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7415 | |
005 | 20220215135914 | |
007 | ta | |
008 | 220203s2021 ulk 000c kor | |
020 | ▼a 9791189943707 ▼g 04800 | |
020 | 1 | ▼a 9791189943691 (Set) |
035 | ▼a (KERIS)BIB000015999234 | |
040 | ▼a 211063 ▼c 211063 ▼d 211009 | |
082 | 0 4 | ▼a 495.75 ▼2 23 |
085 | ▼a 497.5 ▼2 DDCK | |
090 | ▼a 497.5 ▼b 2021z4 | |
100 | 1 | ▼a 남영신, ▼g 南永信, ▼d 1948- ▼0 AUTH(211009)12930 |
245 | 2 0 | ▼a (문장을 품격있게) 시로 국어 공부 : ▼b 문법편 / ▼d 남영신 지음 |
260 | ▼a 서울 : ▼b 마리북스, ▼c 2021 | |
300 | ▼a 179 p. ; ▼c 21 cm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5 2021z4 | 등록번호 11185905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시인은 자신이 품고 있는 시상을 표현하기 위해 국어사전에 들어 있는 수많은 단어 중에서 가장 적절한 시어를 선택한다. 그런데 이들을 어떻게 엮어서 하나의 완성된 생각을 만들어 냈을까. 다른 말로 하면 시인이 어떻게 이들 단어들을 서로 협력하고 연대하여 자신의 시상을 품어 내도록 만들었을까. 거기에 쓰인 것이 바로 문법이라고 불리는 원리이다. 문법은 단어를 엮어 의미를 만들어내는 규칙인 것이다.
저자는 지난 1년여 동안 ‘시’를 이루고 있는 ‘우리말’의 원리를 하나하나 풀어가며 원고를 수정하는 과정을 몇 번이고 반복했다. 이 책은 그 첫 번째 편이다. <시로 국어 공부>는 총 3권으로 구성이 된다. 제1권은 ‘문법’편으로, 문법의 기본 개념을 개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형태소, 단어, 구, 절, 품사, 문장 성분, 문장 종류 등을 설명한다. 제2권은 ‘조사·어미’편으로, 문법의 가장 기본인 조사와 어미의 종류, 기능 등을 설명하고 개별 조사와 어미의 사용법을 제시한다. 제3권은 ‘표현’편으로, 유익한 단어나 시인들이 많이 사용해 주기를 바라는 단어, 국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문법적 관용구, 시에 많이 쓰이는 수사법 등을 싣는다. 이 모두 시를 감상하면서 차근차근 공부할 수 있도록 했다.
시로 국어 공부하기, 그 첫 번째
아름다운 시를 통해 국어의 기본을 다시 공부해 보자!
시를 무척이나 사랑하는, 아니 시보다 더 우리말을 끔찍이도 사랑하고 아끼는
국어학자 남영신의 새로운 국어 운동의 시작
“시 감상과 국어 공부를 동시에 해보자는 생각이
참신한 발상으로 평가받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합니다”
정호승·안도현 시인 추천
평생 우리 말글 바르게 쓰기 운동을 펼쳐온 국어학자 남영신의
새로운 국어운동의 시작, 시로 국어 공부하기
우리 말글은 많은 분들의 노력으로 지켜지고 이어진다. 여기, 평생 우리 말글 바르게 쓰기 운동을 펼쳐온 국어학자가 있다. 토박이말을 국어사전에 올리는 데 기여한 《우리말 분류 사전》, 《우리말 용례 사전》, 《보리 국어 사전》을 쓴 남영신이다. 그가 우리 말글 바로 쓰기 운동을 위한 새로운 국어 운동을 시작했다. ‘시로 국어 공부하기’이다. 시는 우리말을 가장 아름답고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언어로 가히 우리말의 정수라 할 만하다. ‘한국의 근현대사를 장식하는 시인들의 대표적인 시를 통해 국어의 기본을 다시 공부해보자!’ 그 발상이 참으로 기발하고 대담하다. 어떤 이는 시는 시로 봐야지 왜 공부의 대상으로 보는지 불편해할지도 모른다. 그에게 시는 무엇일까?
