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6745 | |
005 | 20220215105947 | |
007 | ta | |
008 | 220127s2020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64794906 ▼g 13340 | |
035 | ▼a (KERIS)BIB000015636481 | |
040 | ▼a 011001 ▼c 011001 ▼d 249002 ▼d 211009 | |
082 | 0 4 | ▼a 327 ▼2 23 |
085 | ▼a 327 ▼2 DDCK | |
090 | ▼a 327 ▼b 2020z12 | |
245 | 2 0 | ▼a (강제명) 국제정치학 / ▼d 강제명 편저 |
260 | ▼a 서울 : ▼b Fides, ▼c 2020 | |
300 | ▼a viii, 668 p. : ▼b 삽화, 도표 ; ▼c 27 cm | |
500 | ▼a 부록: 기출문제 | |
504 | ▼a 참고문헌(p. 636-343)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강제명, ▼d 1968-, ▼e 편 ▼0 AUTH(211009)66305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7 2020z12 | Accession No. 11185843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국제정치학은 정치학의 분과학문이지만, 나름의 체계를 가지고 있고 다른 분야의 학문적 성과들을 섭렵하면서 방대한 이론으로 발전했다. 이 때문에 이론의 흐름에 대한 틀을 잡지 않고 혹은 국제정치학의 기본적인 문제의식과 기초적 개념을 잡지 않고 개별 이론과 이슈들을 ‘닥치고 암기’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다 보면 분량에 치이고 정리는 안 되는, 그래서 다시 ‘닥치고 암기’하는 방식 공부하는 경우가 많다. 핵심적인 문제의식과 이론의 흐름을 통해 체계를 잡는다면 이런 악순환에서 빠져나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편제와 내용을 구성하였다.
[서 문]
수험 경향이 국제정치학의 기본 주제를 암기해서 나열하라는 전통적인 문제가 지양되면서 정치학을 전공하지 않은 수험생들에게는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 게다가 국제정치학이라는 과목이 어떤 과목인지에 대해 체계를 잡지 못하고 헤매는 경우도 많다. 물론, 문장력이 있는 수험생의 경우에는 어차피 설(?)푸는 과목이라 치부하기도 한다.
어찌되었든, 출제경향의 변화 덕분에 국제정치란 무엇인지 그리고 한국의 외교정책은 어떤 방향을 지향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관료가 되기 전에 최소한 고민 할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있다고 한다면 긍정적인 것으로 보아야 될 것이다.
국제정치학은 정치학의 분과학문이지만, 나름의 체계를 가지고 있고 다른 분야의 학문적 성과들을 섭렵하면서 방대한 이론으로 발전했다. 이 때문에 이론의 흐름에 대한 틀을 잡지 않고 혹은 국제정치학의 기본적인 문제의식과 기초적 개념을 잡지 않고 개별 이론과 이슈들을 ‘닥치고 암기’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다 보면 분량에 치이고 정리는 안 되는, 그래서 다시 ‘닥치고 암기’하는 방식 공부하는 경우가 많다. 핵심적인 문제의식과 이론의 흐름을 통해 체계를 잡는다면 이런 악순환에서 빠져나올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수험서이지만,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편제와 내용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수능세대의 수험생들이 줄글을 싫어하고 요약과 표를 좋아하는 것을 알고 있지만, 내용과 흐름을 이해하고 예상하지 못한 주제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는 데는 이 같은 방식이 독이 된다는 점 때문에 시간이 허락하는 한에서 되도록 풀어서 설명하려 하였다. 표가 많으면 많을수록 암기해야할 내용만 많아진다. 요약과 표는 어차피 요약집을 활용하면 된다는 점도 고려하였다. 대신 논리가 복잡해서 핵심 내용을 뽑아내기 어렵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키워드를 박스 형태로 정리했다. 따라서 키워드와 표는 확인용으로 활용할 것을 권한다. 참고로, 출처는 최대한 밝히려 했으나, 수험생들의 편의를 위해 많은 부분 생략되었음을 미리 이야기 드린다. 그리고 참고문헌의 경우에는 실수로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음을 미리 밝힌다.
책의 편제와 수정된 부분을 개관하면 다음과 같다.
