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8622 | |
005 | 20220225090635 | |
007 | ta | |
008 | 220222s2022 ulka 000c kor | |
020 | ▼a 9791164843701 ▼g 03320 | |
035 | ▼a (KERIS)BIB000016062437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303.483 ▼2 23 |
085 | ▼a 303.483 ▼2 DDCK | |
090 | ▼a 303.483 ▼b 2022z2 | |
110 | ▼a 매일경제. ▼b CES 특별취재팀 | |
245 | 1 0 | ▼a 빅테크 트렌드 CES 2022 : ▼b 한 권으로 끝내는 미래 혁신 기술 대전망 / ▼d 매일경제 CES 특별취재팀 지음 |
246 | 3 | ▼a 빅테크 트렌드 시이에스 이천이십이 |
260 | ▼a 서울 : ▼b 매일경제신문사, ▼c 2022 | |
300 | ▼a 327 p. : ▼b 천연색삽화 ; ▼c 19 cm | |
500 | ▼a CES는 "Consumer Electronic Show"의 약어임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03.483 2022z2 | 등록번호 1513583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매년 1월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는 단순한 전시회 성격을 넘어서는 행사로, 전 세계가 주목하는 글로벌 기업들의 기술 혁신과 미래 산업의 동력을 점칠 수 있는 중요한 무대다. 특히 2022년에는 헬스케어와 홈 IoT(사물인터넷), 홈 엔터테인먼트, NFT, 푸드테크, 스페이스 테크, 자율주행 분야에 걸쳐 2,200여 곳의 기업이 참여해 최첨단 기술력을 선보였다.
《빅테트 트렌드 CES 2022》에는 ‘CES 2022’ 현장을 누비며 발 빠르게 취재한 내용이 생생하게 담겨 있다. 시에라 스페이스, 소니, GM, BMW 등의 글로벌 기업은 물론이고 삼성, 현대자동차, SK, LG 등의 국내 기업 전시를 직접 취재하고 시사점을 다루었다.
또한 실리콘밸리 대표 기업인 구글과 애플,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웨이모 등의 최신 동향을 살펴볼 수 있는 내용도 함께 수록했다. 이 책은 최신 글로벌 기술 트렌드를 알고자 한다면 반드시 읽어야 하는 필독서다. 세계시장을 선도하는 국내외 글로벌 기업의 혁신 기술을 총 망라해 그 핵심을 정확히 짚어내고 있기 때문이다.
빅테크 기업의 트렌드 척도, CES 2022
매년 1월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는 단순한 전시회 성격을 넘어서는 행사로, 전 세계가 주목하는 글로벌 기업들의 기술 혁신과 미래 산업의 동력을 점칠 수 있는 중요한 무대다. 특히 2022년에는 헬스케어와 홈 IoT(사물인터넷), 홈 엔터테인먼트, NFT, 푸드테크, 스페이스 테크, 자율주행 분야에 걸쳐 2,200여 곳의 기업이 참여해 최첨단 기술력을 선보였다.
《빅테트 트렌드 CES 2022》에는 ‘CES 2022’ 현장을 누비며 발 빠르게 취재한 내용이 생생하게 담겨 있다. 시에라 스페이스, 소니, GM, BMW 등의 글로벌 기업은 물론이고 삼성, 현대자동차, SK, LG 등의 국내 기업 전시를 직접 취재하고 시사점을 다루었다. 또한 실리콘밸리 대표 기업인 구글과 애플,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웨이모 등의 최신 동향을 살펴볼 수 있는 내용도 함께 수록했다. 이 책은 최신 글로벌 기술 트렌드를 알고자 한다면 반드시 읽어야 하는 필독서다. 세계시장을 선도하는 국내외 글로벌 기업의 혁신 기술을 총 망라해 그 핵심을 정확히 짚어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첨단 기술 트렌드를 알고 싶은 분들에게 이 책을 적극 추천한다.
CES 2022, 21세기 산업의 트렌드를 제시하다!
메타버스에서 인공지능, 자율주행차, 로봇,
NFT, 스페이스 테크까지
전 세계 미래 산업과 기술 혁신을 한눈에 보는
CES 2022의 모든 것
매년 1월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국제전자제품박람회)는 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로, 행사 기간 동안 전 세계 이목이 집중된다. CES는 단순 전시회의 성격을 넘어서는 행사로, 글로벌 기업들의 기술 혁신과 미래 산업의 동력을 점칠 수 있는 중요한 무대라 할 수 있다.