“나에게 시는 아름다움보다는 외로움이나 슬픔에 더 가까웠습니다. 그래서인지 몰라도 내게 시는 한편의 잘 짜인 각본이어야 했고, 빈틈없이 펼쳐지는 파노라마여야 했습니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흠이나 어긋남이 있다고 생각하면 괴로워하지 않고는 배기지 못한 것 같습니다. 나는 왜 그런 시 읽기에 천착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것은 나의 성향이라고 치부하고 말 사소함에 지나지 않은 것이었습니다만, 그 사소함이 속병처럼 오래 지속되다 보니 그것이 놀랍게도 반짝이는 빛을 내뿜는 것이 보였습니다. 이 책은 그 깨달음의 결과물인 셈입니다.”
심미적인 감상이 아닌 문법적인 감상으로서의 시 읽기
시인들은 어떻게 단어들을 협력하고 연대해서 자신의 시상을 품어 내게 만들었을까
그는 말한다. 시의 멋진 표현과 아름다움에 사로잡히고, 시를 내 삶에 비추어 의미를 찾는 것은 우리에게 익숙한 심미적인 시 감상이다. 그가 말하는 문법적인 감상이란 무엇일까?
“시를 심미적으로 감상하는 것을 넘어서 문법적으로 감상하려는 것은 바로 피겨스케이팅에서 기본 동작의 정확성과 화려한 기술의 예술성을 함께 보는 태도와 다르지 않다. 문학 작품 중에서 시는 특별히 띄어쓰기나 맞춤법에 어긋나는 표현, 비문법적인 문장이 허용되는 장르이다. 그러나 비문법적인 문장으로 위대한 문장을 쓸 수 없듯이 비문법적인 문장으로 아름다운 시를 쓸 수 없다. 이것은 피겨스케이팅 선수가 도약, 착지, 스핀 등 기본 동작의 원리를 제대로 알아야 세련되고 우아한 기술을 선보일 수 있는 논리와 같다. 또한 이것이 시를 심미적으로 감상하는 것을 넘어서 문법적으로 감상하려는 이유이다.”
시인은 자신이 품고 있는 시상을 표현하기 위해 국어사전에 들어 있는 수많은 단어 중에서 가장 적절한 시어를 선택한다. 그런데 이들을 어떻게 엮어서 하나의 완성된 생각을 만들어 냈을까. 다른 말로 하면 시인이 어떻게 이들 단어들을 서로 협력하고 연대하여 자신의 시상을 품어 내도록 만들었을까. 거기에 쓰인 것이 바로 문법이라고 불리는 원리이다. 문법은 단어를 엮어 의미를 만들어내는 규칙인 것이다.
총 3권으로 구성되는 시로 국어 공부하기, 그 첫 번째 문법 개괄편
시를 통해 국어 공부를 한다면 문법 공부의 딱딱함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지난 1년여 동안 ‘시’를 이루고 있는 ‘우리말’의 원리를 하나하나 풀어가며 원고를 수정하는 과정을 몇 번이고 반복했다. 이 책은 그 첫 번째 편이다. <시로 국어 공부>는 총 3권으로 구성이 된다. 제1권은 ‘문법’편으로, 문법의 기본 개념을 개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형태소, 단어, 구, 절, 품사, 문장 성분, 문장 종류 등을 설명한다. 제2권은 ‘조사·어미’편으로, 문법의 가장 기본인 조사와 어미의 종류, 기능 등을 설명하고 개별 조사와 어미의 사용법을 제시한다. 제3권은 ‘표현’편으로, 유익한 단어나 시인들이 많이 사용해 주기를 바라는 단어, 국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문법적 관용구, 시에 많이 쓰이는 수사법 등을 싣는다. 이 모두 시를 감상하면서 차근차근 공부할 수 있도록 했다.
시를 쓰는 사람이 아닌 우리가 구태여 문법을 배워야 하는 이유, 그 첫째는 언어의 기본 원리를 터득해 정확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이다. 좀 더 수준 높은 언어생활을 하기 위해 문법을 배우고 익혀야 한다는 이야기이다. 둘째는 수준 높은 글쓰기 능력을 익히기 위해서이다. 문법을 알면 새로운 단어를 활용해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뜻을 한없이 표현해 낼 수 있다. 문법을 알면 다음은 어휘력을 익히면 된다. 하지만 한국어는 여느 언어보다 문법이 까다로워 공부하기가 만만치 않다. 시를 통해 문법을 배운다면 문법 공부의 딱딱함이나 고루함에서 조금은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아름다운 시를 통해 다시 시작하는 국어 공부!
