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8029 | |
005 | 20220216171726 | |
007 | ta | |
008 | 220209s2022 ulkad 000c kor | |
020 | ▼a 9791130314174 ▼g 0334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27.519 ▼2 23 |
085 | ▼a 327.53 ▼2 DDCK | |
090 | ▼a 327.53 ▼b 2022 | |
245 | 0 0 | ▼a 이재명의 외교안보를 읽는다 : ▼b 평화경제와 실용외교를 통한 글로벌 선도국가 / ▼d 정한범 [외] |
260 | ▼a 서울 : ▼b 박영사, ▼c 2022 | |
300 | ▼a 141 p. : ▼b 삽화, 도표 ; ▼c 22 cm | |
500 | ▼a 공저자: 최경준, 박종철, 여현철, 유영민, 최용섭, 한혜진, 최경희 | |
600 | 1 4 | ▼a 이재명, ▼g 李在明, ▼d 1964- |
700 | 1 | ▼a 정한범, ▼e 저 |
700 | 1 | ▼a 최경준, ▼e 저 |
700 | 1 | ▼a 박종철, ▼e 저 |
700 | 1 | ▼a 여현철, ▼e 저 |
700 | 1 | ▼a 유영민, ▼e 저 |
700 | 1 | ▼a 최용섭, ▼e 저 |
700 | 1 | ▼a 한혜진, ▼e 저 |
700 | 1 | ▼a 최경희,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7.53 2022 | Accession No. 11185946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대통령 후보 이재명이 제시하는 외교안보 정책의 청사진. 평화경제와 실용외교를 통한 글로벌 선도국가의 비전을 제시한다. 평화와 실리를 추구하며 신장된 국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선도국가를 꿈꾸는 한 정치지도자의 실용적 정치철학을 조명하고 있다. 대통령 후보 이재명의 외교안보 정책을 크게 글로벌 선도국가, 남북관계, 한미관계, 한중관계, 한일관계, 그랜드아시아 등 총 6개의 큰 주제로 나누어 해당 분야의 8명의 정책 전문가가 이를 체계적으로 설명하였다.
위기의 시대, 한반도의 미래와 융성,
상상력을 갈망하는 시대적 요구에 대한 충실한 답변
한반도는 위기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미중 갈등이 심화하면서 국제환경은 우리에게 보다 많은 분야에서 연대보다는 일방 선택을 강요하고 있으며,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한반도 정세는 평화보다는 군비경쟁의 기운마저 감돌고 있다.
오늘날 이와 같은 한반도 위기의 시대는 다른 한편으로 기회를 품고 있는 시대이기도 하다.
이러한 대전환의 시기에 미래를 선택하고 결정해야 하는 시점에 있어 중요한 정치지도자들의 외교안보정책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국민이 주인인 민주주의 국가에서 누가 한반도를 평화와 공동번영의 길로 이끌지 판단할 책임은 오롯이 국민의 몫이기 때문이다.
특히 안보의 위기가 일상적인 나라에서는 더욱 그렇다. 그들의 외교관과 안보관을 이해하는 것은 앞으로 펼쳐질 대한민국의 미래를 예측하고 이해하는 바탕이 될 것이다.
이재명이 제시하는 외교안보 정책의 청사진
이 책은 대통령 후보 이재명의 외교안보정책을 체계적이면서도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고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다. 국민들은 이를 통해 정치지도자로서 그의 역량을 판단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위기의 시대 한반도 미래의 융성과 상상력을 갈망하는 시대적 요구에 대한 정치인 이재명의 충실한 답변이라 할 수 있다.
책에서는 이재명의 외교안보 정책을 총 6개의 큰 주제로 나누어 해당 분야의 8명의 정책 전문가가 이를 체계적으로 설명하였다.
