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디지털 미디어와 저널리즘 4.0 : 미래 미디어

디지털 미디어와 저널리즘 4.0 : 미래 미디어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임현찬 권만우, 權晩羽, 1964-, 저
서명 / 저자사항
디지털 미디어와 저널리즘 4.0 = Digital media journalism : 미래 미디어 / 임현찬, 권만우 지음
발행사항
파주 :   한국학술정보,   2019  
형태사항
305 p. : 삽화 ; 23 cm
ISBN
9788926896501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87-305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07355
005 20220211134303
007 ta
008 220203s2019 ggka b 000c kor
020 ▼a 9788926896501 ▼g 93070
035 ▼a (KERIS)BIB000015406001
040 ▼a 222003 ▼c 222003 ▼d 211009
082 0 4 ▼a 070.40285 ▼2 23
085 ▼a 070.40285 ▼2 DDCK
090 ▼a 070.40285 ▼b 2019z6
100 1 ▼a 임현찬
245 1 0 ▼a 디지털 미디어와 저널리즘 4.0 = ▼x Digital media journalism : ▼b 미래 미디어 / ▼d 임현찬, ▼e 권만우 지음
260 ▼a 파주 : ▼b 한국학술정보, ▼c 2019
300 ▼a 305 p. : ▼b 삽화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287-305
536 ▼a 이 책은 방일영문화재단의 지원을 받아 저술·출판되었음
700 1 ▼a 권만우, ▼g 權晩羽, ▼d 1964-, ▼e▼0 AUTH(211009)98441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70.40285 2019z6 등록번호 1118589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권만우(지은이)

경성대학교 미디어콘텐츠학과 교수이며 부총장을 맡고 있다. 언론사 기자를 거쳐 20여 년 동안 사회과학(신문방송학과), 공학(디지털디자인), 예술(디지털영상) 계열의 교수를 역임하여 융합형 지식을 생산하는데 매진하고 있다. 7조원에 달하는 국내 최고의 R&D 지원기관인 한국연구재단의 문화융복합단장, 초학제간 융합 전문위원등을 지내며 70여편에 이르는 시선추적 실험 및 뇌파 실험연구 성과를 학술지에 발표했다. 미디어신경과학, 디지털엔터테인먼트, 서비스디자인등 다양한 융합 분야에 관한 20여권의 저서와 역서를 출간했다. 부산이 만든 세계적 영화제인 부산국제영화제 전문위원과 유네스코 주관의 세계인문학포럼 추진위원등 국제행사의 기획과 실행을 맡고 있으며, 국제콘텐츠 견본마켓인 부산콘텐츠마켓 집행위원장직을 수행하면서 방송드라마와 웹툰, 게임등 다양한 K콘텐츠가 세계화되는데 기여하고 있다.

임현찬(지은이)

한국외국어대 미네르바 교양대학 특임교수다. 1986년 <조선일보>기자로 언론계에 입문한 후 편집국 사진부, 사회부, 편집위원, 그리고 문화사업단과 AD본부 등을 거쳐 <TV조선> 보도본부 전문위원과 <조선영상비전>대표이사를 지냈다. 언론계에서 보기 드물게 보도사진, 취재, 방송영상, 영상편집, 방송기술, CG, 문화사업, 광고영업 등 신문과 방송 거의 전 분야의 제작과 업무를 맡았다. 조선일보 노조위원장과 조선영상비전 대표를 지낸바 있어 노사 양쪽 시각에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해가는 오픈 마인드형 언론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2011년 조선영상비전 대표 취임 후 AR, VR, 드론 등 새로운 ICT 기술을 콘텐츠 제작 현장에 도입했고, 뉴스에 백팩 생중계도 본격 도입했다. 세계 최초로 마라톤 전 구간을 백팩 생중계에 성공해 방송기술 분야의 새로운 장을 개척했다. 최근에는 미디어의 미래 기술과 서비스, 그리고 시장, 수용자, 콘텐츠 변화에 대한 연구, 융합 미디어 플랫폼을 둘러싼 사회, 문화, 제도, 산업 변화 등에 관심을 갖고 탐구하고 있다. 한국대학교교육협의회 산업계관점대학평가 미디어분야 평가위원과 한국연구재단 인문학대중화사업운영위원회 위원을 역임했고 2017년 한국외국어대학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Chapter 1. ICT 기술 혁명과 미디어 산업의 변화
1. 디지터러 기술 발전과 미디어
2. 4차 산업혁명과 저널리즘
1)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의미
2) 4차 산업혁명과 미디어
3) 4차 산업혁명 시대 언론의 과제
3. 다양하고 새로운 수익모델의 등장
4. 융합 미디어 플랫폼의 등장
1) 새로운 융합 플랫폼의 특징
2) 미디어 플랫폼의 융합

