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가족도 치료가 필요한가요? : 상처받은 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가족 심리 테라피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유숙
서명 / 저자사항
가족도 치료가 필요한가요? : 상처받은 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가족 심리 테라피 / 김유숙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지식프레임,   2021  
형태사항
263 p. ; 22 cm
기타표제
35년 가족 전문 상담사 김유숙 박사의 가족 치유 이야기
ISBN
9788994655970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07442
005 20220215161742
007 ta
008 220203s2021 ulk 000c kor
020 ▼a 9788994655970 ▼g 03180
035 ▼a (KERIS)BIB000015873118
040 ▼a 211063 ▼c 211063 ▼d 211009
082 0 4 ▼a 616.89156 ▼2 23
085 ▼a 616.89156 ▼2 DDCK
090 ▼a 616.89156 ▼b 2021z8
100 1 ▼a 김유숙
245 1 0 ▼a 가족도 치료가 필요한가요? : ▼b 상처받은 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가족 심리 테라피 / ▼d 김유숙 지음
246 1 3 ▼a 35년 가족 전문 상담사 김유숙 박사의 가족 치유 이야기
260 ▼a 서울 : ▼b 지식프레임, ▼c 2021
300 ▼a 263 p. ; ▼c 22 cm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6.89156 2021z8 등록번호 1118590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실패나 위기를 경험하지 않는 가족은 거의 없다. 그리고 대부분의 가족은 그 위기를 맞았을 때 자연스럽게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는 극복 능력을 발휘한다. 마치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몸에 들어오거나 외부의 물리적인 위험에 처하면 신체가 무의식적으로 방어 기제를 사용하는 것과 같다. 그러나 상담실을 방문하는 가족들은 스스로의 치유력을 상실한 상태다. 이들은 어떤 한 가지 해결 방법에 지나치게 집착하거나 문제 자체를 외면해 버리기도 한다.

35년간 가족 상담을 통해 다양한 위기의 가족들을 만나온 김유숙 박사는 이 책을 통해 무너진 관계가 회복되는 가족들의 이야기를 전한다. 가족은 서로 상처를 주고받으며 아픔을 공유하기도 하지만 서로를 용서하고 감싸주는 관계이기도 하다. 가족 안에서 사랑보다 상처를 주고받고 있다면 이 책의 다양한 사례를 통해 가족 관계의 회복으로 가는 새로운 깨달음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가족도 성장통을 앓는다
남녀가 만나 결혼을 하면 부부가 되고, 자녀를 낳아 부모가 되면서 다양한 가족 주기를 경험한다. 신혼의 부부는 그 누구보다 친밀한 관계여야 하지만 가사 분담 등의 생활 문제와 소통의 부재로 어려움을 겪기도 하고, 고부간의 관계에 발목을 잡히기도 한다. 자녀를 낳은 이후에는 양육의 짐을 나누는 문제로, 자녀가 성장한 이후에는 청소년기 자녀와의 갈등으로 상처를 주고받는다. 자녀가 장성하여 독립하는 황혼기에는 노화와 죽음이라는 상실의 고통이 기다리고 있다.
이렇듯 가족은 다양한 성장 주기를 경험하면서 의도치 않은 여러 문제와 위기를 맞이한다. 이 책의 PART1~2에서는 문제와 위기라는 적자를 기록하는 가족 가계부를 적나라하게 살펴본다. 그리고 그 또한 가족이 성장하는 데 필요한 성장통임을 기억할 때 우리는 새로운 가족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음을 깨닫게 된다.

다양한 문제를 가진 나와 우리 가족의 이야기

우리 사회에는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있다. 부부의 이혼과 사별, 재혼으로 인해 한부모 가족, 혹은 재결합 가족이 되기도 하고, 국제결혼을 통해 다문화 가족이 되기도 한다. 경제적인 어려움이나 가정 폭력 등으로 가족이 해체되기도 하고, 가족 중 누군가의 질병과 장애로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지금의 가족이 이전의 가족에서 변화된 것처럼, 앞으로도 가족의 형태는 계속 변화할 것이다.
이 책의 PART3에서는 가족이 가진 다양한 얼굴을 마주하며 위기 상황이 닥쳤을 때 그 상황을 어떻게 헤쳐나가야 하는지를 안내한다. 가족의 문제는 외면하고 싶다고 해서 쉽게 외면되지 않는다. 저자는 이를 각각 다른 모양을 가지고 있지만 끝이 이어져 작은 움직임에도 쉽게 흔들리는 모빌처럼 서로 연결된 가족의 특성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내가 겪는 어려움이 나만의 문제가 아닌 우리 가족 모두의 문제임을 알고 나면 그 문제에서 한 걸음 떨어져 조금 더 객관적으로 생각해보는 여유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가족이기에 더 필요한 올바른 사과의 기술