먼저 총론에서는 안보에 관한 서술과 함께 평화와 경제의 선순환으로의 평화경제, 한반도를 둘러싼 위협 요소,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에 관한 일반적 서술을, 글로벌 선도국가론에서는 이 책에서 일관되게 설파하고 있는 글로벌 선도국가의 개념과 전략을 설명하면서,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각론이라고 할 수 있는 남북관계에 있어서는 평화에 대한 확고한 신념과 추진력 있는 리더십을 통해 남북평화공동체가 한반도의 번영과 희망으로 가는 나침반으로서 그 기능을 담당할 것임을, 한미관계는 한미동맹 운용의 자율성이 증대된 환경에서 튼튼한 군사동맹을 바탕으로 한반도의 안보상황의 안정적인 관리를 통해 호혜적인 한미관계를 구현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한중관계에서는 상호협력의 공간을 확장하면서 주도적인 한중관계의 설정을, 한일관계에서는 위안부합의와 강제징용 배상 문제 등을 비롯한 한일관계의 딜레마를 극복하고 우리의 국익을 중심으로 투트랙 접근법을 통해 양국 간 협력 지평을 확대하여 공정하고 호혜적인 한일관계를 모색하는 실용적인 외교론을 요구하고 있다. 그랜드아시아론에서는 21세기 ‘부상하는 아시아 시대’에 걸맞는 ‘그랜드아시아’를 탄생시키기 위한 한국 정부의 외교 전략이 절실히 필요함을 피력하였다.
안보는 이념의 문제가 아니며, 국민의 안위에 관한 문제로 오직 국민과 국가만을 생각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현재 한반도의 외교안보적 상황을 조명하면서, 현재의 동아시아 정세에서 한반도를 평화와 공동번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다른 무엇보다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가 필요하다고 일관되게 설파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박종철(지은이)
경상국립대학교 일반사회교육학과 교수. 북경대학교 한반도연구센터 객좌연구원, 경기도 평화정책자문위원회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국제관계, 북한연구 등을 연구하고 있으며, “Will Xi Jinping give up Sino-North Korean alliance?”, ‘이재명론’,‘정치학: 인간과 사회, 그리고 정치’, ‘공정한 국제질서와 한반도의 지속가능한 평화’ 외 다수의 학술 논문 및 저서를 출간했다
최경준(지은이)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미국 워싱턴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정치학 박사 2020, “핀란드와 에스토니아의 중간국 외교: 국가 정체성과 안보·경제 정책.” 『유럽연구』 2019, “Democratic Constitutions Against Democratization: Law and Administrative Reforms in Weimar Germany and Implications for New Democracies.”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2018, 『법집행의 정치: 신생민주주의 국가의 법집행과 공권력의 변화』 (서울: 도서출판 이조)
여현철(지은이)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교수.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동 대학원을 졸업하여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연구 분야는 남북관계, 통일교육이며, 한반도평화체제, 분단극복을 위한 실현 가능한 요건 등에 대한 연구논문들을 발표해 오고 있다. 현재 국민대학교 통일교육사업단 단장, 국민대학교 한반도미래연구원 부원장직을 수행하고 있으며, 한국정치학회 연구이사, 한국세계지역학회 총무이사, 통일부 지정 서울통일교육센터 사무처장직을 수행하는 등 이론과 실천적인 분야에서 활동 중이다.
최경희(지은이)
현재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분야는 인도네시아 정치 및 경제연구, 한국기업의 동남아진출 연구, 아세안공동체 연구, 한국과 인도네시아 관계 연구, 한국과 아세안 관계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지역’으로서의 ‘동아시아’: 메가아시아적 접근의 함의” (공저), “지정학적 중간국 인도네시아 외교전략: 세 번의 지정학적 단층대 충돌과 전략”, “신남방정책의 이민정책적 고찰: 아세안을 중심으로” 등이 있으며, 『2021동아시아전략평가』 (공저), 『한류, 다음(이슬람 문화권편)』 (공저), 『아시아의 정치: 정치체제와 지역성』 (공저) 등이 있다.
