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7591 | |
005 | 20220216105751 | |
007 | ta | |
008 | 220204s2021 hckad b 000c kor | |
020 | ▼a 9791196466664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5915054 | |
040 | ▼d 242002 ▼a 242002 ▼c 242002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2 | 0 4 | ▼a 616.89156 ▼2 23 |
085 | ▼a 616.89156 ▼2 DDCK | |
090 | ▼a 616.89156 ▼b 2021z9 | |
100 | 1 | ▼a 이상미 |
245 | 1 0 | ▼a 분열 no! 분화 yes! : ▼b 가족, 분열이 아닌 분화로 / ▼d 이상미 지음 |
260 | ▼a 천안 : ▼b 생명숲, ▼c 2021 | |
300 | ▼a 427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412-424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156 2021z9 | 등록번호 11185913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Ⅰ. 서론 A. 연구목적과 중요성 B. 연구방법과 범위 C. 연구사 Ⅱ. 분화의 개념에 대한 이해 A. Murray Bowen의 자기분화 B. Magaret S. Mahler의 대상분화 C. Heinz Kohut의 삶의 가치와 목표분화 Ⅲ. 미분화된 역기능적 부모 양육 태도 A. 가족원의 미분화 B. 정체성 혼란 C. 자기발달의 정지 Ⅳ. 연구 방법 A. 연구설계 B. 연구대상 C. 측정도구 Ⅴ. 연구 결과 A. 양적 분석 B. 질적 분석 C. 가족 사례분석 Ⅵ. 치료적 자기분화 A. 탈삼각화 B. 대상 활용 능력 C. 공감과 반영 Ⅶ. 결론 A. 요약 B. 제언 참고 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