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7345 | |
005 | 20220211130334 | |
007 | ta | |
008 | 220203s2019 ulkad b 001c kor | |
020 | ▼a 9791162261668 ▼g 93320 | |
035 | ▼a (KERIS)BIB000015091146 | |
040 | ▼a 247009 ▼c 247009 ▼d 211009 | |
082 | 0 4 | ▼a 330.9 ▼2 23 |
085 | ▼a 330.9 ▼2 DDCK | |
090 | ▼a 330.9 ▼b 2019z5 | |
100 | 1 | ▼a 김완중, ▼g 金完仲, ▼d 1967- ▼0 AUTH(211009)22110 |
245 | 1 0 | ▼a 세계 경제구조와 한국 = ▼x Global economy and Korea : ▼b 생산구조·시장구조·경쟁구도 / ▼d 김완중 지음 |
260 |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19 | |
300 | ▼a ix, 354 p. : ▼b 삽화, 도표 ; ▼c 25 cm | |
504 | ▼a 참고문헌(p. [348]-349)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0.9 2019z5 | Accession No. 11185898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세계경제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어떤 방향으로 변해 가고 있으며, 국가 간 산업구조는 어떻게 다른지를 보여주는 책이다. 세계의 산업별 생산구조, 산업별 시장구조, 그리고 시장에서 국가 간 경쟁구도가 어떻게 되어 있고,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이 책은 개별 이슈에 한정된 기존 세계경제론 교재들의 한계를 극복하고, 독자들에게 세계경제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어떤 방향으로 변해 가고 있으며, 국가 간 산업구조는 어떻게 다른지를 보여주고자 노력했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세계의 산업별 생산구조, 산업별 시장구조, 그리고 시장에서 국가 간 경쟁구도가 어떻게 되어 있고,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 이 책은 세계경제론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라 할 수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김완중(지은이)
서울시립대학교 무역학과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에서 경제학 석사(1995), 미국 뉴욕주립대학교(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Albany) 대학원 경제학과에서 경제학 박사학위(2004)를 받았다. 현재 동아대학교 국제무역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국제경제와 동아시아 경제이며, 특히 동아시아 국가들에 있어서 무역, 환율, 고용 등의 거시경제 및 동아시아 국가 간 경제 관계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 저서 및 논문으로 동아시아와 동남아 경제의 이해(도서출판 청람, 2015), 중국과 동아시아 국가 간 교역구조와 결정요인 분석(2011)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제1부 세계 산업구조와 한국 제1장 산업분류 제2장 산업구조 이론 제3장 세계 생산 및 부가가치 구조 제4장 주요 선진국의 생산 및 부가가치 구조 제5장 BRICs의 생산 및 부가가치 구조 제6장 한국의 산업구조 제2부 세계 무역구조와 한국 제7장 수요의 국가 간 상호의존 관계 제8장 생산의 국가 간 상호의존 관계 제9장 세계 수출 및 수입시장 구조 제10장 세계시장에서 국가 간 경쟁구도 ■ 부표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