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8035 | |
005 | 20230317153241 | |
007 | ta | |
008 | 220209s2022 ulka 000c dkor | |
020 | ▼a 9788984412842 ▼g 033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24.2092 ▼2 23 |
085 | ▼a 324.2092 ▼2 DDCK | |
090 | ▼a 324.2092 ▼b 2022z2 | |
100 | 1 | ▼a 이주영, ▼d 1951- ▼0 AUTH(211009)150118 |
245 | 2 0 | ▼a (이주영의) 진심 / ▼d 이주영 글 |
260 | ▼a 서울 : ▼b 동쪽나라, ▼c 2022 | |
300 | ▼a 343 p. : ▼b 삽화(일부천연색) ; ▼c 23 cm | |
600 | 1 4 | ▼a 이주영, ▼d 1951-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4.2092 2022z2 | Accession No. 11185946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4.2092 2022z2 | Accession No. 11186324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어린 시절부터 삶의 역정과 지난 2020년 5월 국회부의장을 끝으로 5선 국회의원을 마감하기까지, 그리고 이후 경남에서 고향 사람들을 만나며 경험하고 느낀 이야기를 제1장부터 제8장까지 담담하게 풀어내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저서는 기본적으로 회고록의 성격을 띠면서 이 전 장관의 경험과 경륜, 지식을 토대로 우리사회가 바람직하게 나아갈 방향에 대한 저자의 생각도 제언 형태로 녹아있어 <이주영의 진심>은 정책 제안서의 성격도 갖고 있다.
이 전 장관은 저서에서 어린 시절부터 삶의 역정과 지난 2020년 5월 국회부의장을 끝으로 5선 국회의원을 마감하기까지, 그리고 이후 경남에서 고향 사람들을 만나며 경험하고 느낀 이야기를 제1장부터 제8장까지 담담하게 풀어내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저서는 기본적으로 회고록의 성격을 띠면서 이 전 장관의 경험과 경륜, 지식을 토대로 우리사회가 바람직하게 나아갈 방향에 대한 저자의 생각도 제언 형태로 녹아있어 <이주영의 진심>은 정책 제안서의 성격도 갖고 있다.
이와 함께 제9장 「이주영의 생각」에서는 최근 경남 지역과 국가적인 주요 현안에 대한 다양한 정책 제안과 정부 정책 비판 등을 담은 언론기고와 회의 발언, SNS 포스팅 등 51개의 글을 담아 정치인으로서 저자의 생각을 알 수 있다.
고교 재학 중 도덕재무장(MRA) 운동과 3선 개헌 반대 학내 농성, 대학 때 서울대 법대 사회법학회와 교지 편집위원 활동 당시의 정치상황과 민주화 운동 등에서는 이 전 장관의 사회문제 인식과 민주주의에 대한 신념, 실천을 엿볼 수 있다.
판사 재직 중 특허심판제도 개혁과 재판 경험 등을 피력하고, 우리사회의 성폭력방지특별법 제정의 기폭제가 된 1992년 ‘김보은 사건’ 항소심 재판부의 일원으로서 당시 상황과 고민을 회고했다.
법복을 벗고 정치에 입문하는 과정과 정치인으로 걸어온 과정에서는 야당의원으로서 대여 저격수, 2007년 이명박 대통령 당선과 정권교체, 여당의원으로서 2012년 박근혜 대통령 당선과 정권재창출 등에서 정책선거를 주도한 저자의 역할을 통해 우리정치의 정치 변곡점과 정치발전을 기술했다.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과의 인연과 아프리카 외교와 2023 제25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 한국유치 등에 얽힌 의원외교, 국회의원 지역구(창원시 마산합포구) 발전을 위한 의정활동 관련 등을 독자들이 읽기 편하도록 이야기 형태로 풀었다.