코로나19 여파로 온라인으로 열렸던 2021년 CES 행사가 2022년에는 온오프라인으로 동시에 진행하는 하이브리드 형태로 업그레이드됐다. 1월 5일부터 1월 7일까지 열린 이번 CES 2022 행사에 2,200여 개 기업이 참가해 각각의 기술 혁신과 사업 방향성을 선보였다.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듯, CES 2022는 과거 전자제품 중심의 성격에서 벗어나 최첨단 IT 기술과 인공지능(AI) 기술, 사물인터넷(IoT), 로보틱스, 국내외에서 큰 관심을 끌고 있는 ‘메타버스’와 NFT(대체불가토큰) 기술 등을 선보이는 무대였다. 이와 더불어 헬스케어, 푸드테크, 우주테크 등 과거 CES 무대에서 좀처럼 볼 수 없었던 미래 신기술까지 선보였다. 이러한 현장의 생생한 분위기를 《빅테크 트렌드 CES 2022》로 담아냈다.
파트 1에서는 코로나와 공존하는 기술 패권 시대, 창의적 차별성을 바탕으로 디지털 전환의 필요성과 2022년도에 집중해서 봐야 하는 기술 트렌드를 살펴봤다. 파트 2에서는 CES 2022 현장에서 국내외 글로벌 기업들이 발표하는 기술 혁신과 미래 전략 내용을 취재하고 정리한 내용을 담아냈다. 특히 라스베이거스 현지 전시홀 중심으로 내용을 기술함으로써 같은 산업군 내에 어떤 기업이 어떤 주제로 행사에 참여했는지 비교·검토할 수 있게 했다. 더불어 삼성전자 한종희 부회장, GM의 메리 바라 CEO, 애벗래버러토리스의 로버트 포드 최고경영자 등의 기조연설을 소개하고 미래 산업을 이끌 세계적인 기업들의 인사이트를 발 빠르게 전달한다.
파트 3에서는 실리콘밸리의 대표 기업의 동향과 활동 상황을 전한다. 메타(페이스북), 애플, 구글 엔비디아, 어도비를 비롯해 디즈니, 에어비앤비, 넷플릭스까지, 이들 기업이 메타버스 세계를 선점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자세하게 다룬다. 그리고 우리 사회에도 화두가 되고 있는 인공지능, NFT를 비롯해 자율주행 기술의 현주소, ESG 산업과 탄소포집 기술, ‘대체육’을 키워드로 부상하고 있는 푸드테크 기술의 발전 등도 함께 다룬다. 또한 별도의 지면으로 빅테크 기업인 애플과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테슬라, 구글, 메타, 리비안, 시스코가 그려갈 미래상을 예측한다.
포스텍 교수진이 집필한 파트 4에서는 디스플레이 기술, 메타버스, 헬스케어, 인공지능 등의 기술 발전과 미래 산업의 변화 양상에 대해 다룬다. 교수진의 전문적인 분석과 예측을 통해 독자로 하여금 향후 미래 산업의 발전을 그려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빅테크 트렌드 CES 2022》는 CES 2022 행사 현장을 취재하고 국내외 글로벌 기업들의 기술과 미래 산업의 트렌드를 분석한 책이다. <매일경제> CES 특별취재팀과, 윤성로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 김무환 포스텍 총장과 포스텍 교수진의 공동 집필을 통해 CES 2022 현장의 생생한 모습을 담아냄은 물론, 현재와 미래의 기술 산업 변화 발전 양상을 객관적으로 분석해냄으로써 독자에게 다양한 읽을거리와 생각거리를 동시에 제공한다. 이 책을 통해 21세기 산업의 미래와 전망에 대한 풍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매일경제 CES 특별취재팀(지은이)
<매일경제>는 매년 1월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에 대규모 취재단을 파견해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독자들에게 직접 전달해왔습니다. CES 2022에도 산업부·디지털테크부 기자와 미국 실리콘밸리 특파원을 취재단으로 파견해 미래 테크 트렌드를 분석하고 이것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분석한 기사를 연재했습니다. 