제1편은 국제정치학의 기초를 다루고 있다. 국익과 국력, 주권과 안보, 그리고 무정부성의 의미를 먼저 넣었다. 세 묶음으로 된 이 주제는 국제정치학의 패러다임과 개별 이론들, 그리고 이슈들을 이해하는 데 빠져서는 안 되는 것들이다. 이 세 묶음의 개념에 대한 상이한 이해는 완전히 다른 설명으로 나아가게 하고 동일한 이슈에 대해 상이한 해석과 처방을 내리게 만든다. 따라서 개념을 정확하게 숙지하고 제2편 이하의 주제들을 정리할 때 나름대로 적용하는 연습을 해 볼 것을 권한다.
다음으로 제2편 이하 부분을 읽고 정리할 때 최소한의 사전 지식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그리스의 스파르타와 아테네 및 그 동맹들 간의 전쟁인 펠로폰네소스 전쟁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하고 그에 대한 몇 가지 해석을 넣었다. 그리고 19세기와 그 이후 국제정치질서와 국제경제질서에 대해 간략한 흐름을 넣었다.
제2편은 국제정치 패러다임과 패러다임 내 개별 이론들을 다루고 있다. 동일한 패러다임 내에서도 상이한 이론적 관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공자나 비전공자가 이해하기 쉽게 순서를 정하였다. 예컨대, 현실주의 이론은 고전적 현실주의와 신현실주의의 핵심을 먼저 다루고, 현실주의 내의 두 가지 흐름(세력균형과 세력우위)을 정리한 후 최근의 현실주의 이론들을 넣었다. 자유주의 이론 중에서 지역통합이론은 제2편에서 다루지 않고 제3편으로 넣었다.
제3편은 국제정치 이슈들을 다룬다. 현실주의 이론이 주로 관심을 갖는 이슈인 전쟁과 동맹과 같은 주제를 먼저 넣었고, 자유주의 이론이 주로 관심을 갖는 국제제도ㆍ레짐ㆍ국제법ㆍ지역통합을 넣었다. 그리고 국제정치경제학, 게임이론과 협상이론, 지구화와 탈냉전기 안보이슈들을 다루었다. 이 중에서 수험생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은 국제정치경제학의 내용들이며, 싫어하는 부분은 암기가 필요한 국제레짐ㆍ국제기구들이다. 이를 감안해서 정리하기 바란다.
제4편은 외교와 관련된 개념 및 이론, 그리고 외교사ㆍ국제관계사를 다룬다. 아마도 국제정치학이 괜히 싫어지는 것은 외교사 때문이 아닐까할 정도로 외교사ㆍ국제관계사를 어려워하는 경향이 있다. 세계사에 대한 상식 부족 때문일 것이다. 근대국제질서가 형성된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를 시기별로 나누어 중요한 전쟁과 조약을 중심으로 정리하면 된다. 그리고 이 부분에 있는 내용을 제2편과 제3편의 주제들과 엮어서 고민해 보는 것을 권한다..
강의하면서 느낀 점이 있다. 답이 없는 사회과학에서 답을 원하는 경우가 가장 곤혹스럽다. 현실은 생각보다 단순하지 않다. 경제학처럼 몇 개의 수식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이 현실이라면 아마도 우리가 사는 세상은 오류가 하나도 없는 그야말로 파라다이스일 것이다. 하지만, 죽는 순간까지 세상은 어떻게 돌아가는 것이고 바람직한 삶이 무엇인지 답을 찾지 못할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명쾌한 답을 찾는다. 정치는 현실이다. 국제정치학은 국제정치현상을 반영하는 학문이다. 현실과 동떨어진 그 어떤 이론을 찾는 것이 가능할까?
국제정치학은 어찌 보면 미국적 학문이다.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고, 그것이 학문적 체계를 갖추기 시작한 것은 미국의 외교안보정책의 방향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대외전략과 정책에 대해 ‘OO이론적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한다.’는 주장을 하는 이들이 있다. 이들의 이야기는 대한민국의 국익이나 안보가 아닌 강대국 혹은 미국의 국익과 안보를 위한 대외전략과 정책을 처방해야 한다는 것으로밖에 들리지 않는다.