이외에 어린 시절과 고교·대학 시절, 법관, 정치인을 거쳐 오면서 관계를 맺었던 사람들과의 인연을 이야기 형태로 일부 공개해 독자들의 관심을 끌 것으로 보인다. 그 중 조성철 전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회장, 임지순 포스텍 석학교수,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와 고 황낙주 전 국회의장 등의 이야기에서는 저자의 평소 인간관계를 알 수 있다. 특히 홍준표 의원의 개명에 얽힌 이야기 등 정치권의 에피소드와 비하인드 스토리를 곁들여 재미를 더했다.
경남 마산(현 창원시)에서 태어난 이 전 장관은 저서 제1장에서 부모님과 가족, 고향에 대한 애틋한 마음을 기록하는 것부터 회고를 시작했다. 아버지의 직장 따라 초등학교 6곳을 옮겨 다닌 이 전 장관은 입학부터 2년간 다닌 마산완월초등학교 때의 이야기와 친구를 각별히 떠올렸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이주영(지은이)
〈출생〉 1951년 9월 30일 경상남도 마산시 완월동(現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완월동) 〈학력〉 1970년 경기고등학교 졸업 1974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1981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 석사 2002년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정치학 석사 〈경력〉 1978년 제20회 사법시험 합격(사법연수원 10기) 1980~1989년 서울지방법원 동부지원 판사, 서울가정법원 판사, 서울민사지방법원 판사, 청주지방법원 판사, 서울형사지방법원 판사, 서울지방법원 북부지원 판사 1990년 서울고등법원 판사 1990년~1991년 영국 런던대학교 킹스컬리지 교육파견 1992년~1994년 대법원 재판연구관 1994년 부산지방법원 부장판사 1995년~2000년 이주영 법률사무소 변호사 활동 2000년 5월~2020년 5월 국회의원 5선(제16·17·18·19·20대) 2005년 3월~2006년 6월 경상남도 정무부지사 2006년 7월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최고위원) 2008년 5월한나라당 경남도당 위원장, 제18대 국회 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장 2008년 6월~2012년 5월 국회 미래한국헌법연구회 공동대표, 국회 UN MDGs포럼 공동대표 2010년 국회 사법제도개혁특별위원장 2011년 5월~2012년 2월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최고위원) 2012년 2월~2012년 5월 새누리당 정책위의장(비상대책위원) 2012년 6월~2016년 5월 국회 아동·인구·환경의원연맹 회장, 아시아태평양환경개발의원협의회 회장 2012년 8월~10월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대선기획단장 2013년 5월~2015년 6월 새누리당 여의도연구원장 2013년 9월~2020년 5월 국회아프리카새시대포럼 회장 2014년 2월~2014년 12월 제17대 해양수산부 장관 2015년 5월~2016년 5월 국회 동북아역사왜곡대책특별위원장 2016년 6월~2020년 5월 국회스카우트의원연맹 회장, 세계스카우트의원연맹 부총재 2016년 6월~2018년 6월 제20대 국회 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위원 2016년 