Chapter 2. 미디어 융합이 가져온 변화들
1. 통합 뉴스룸(Convergence Newsroom)의 등장과 취재 보도방식의 변화
1) 통합 뉴스룸의 등장
2) 취재와 보도방식의 변화
3) 저널리즘 영역에서의 융합의 의미
2. 유통/플랫폼/판매방식의 변화
3. 뉴스 가치의 변화
1) 전통적 뉴스 가치
2) 디지털미디어 시대의 뉴스 가치
4. 광고/시장/마케팅/브랜드 전략의 변화
1) 언론 중심에서 마케팅 중심(Market Driven)으로
2) 디지털 퍼스트(Digital First)
3) 미디어 기업도 브랜드 강화 전략 필요
5. 소비자/사용자의 변화
1) 미디어 이용행태의 변화
2) 미디어 소비자의 역할 변화
3) 사용자 중심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경험의 강조

Chapter 3. 새로운 저널리즘의 등장
1. 컴퓨터 활용 저널리즘 : 데이터, 컴퓨테이셔널 저널리즘
1) 컴퓨터 활용 저널리즘의 여러 가지 사조와 개념
2) CAJ의 정의와 개념
3) 데이터 저널리즘(Data Journalism)과 빅 데이터 저널리즘
4) 컴퓨테이셔널 저널리즘(Computational Journalism)
2. 인공지능(AI) 저널리즘
1) 인공지능(AI) 시대의 저널리즘
2) 인공지능의 저널리즘 활용 영역
3) 로봇(Robotics)과 드론의 인공지능 결합
4) 인공지능의 한계와 미래
5) 인공지능(AI) 저널리즘의 사례
3. 블록체인 기술과 미디어
1) 블록체인 기술과 시장의 급성장
2) 블록체인 기술의 미디어 적용
3) 블록체인 미디어 사례
4. 가상현실(VR, AR, MR) 저널리즘
1) 가상현실 기술의 발달
2) 가상현실의 구성요소와 특징
3) 가상현실의 역사와 활용 분야
4) 가상현실과 저널리즘
5) 가상현실 저널리즘의 사례
5. 디지털방송의 진화와 백팩(Backpack) 저널리즘
1) 백팩 저널리즘의 등장 배경
2) 디지털방송의 진화
3) 백팩의 기술적 개념 및 종류
4) 백팩 저널리즘의 진화
5) 백팩 저널리즘의 사례
6. 드론(Drone) 저널리즘
1) 드론의 기원과 종류
2) 드론의 민간 활용 분야 확대
3) 미디어 산업의 드론 활용과 저널리즘
4) 드론 저널리즘 사례

Chapter 4. 새로운 미디어 양식과 미디어의 미래
1. 디지털 스토리텔링
1) 스토리텔링 산업의 중요성
2) 스토리텔링의 개념
3) 디지털 스토리텔링
2. 크로스미디어 환경과 저널리즘
1) 크로스미디어(Cross-media) 저널리즘 개념과 실태
2) 크로스미디어의 차별성
3) 크로스미디어 함의
4) 저널리즘에서 크로스미디어의 현황
5) 크로스미디어의 과제와 사례
3. 수용자에서 사용자로 : 사용성과 UX
1) 미디어의 사용성(Usability)
2)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와 상호작용
3) 미디어와 인터페이스 디자인
4)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으로의 발전
4. 오감/감성 미디어 인터페이스로 발전
1) 오감과 미디어
2) 감성 미디어 인터페이스
3) 생체신호 피드백을 활용한 미디어
5. 미디어의 미래 : 서비스로서의 미디어(MaaS, Media as a Service)
1) 서비스의 중요성
2) 서비스로서의 미디어

참고문헌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