또한 현지에서 ‘팬데믹, 그 이후의 세계The World Beyond the Pandemic’라는 주제로 <MK CES 포럼 2022>를 개최했습니다. 이 포럼에서는 최신 기술 트렌드와 코로나 사태 이후 각광받는 생명과학, 모바일로 확장된 경험의 세계에 관한 강연이 이뤄졌습니다. 이 책은 특별취재팀이 발로 뛴 현장의 기록입니다. 윤성로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과 김무환 포스텍 총장을 비롯한 포스텍 교수진도 이 책의 공동 집필에 참여했습니다. 김대영 부국장(산업부장), 이승훈 산업부 차장 신현규 실리콘밸리 지국장 이상덕 실리콘밸리 특파원 원호섭 산업부 기자 나현준 디지털테크부 기자 오찬종 산업부 기자 정유정 산업부 기자 윤성로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 김무환 포스텍 총장(기계공학과 교수) 김종규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교수 노용영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 김욱성 포스텍 전자전기공학부 교수 김철홍 포스텍 IT융합공학과 교수 홍원빈 포스텍 전자전기공학부 교수 김동우 포스텍 컴퓨터공학과 교수 유환조 포스텍 컴퓨터공학과 교수 조민수 포스텍 컴퓨터공학부 교수 서영주 포스텍 컴퓨터공학부 교수

목차
들어가며
팬데믹, 그 이후의 세계
PART 1 새로운 시대의 개막
기술 패권 시대, 주도적인 디지털 전환을 통해 글로벌 ‘핑크펭귄’으로 성장해야 한다! - 윤성로
PART 2 혁신의 현장 CES 2022
1. LVCC 센트럴홀, 전통의 강자들
‘나만의 스크린’ 선보인 삼성전자 | LG, 자율주행 콘셉트카 공개 | 1조 규모 ICT 동맹 결성한 SK | 소니, “우리도 전기차 만든다”
2. LVCC 웨스트홀, 미래 자동차의 격전장
현대자동차의 큰 그림, 메타모빌리티 | GM의 도전, 플랫폼 기업으로의 변신 | BMW, 흔한 콘셉트카는 가라 | 전통의 강호를 위협하는 새로운 브랜드
3. LVCC 노스홀, 유니콘이 숨 쉬는 곳
디지털 헬스케어 | 우주테크 | 스마트시티
4.스타트업의 요람, ‘유레카파크’
화룡점정 ‘한국관’ | 볼만했던 ‘외국 전시관’ | 한산했던 ‘푸드테크’
5. CES서 공개된 메타버스 ‘3社3色’
SK텔레콤, ‘AI 비서가 있는 2개의 삶’ | 롯데정보통신, ‘VR 기기 내 쇼핑·문화 플랫폼’ | 한글과컴퓨터, ‘인간 아닌 아바타 나온다’
PART 3 인사이드 실리콘밸리
1. 메타버스에 뛰어드는 애플, 메타, 구글
2. 웹 3.0의 부상
3. 인공지능을 둘러싼 두 가지 노래
4. NFT 물결이 몰려온다
5. 자율주행차는 어디까지 와 있나
6. ESG 산업에 부는 탄소포집 바람
7. 크리스퍼 가위로 인간을 편집하다
8. 보안 없이 생존이 불가능한 메타버스
9. 푸드테크, 대체육을 넘어 대체 해산물로
10. 소셜미디어의 진화 법칙
11. 실리콘밸리의 룰이 바뀐다
12. 시가총액만 1경 원인 빅테크 5
<빅테크 기업의 미래> 198
애플 애플이 그리는 미래 | 아마존 배송 혁신을 만들어가는 아마존 | 마이크로소프트 협업 소프트웨어에 미래를 걸다 | 엔비디아 종합 컴퓨팅 기업으로 도약하다 | 테슬라 테슬라봇을 만드는 진짜 이유 | 구글 인공지능을 향해 달려가다 | 메타 오너가 중심이 되는 빅테크 기업 | 리비안 테슬라 잡는 2인자의 등장 | 시스코 ‘SW 빅테크’로 도약하다
PART 4 격동하는 미래 산업
1. 디스플레이의 진화,
2. 흑백 TV에서 마이크로 LED까지 - 김종규·노용영
3. 메타버스, 새로운 미래이자 기회 - 김욱성
4. 헬스케어 비즈니스의 성장과 과제 - 김철홍
5. 메타버스의 출현과 무선통신의 미래 - 홍원빈
6. 인공지능이 뒤바꿀 인간의 삶
기계 학습의 현재와 미래 - 김동우 | 정보의 홍수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 유환조 | 컴퓨터의 눈, 비전과 AI - 조민수 | 인류의 삶으로 들어온 AI - 서영주
나오며
창의성이 날개를 다는 사회
정보제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