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7495 | |
005 | 20220204114807 | |
007 | ta | |
008 | 220203s2021 ulkad b 000c kor | |
020 | ▼a 9791129020314 ▼g 93320 | |
035 | ▼a (KERIS)BIB000015828207 | |
040 | ▼a 247009 ▼c 247009 ▼d 211009 | |
082 | 0 4 | ▼a 332.178 ▼2 23 |
085 | ▼a 332.178 ▼2 DDCK | |
090 | ▼a 332.178 ▼b 2021z4 | |
100 | 1 | ▼a 김종현 |
245 | 1 0 | ▼a 블록체인이 세상을 바꾼다 : ▼b 4차산업혁명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자산혁신 / ▼d 김종현 지음 |
260 | ▼a 서울 : ▼b Jinhan M&B, ▼c 2021 | |
300 | ▼a 360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 p. 350-354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32.178 2021z4 | 등록번호 1212589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블록체인 비즈니스 설계자와 기술입문자의 요구를 동시에 충족시키는 입문서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1~3장은 주로 금융분야, 4~5장은 비금융분야의 적용에 대한 기술전망을 기술하였고, 6장은 블록체인 기술입문자를 위한 기술 자체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했다.
이 책은 블록체인 비즈니스 설계자와 기술입문자의 요구를 동시에 충족시키는 입문서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1~3장은 주로 금융분야, 4~5장은 비금융분야의 적용에 대한 기술전망을 기술하였고, 6장은 블록체인 기술입문자를 위한 기술 자체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된다. 한국이 세계 10위권 경제규모로 성장했지만, 내수시장 규모는 각 산업에서 세계 시장의 1~2%에 불과하다. 한때 전 세계 시장의 20%를 차지했던 가상자산 거래는 우리나라의 뜨거운 열기를 통해 미래를 밝혀줄 것으로 기대한다. 우리의 역량을 블록체인에 집중한다면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자산 생태계를 선도하는 한국의 위상을 회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종현(지은이)
국내 금융권 최초의 정보보호 분야 전임 임원으로 국민은행의 CISO(정보보호 최고책임자)로 보안업무를 총괄하던 2015년부터 블록체인을 비즈니스에 도입하기 위한 노력을 하였다. 첫 직장인 삼성SDS에서 국내 최초로 외환거래 정보를 수집하는 한국은행 외환전산망(2000)을 구축하였다. 국내 100여개 금융회사의 외환거래정보를 연결하고, 외환보유고를 산정하는 이 사업이야말로 블록체인기술로 구축해야할 시스템이었다. 삼성전자 유럽법인 전자상거래 시스템 구축(2002) 수행 후 IBM, 부즈알랜해밀턴, 언스트앤영과 같은 글로벌 회사에서 금융권 차세대 시스템, 리스크관리시스템 관련 경험을 쌓았다. 아주대에서 블록체인 관련 강의와 연구활동을 했고, 과기정통부 블록체인 PM을 수행하며 블록체인 전략과 R&D 사업기획을 통해 대규모(1133억원) 블록체인 예타사업을 통과시켰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제도발전전문위원과 금융위원회 금융발전심의회 위원을 지냈고, 금융위원회 규제혁신 심사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현재는 가상화폐 없는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을 운영하는 인프라블록체인홀딩스 대표를 맡고 있다.

목차
I. 가상화폐는 화폐인가? 투자수단인가? II. 인증인프라 기술 분산증명(DID)과 자기주권신원(SSI) III. 탈중앙화 금융 디파이(DeFi) 현황과 미래전망 IV. 응용서비스와 규제관점에서 본 블록체인 혁신 V. 인프라 기술 관점에서 본 블록체인 이슈 VI. 블록체인 기술 따라잡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