한국 근현대사를 대표하는 시 감상, 그 속에 숨어 있는 우리말의 원리를 찾아보는 재미
<시로 국어 공부>의 시작, ‘문법’편에서는 문법 공부의 시작인 단어와 품사에서 문장의 형식과 성분, 겹문장, 문법 뛰어넘기인 파격까지 다루고 있다. 자, 그럼 잘 알려진 시 한 수를 감상하면서 품사를 공부해 보자.
청노루
박목월
머언 산 청운사(靑雲寺)
낡은 기와집,
산은 자하산(紫霞山)
봄눈 녹으면,
느릅나무
속잎 피어 가는 열두 굽이를
청노루
맑은 눈에
도는 구름.
위의 시에서는 19개의 단어가 쓰였다. 이 시에 쓰인 19개의 단어로 품사의 기본을 아래 예시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체언: 명사는 ‘청노루(청+노루), 산, 청운사(청운+사), 기와집(기와+집), 자하산(지하+산), 봄눈(봄+눈), 느릅나무(느릅+나무), 속잎(속+앞), 굽이, 눈, 구름)’이다. 괄호 안은 형태소를 분석한 것이다.
용언: 동사와 형용사가 있다. 동사는 ‘녹으면(녹+으면), 피어(피+어), 가는(가+는), 도는(돌+는), 형용사는 ‘머언(멀+ㄴ), 낡은(낡+은), 맑은(맑+은)’이다. ‘머언’은 형용사 ‘멀다’의 활용형 ‘먼’을 긴소리로 표기한 것이며, 괄호 안은 형태소를 분석한 것이다.
이상화 시인의 <시인에게>, 신달자 시인의 <나뭇잎 하나>, 박목월 시인의 <청노루>, 조지훈 시인의 <낙화>, 박두진 시인의 <꽃>, 윤동주 시인의 <무서운 시간>, 류시화 시인의 <눈물>, 한용운 시인의 <알 수 없어요>, 김수영 시인의 <밤>, 김소월 시인의 <오시는 눈>, 박경리 시인의 <그리움>, 나희덕 시인의 <산속에서>…. 한국 근현대사를 대표하는 시인들의 대표 시를 감상하면서 그 속에 숨어 있는 우리말의 비밀을 찾는 작업은 곧 국어의 기본을 다시 공부하는 시간이 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남영신(지은이)
평생을 바른 우리 말글 쓰기를 위해 앞장서서 일해 왔다. 토박이말에 어떤 말이 있는지 궁금해서 국어사전을 찾아보았는데 토박이말을 찾기는 마치 쌀에서 뉘를 찾는 것과 같았다. ‘돌살’, ‘마상이’, ‘추임새’같이 우리 문화와 관련된 말은 없는데, 대부분 한자어인 데다가 일본인 이름과 일본 지명이 길게 풀이되어 있었다. 우리말을 살려야겠다는 생각에 토박이말을 모아 사람들이 찾아 쓰기 쉽도록 분류하여 1987년 《우리말 분류 사전》을 펴냈다. 이 사전은 그 뒤에 토박이말이 모든 국어사전에 오르게 된 바탕이 되었다. 그러고 나서 많은 사람들이 막연하게 낱말을 이해하고 씀으로써 말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 서로 다르게 받아들이는 점에 눈을 돌렸다. ‘낱말 뜻을 정확하게 알고, 상황에 가장 알맞은 말을 골라, 낱말 표기를 정확하게 하고 국어 문법에 맞게 쓰자.’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삼아 공무원과 기자 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하고 한 달에 한 번 시민들과 함께 우리말 바로쓰기 공부를 계속해 오고 있다. 《우리말 분류 사전》(1987) 《우리말 용례 사전》(1995) 《ᄒᆞᆫ+국어 대사전》(2008) 같은 사전들을 엮었고, 《안 써서 사라져가는 아름다운 우리말》(2001) 《나의 한국어 바로쓰기 노트》(2002) 《국어 한무릎공부》(2005) 《기자를 위한 신문 언어 길잡이》(2014) 《글쓰기는 주제다》(2014) 《보리 국어 바로쓰기 사전》(2017) 같은 책들을 썼다.