12월~2017년 12월 국회 헌법개정특별위원장 2017년 2023 세계스카우트잼버리 한국 유치위원장 2018년 7월~2020년 5월 제20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2020년 5월~법무법인 명재 고문변호사(현) 2020년 7월~ 미래통합당·국민의힘 국책자문위원장(현) 2021년 2월~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총동창회 회장(현) 2021년 6월~ 한국주민자치중앙회 총재(현) 2021년~ 자유와 공정 포럼 공동대표(현)

Table of Contents
〈이주영의 진심〉을 내면서ㆍ4 제1장〈가고파〉 내 고향 1 어머니의 아픈 손가락으로 ㆍ13 2 아버지의 고향은 의령 ㆍ18 3 마산이 일어나면 나라가 바뀐다 ㆍ23 4 초등생 유랑자와 동무들 ㆍ28 5 퍼도퍼도 마르지 않는 샘물 ㆍ33 6 고향의 봄과 아버지, 그리고 김종영 ㆍ37 제2장궁핍으로부터의 자유 1 MRA대회 대회장으로 ㆍ45 2 3선 개헌과 동석회 친구들 ㆍ50 3 나는 공부벌레가 될 수 없었다 ㆍ55 4 궁핍으로부터의 자유 ㆍ60 5 그래서 정치가 필요하다 ㆍ65 제3장나, 이제 고향으로 돌아가리 1 민사는 수학이고, 형사는 철학이다 ㆍ71 2 홍판표와 홍준표ㆍ76 3 참으로 우스운 문재인 정권의 검수완박ㆍ80 4 제발 진관이를 선처해주세요ㆍ85 5 맹장염도 전염된다ㆍ91 6 창원을 국제발명도시로ㆍ94 7 나, 이제 고향으로 돌아가리ㆍ99 제4장불굴의 저격수 1 행복한 낙선 ㆍ107 2 사랑하는 창원시민과 윤숙경 여사 ㆍ113 3 나, 이회창이요 ㆍ119 4 유권자들은 알고 있다 ㆍ123 5 불굴의 저격수 ㆍ128 6 저격수에게 날아온 협박편지 ㆍ133 7 저격수에서 추적자로 ㆍ138 8 사라진 현대전자 1억 달러를 찾아서 ㆍ143 9 좀 살살해줘 ㆍ146 제5장4대강 예산과 쪽지예산 3위 1 행정 첫 경험 경남도 정무부지사 ㆍ153 2 ‘안풍사건’ 무죄 받아내다 ㆍ157 3 강삼재 총장과의 인연 ㆍ162 4 당원들 앞에서 펼치는 대선경선후보 정책토론회 도입 ㆍ164 5 4대강 예산과 쪽지예산 3위 ㆍ167 6 경제민주화·복지 이슈를 선점하다 ㆍ170 7 ‘위대한 소통가’ 레이건 이야기(Great Communicator) ㆍ173 제6장절대로 조국은 안 된다! 1 여의도연구원장으로 ㆍ181 2 팽목항 127일 ㆍ184 3 개헌은 이주영에게 물어라 ㆍ190 4 막중한 국회부의장의 무게를 견디고 ㆍ195 5 다시 국방위의 저격수로 ㆍ198 6 절대로 조국은 안 된다 ㆍ201 제7장대통령 특사로 아프리카에 가다 1 주한 외교사절과 황금돼지 ㆍ207 2 반기문 총장과의 인연 ㆍ211 3 국회, 아프리카 새시대포럼을 열다 ㆍ214 4 대통령 특사로 아프리카에 가다 ㆍ218 5 “네 꿈을 그려라” 세계잼버리 유치 (Draw your Dream) ㆍ221 제8장청년들이 꿈을 펼칠 고향을 만들고 싶다 1 의원 전원 서명한 3·15 의거 국가기념일 ㆍ227 2 마산 ‘핫플레이스’ ㆍ230 3 도민 사랑받는 마산의료원 ㆍ234 4 지역민과 함께 한 공공기관 유치 ㆍ237 5 청년들이 꿈을 펼칠 고향을 만들고 싶다 ㆍ240 제9장이주영의 생각 1 ‘경남 발전 315비전’ 세우고 매진 ㆍ249 2 문 정권 폭주·난동 막는데 앞장 ㆍ263 3 경남 항공산업 날개를 꺾지 마라 ㆍ274 4 정권교체 향한 정책개발 시동 ㆍ283 5 ‘LH 개혁’…초점 흐리지 마라 ㆍ291 6 ‘선거용 말잔치’ 이제 안 통한다 ㆍ304 7 지연된 정의는 정의가 아니다 ㆍ316 8 문재인 대통령의 ‘국가기강 쑥대밭’ ㆍ324 9 ‘농업인의 날’에 생각하는 경남 농업 ㆍ330 이주영 연보 ㆍ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