ▼a 韓國 古代 木簡 / ▼d 김창호 지음 |
260 | ▼a 서울 : ▼b 주류성, ▼c 2020 | |
300 | ▼a 310 p. ; ▼c 22 cm |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2 2020z10 | 등록번호 11186039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목간은 금석문과 함께 대표적인 1차 사료이다. 금석문은 국왕과 고급관료가 출현하는데 대해 목간에는 인명을 가진 관등이 없는 일반 백성이 등장한다.
한국 고대의 목간은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그 출토량이 적어서 연구 성과가 활발하지 못하다. 고구려 목간은 알려진 바가 없고, 백제 목간은 웅진성 시대에는 없고, 사비성 시대의 왕경 목간과 지방 관아 목간들이 알려져 있다. 고신라 시대에는 왕경 목간과 지방 관아 목간이 알려져 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왕경 목간과 지방 목간이 알려져 있다. 후삼국 시대 목간은 알려진 바가 없다.
아직까지 부족한 연구 자료와 더 채워져야 할 연구 성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평생 고대사와 목간연구에 매진한 저자가 꾸준히 연구한 결과를 이 책을 비롯한 몇 권의 책으로 남겨 힘을 보태고자 한다.
최근 조사된 한국 고대 목간을 정리하다
목간은 금석문과 함께 대표적인 1차 사료이다. 금석문은 국왕과 고급관료가 출현하는데 대해 목간에는 인명을 가진 관등이 없는 일반 백성이 등장한다.
한국 고대의 목간은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그 출토량이 적어서 연구 성과가 활발하지 못하다. 고구려 목간은 알려진 바가 없고, 백제 목간은 웅진성 시대에는 없고, 사비성 시대의 왕경 목간과 지방 관아 목간들이 알려져 있다. 고신라 시대에는 왕경 목간과 지방 관아 목간이 알려져 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왕경 목간과 지방 목간이 알려져 있다. 후삼국 시대 목간은 알려진 바가 없다.
아직까지 부족한 연구 자료와 더 채워져야 할 연구 성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평생 고대사와 목간연구에 매진한 필자가 꾸준히 연구한 결과를 이 책을 비롯한 몇 권의 책으로 남겨 힘을 보태고자 한다.
정보제공 :

목차
책머리에 제1장 왕경의 목간 제1절 월성해자 목간 新1호의 제작 시기 제2절 경주 월성해자 출토 목간 몇 예 제2장 지방 관아 목간의 기초적 검토 제1절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신고찰 제2절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1) 제3절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2) 제4절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성촌명 제3장 지방 관아 목간의 성격 제1절 함안 성산산성의 城下麥 목간 제2절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성격 제3절 함안 성산산성 목간으로 본 신라의 지방 통치 체제 제4절 이성산성 출토 목간의 작성 연대 제5절 성산산성 목간의 本波·阿那·末那 등에 대하여 제4장 백제 목간, 통일 신라 목간 제1절 부여 궁남지 출토 315호 목간 제2절 월지 출토 목간 몇 예 제3절 월지 출토 185호 목간의 해석 제4절 경주 황남동 376번지 출토 목간의 재검토 보론 : 신라 둔전문서의 작성 연대와 그 성격 책을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