목차
ㆍ머리말 ㆍ〈문법편〉 들어가기 1장 문법적으로 시 읽기 심미적 감상과 문법적 감상 〈작은 연가〉 박정만 ㆍ 〈나는 늘 기다린다〉 유안진 ㆍ 〈나뭇잎 하나〉 신달자 문법적 감상이 필요한 이유 〈봄비〉 장인성 °문장의 뼈대를 세우는 조사 〈시인에게〉 이상화 °뼈대에 활력을 불어넣는 어미 〈그리운 친구〉 김종익 °문법적 감상이 중요한 것은 〈내가 웃잖아요〉 이정하 문법 공부의 시작, 단어와 품사 〈쓸쓸〉 문정희ㆍ〈청노루〉 박목월ㆍ〈저녁놀〉 오일도 | 형태소와 ‘늣씨’ | 의존명사 | 보조동사와 보조형용사 °구 54 °절 55 | 문장 이야기 | 시 문장 〈꽃과 언어〉 문덕수 ㆍ 〈부두에서〉 김춘수 ㆍ 〈낙화〉 조지훈 2장 문장의 형식과 성분 문장의 형식 °한 자리 서술어 문장 〈꽃〉 박두진 °두 자리 서술어 문장 69 〈가난한 사랑 노래〉 신경림 °세 자리 서술어 문장 72 〈내 집〉 천상병 °문장의 뼈대와 구성 〈비 개인 여름 아침〉 김광섭 문장의 성분 °서술어 〈달〉 김동명 | 서술어에 있는 문법 요소 〈답청〉 정희성 ㆍ 〈그 사람에게〉 신동엽 | 문장의 어순 〈누군가 나에게 물었다〉 김종삼 °주어 〈용두 산행〉 김동원 ㆍ 〈가을엔〉 김인숙 ㆍ 〈사랑〉 한용운 °목적어 〈늪에 빠지다〉 한선미 °보어 〈그대가 되기 위해〉 김용호 °관형어 〈무서운 시간〉 윤동주 ㆍ 〈뒷산〉 신달자 °부사어 〈눈물〉 류시화 ㆍ 〈기다림〉 곽재규 °필수부사어 〈낫〉 황규관 ㆍ 〈꿈〉 이생진 ㆍ 〈비 오는 날의 연가〉 최영애 | 필수부사어의 범위 °독립어 〈구절초〉 오태인 ㆍ 〈아름다운 아내〉 윤수천 문장성분별로 시 문장 분석하기 〈꿈〉 김소월 ㆍ 〈꽃나무〉 이상 문법의 기본 요소 °문장에서 조사의 기능 〈겨울 비〉 오세철 °문장에서 어미의 기능 〈봉선화〉 김상옥 높임법 익히기 °상대높임법 〈알 수 없어요〉 한용운 ㆍ 〈밤〉 김수영 °주체높임법 〈오시는 눈〉 김소월 °객체높임법 〈생시에 못 뵈올 님을〉 변영로 °높임의 일관성 〈어느 60대 노부부의 이야기〉 김목경 서법 익히기 °평서법 °의문법 °명령법 °청유법 °감탄법 〈의상대 해돋이〉 조종현 ㆍ 〈삼남에 내리는 눈〉 황동규 3장 겹문장 홑문장과 겹문장 안은문장과 안긴문장 〈목련꽃 낙화〉 나태주 이어진문장 °대등적 이어진문장 °종속적 이어진문장 〈그날이 오면〉 심훈 ㆍ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 김수영 4장 문법 뛰어넘기, 파격 낮은 단계의 파격, 생략 °서술격조사의 생략 〈그리움〉 박경리 °주어 생략 〈가을〉 강은교 °주어와 서술격조사의 생략 〈행복〉 나태주 어순 뒤바꾸기 〈산속에서〉 나희덕 ㆍ 〈황홀한 모순〉 조병화 불완전의 멋 〈원추리 꽃〉 이현옥 ㆍ 〈금잔디〉 김소월 ㆍ 수록 시 및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