정한범(지은이)
국방대학교 교수로 재직중이다. 현재 한국국방우주학회 회장, 국가우주위원회 안보우주개발실무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등을 맡고 있으며, 한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 한국정치학회 총무이사, 국방부 민관군위원회 위원, 국가안보실 정책자문위원, 육군발전자문위원, 국방대학교 국방정책센터장 등을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동아시아 전략평가,’ ‘국가안보론,’ ‘국제정치학: 인간과 세계’ 등이 있다. University of Kentucky에서 정치학 박사, 고려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유영민(지은이)
미래안보포럼 회원. 정치학 박사. 현재 미국 대외정책, 동북아 정세, 한미 관계, 북미 관계 등을 중심으로 연구 및 교육 활동을 하고 있다. Asian Survey, Journal of American Studies,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Journal of Research Methodology,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Korean Journal of Area Studies 등 다수의 학술지에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최용섭(지은이)
선문대학교 국제관계학과 조교수. 영국 워릭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 국제대학원, 서강대, 중앙대, 숭실대 강사를 거쳐 현재 선문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동아시아 국제관계, 남북관계, 북한정치경제, 그람시이론 등을 중심으로 연구 및 교육 활동을 하고 있다.
한혜진(지은이)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객원연구원. 동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에서 <일본의 對ASEAN 원조외교정책의 변화와 특징>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의 기후변화 정책과 환경외교, 북일관계, 일본 SGI의 평화운동 등 일본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Table of Contents
총론-평화경제와 실용외교를 통한 글로벌 선도국가 1. 평화와 안보 국가의 기원 안전의 보장 기본권으로서의 안보, ‘기본안보’ 포괄안보 인간안보 예방안보 평화외교 평화와 경제의 선순환 2.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 한반도의 위협 요소들 평화체제와 신뢰의 문제 한반도 안보불안은 구조적 문제 북한의 안보불안과 핵문제의 본질 비핵화와 체제보장의 교환 종전선언과 군비통제 이재명의 평화경제공동체 한국주도의 동맹 3. 이재명의 국익중심의 균형적 실용외교 글로벌 선도국가Ⅰ-비전과 전략 국제질서의 변환과 한국 한국 외교의 전략과 비전 글로벌 선도국가 개념과 전략 글로벌 선도국가Ⅱ-국익 중심의 실용외교 먹고 사는 문제, 죽고 사는 문제 글로벌 선도국가로의 위상과 품격 미중 전략경쟁과 각자도생의 국익 경쟁 지정학 시대의 부활과 주변지역 위기에 대한 연루의 딜레마 글로벌 선도국가의 국익 중심 실용외교 남북관계-남북한 평화협력공동체 달성과 실용적 접근을 통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추구 남북한 평화협력공동체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전제 조건 북한 핵실험에 따른 유엔 안보리 결의안의 효용성에 대한 제고 한반도평화경제시대란 무엇인가? 남북평화공동체 달성과 한반도평화경제시대, 그리고 글로벌 선도국가로의 도약 시민사회, 국제사회와의 트라이앵글 접근법을 통한 대북정책의 행위자 확대 한미관계-튼튼한 군사동맹을 토대로 호혜적인 한미관계 구현 한반도 안보상황의 안정적 관리 및 한미동맹 운용의 자율성 증대 상호 신뢰와 존중을 토대로 호혜적인 한미 간 협력 확대 한중관계-한중 간 상호협력의 공간 확장 및 주도적 한중 관계 추구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한 중국의 역할 의문 시진핑 시대 중국의 정치경제 한중 간 상호협력의 공간 확장 및 주도적 한중 관계의 추구 한일관계-한일관계 재구축을 위한 새로운 외교적 도전 한일 관계의 딜레마 : 위안부합의와 강제징용 배상 문제 한일 공동 여론조사 : 한일 관계의 위기와 가능성 일본의 보수우경화와 투트랙 실용 외교 미래지향적 공공외교와 한류 그랜드아시아(Grand Asia)-아세안 지역전략, 약속이행과 비전의 확대 글로벌 위기시대, 글로벌 선도국가 한국 그리고 한국과 아세안 관계 신남방정책과 그 정책의 지속성에 대한 약속 P4G 서울선언문과 결합한 신남방정책 2.0 한-아세안관계 그리고 그랜드아시아 연계전략 신남방정책 2.0과 아시아연계전략 실현을 위한 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