가족이기 때문에 예의를 지키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누구보다도 예의를 지켜야 하는 관계가 바로 가족이다. 마음이 편해지면 긴장이 풀어지듯 사람은 다른 어느 곳보다 가정에서 실수할 가능성이 크고, 사과를 해야만 하는 상황이 전개될 개연성도 높다. 서로의 모든 것을 너무도 잘 알기에 쉽게 상처를 주고받는다. 하지만 아무리 상처로 얼룩지고 무너진 가족이라 하더라도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상대에게 준 상처를 반성하며 사과를 시작한다면 다시 회복될 수 있다. 이렇듯 ‘사과하고 용서하는’ 경험은 가족을 성숙하게 만든다.
사실 가족이기 때문에 제대로 사과하기가 더 쉽지 않다. 가족끼리의 문제는 어떻게든 해결되었다는 지금까지의 경험이 제대로 된 사과를 가로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 책의 PART4~5에서 저자는 무너진 가족을 일으켜 세우는 데에는 올바른 사과만큼 좋은 방법이 없음을 역설하며, 상대의 마음을 어루만지는 올바른 사과의 기술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가족끼리의 의사소통에서 말로 드러나지 않는 비언어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과 함께 상대와 지혜롭게 싸우는 방법에 대해서도 안내한다. 가족에게 사과할 마음이 없어서가 아니라 늘 그 자리에 있을 것 같아서 사과할 시간을 놓치는 것뿐이라는 저자의 메시지는 무너진 가족의 회복을 꿈꾸는 독자들의 마음에 깊은 울림을 줄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유숙(지은이)

1987년 도쿄 대학교 의학부 정신건강교실 임상심리전공(보건학 박사) 현 서울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명예교수 한스카운셀링센터 책임슈퍼바이저 [저서] 가족상담(4판, 학지사, 2022), 가족도 치료가 필요한가요?(지식프레임, 2021), 가족평가(공저, 학지사, 2017), 놀이를 활용한 이야기치료(공저, 학지사, 2013) 외 다수 [역서] 카산드라 증후군(공역, 학지사, 2023), 가족치료의 기술(3판, 공역, 학지사, 2021), 애착 이야기치료(공역, 학지사, 2021), 가족놀이치료(공역, 학지사, 2015), 존엄치료(학지사, 2011) 외 다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프롤로그

Part 1. 가족이라는 만화경
어느 가족이나 위기는 있다
개인으로서의 나, 가족원으로서의 우리
자유로울 수 없는 원가족의 굴레
적자만 내는 가족 출납부
부부, 그들만의 춤
부모와 자녀, 사랑과 훈육 사이
형제란 다 그런 거 아닌가요?

Part 2. 함께 앓는 가족 성장통
신혼, 친밀감은 저절로 쌓이지 않는다
자녀의 탄생, 함께 나눠야 할 양육
사춘기 자녀, 내 아이가 변했다
노년과 죽음, 황혼을 위한 준비

Part 3. 가족의 다양한 얼굴
가정 폭력도 중독이다
독이 되는 부모, 득이 되는 부모
외도와 사랑의 차이
경제 문제로 인한 가족의 해체
장애인 가족의 진짜 어려움
며느리는 힘들어
나쁜 부모, 나쁜 자녀는 없다
가족과의 이별, 제대로 애도하기
시간과 인내가 필요한 재결합 가족
정체성의 혼란, 다문화 가족

Part 4. 가족이지만 사과는 필요해
가족이라서 더 어려운 사과
나와 먼저 화해하라
반드시 실패하는 사과
상대의 마음을 어루만지는 사과
갈등을 푸는 사과의 힘

Part 5. 건강한 관계를 만드는 의사소통하기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주목하라
관계를 훼손하지 않는 세련된 싸움
더 늦기 전에 손 내밀기

에필로그 - 이상적인 가족은 현실에 없다

관련분야 신착자료

대한폐고혈압학회 (2023)
혈관영상생리연구회 (2023)
정진호 (2023)
이순섭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