COVID19 이후 포스트코로나(post-corona) 혹은 뉴노멀(new nomal)에 대한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다. 이는 국제정치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급변하는 국제질서와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는 동북아질서 속에서 대한민국의 대외정책은 어떠해야 하며, 뉴노멀로 이야기되는 새로운 환경 속에서 어떠한 전략적 선택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필자가 원하는 것은 소명의식을 가진 그런 관료는 아니다-최근의 한국 사회 분위기가 그렇기 때문이다. 다만, 왜 관료가 되려는지 처음 가졌던 생각들을 합격한 이후에도 유지했으면 하는 것, 그리고 전문직업관료로서의 프로의식이다. 수험기간 동안 이런 고민을 한번쯤은 해 보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2020년 3월. 여러분의 합격을 기원하며
강 제 명 씀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강제명(지은이)
[약 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전 춘추관법정연구회, 한림법학원, 합격의 법학원 정치학 전임 전 남부행정고시학원, 대구한국공무원학원 행정학 전임 전 프라임법학원 정치학 전임 전 이그잼고시학원 행정학 전임 전 공단기 행정학 대표강사 현 베리타스법학원 정치학, 국제정치학 전임 [저 서] 국제정치학(피데스) 정치학:한국민주주의의 조건과 과제(피데스) 행정학:한국행정현실과 과제(도서출판 해인) 정보체계론(도서출판 해인) 지방행정학(문성) 정치학 요약집(피데스) EBS 행정학개론(박문각) 제갈공명 행정학(ST & books) 제갈공명 행정학 기출문제집(피데스)

Table of Contents
제1편 국제정치학의 기초 제1장 들어가기 전에 Ⅰ. 분석 수준 : K. Waltz, 「Man, the State and War(1959)」 1 Ⅱ. 게임이론 3 제2장 국제정치학의 기본 개념 Ⅰ. 국력과 국익 6 Ⅱ. 주권과 안보 8 Ⅲ. 무정부성의 문제(international anarchy) 10 Ⅳ. 국제정치에서 권력(power) 개념 11 Ⅴ. 펠로폰네소스 전쟁과 투키디데스 함정 16 Ⅵ. 19~20세기 국제정치경제질서의 변화 23 제2편 국제정치학의 패러다임 제1장 국제정치학의 이론논쟁의 흐름과 패러다임 Ⅰ. 국제정치학 이론논쟁 개관 26 Ⅱ. 국제정치 패러다임의 주요 가정과 특징 29 제2장 이상주의 Ⅰ. 집단안보제도와 이상주의 35 Ⅱ. 탈냉전과 신이상주의 37 Ⅲ. 영구평화론과 민주평화론 40 Ⅳ. 역사의 종언(The End of History) : Francis Fukuyama 49 제3장 현실주의 패러다임 Ⅰ. 고전적 현실주의와 신현실주의 51 Ⅱ. 현실주의 패러다임의 주요 이론 57 Ⅲ. 탈냉전기 현실주의 이론의 분화 101 제4장 자유주의 패러다임 Ⅰ. 자유주의(liberal idealist) 개관 116 Ⅱ. 자유주의 패러다임의 주요 이론들 118 제5장 탈실증주의 및 구조주의 패러다임 Ⅰ. 사회과학 접근방법 142 Ⅱ. 탈실증주의와 구성주의 151 Ⅲ. 구조주의(Structuralism) 164 Ⅳ. 신제도주의 173 제3편 국제정치학의 이슈 제1장 전쟁, 안보, 동맹 Ⅰ. 전쟁(war) 176 Ⅱ. 안보(security) 186 Ⅲ. 동맹(alliance) 192 제2장 핵과 핵확산, 핵폐기 Ⅰ. 개 관 211 Ⅱ. 핵확산 214 Ⅲ. 안보와 핵 : 핵은 효과적 억지력(deterrence)을 제공하는가? 220 제3장 국제제도 / 레짐, 국제법, 지역통합 Ⅰ. 국제레짐 230 Ⅱ. 국제연합(UN, United Nation) 233 Ⅲ. 국제법 244 Ⅳ. 지역통합 248 제4장 국제정치경제 Ⅰ. 국제무역 및 금융질서 개관 273 제5장 게임이론과 협상 Ⅰ. 게임이론(Game Theory) 315 Ⅱ. 협상과 협상전략 323 제6장 탈냉전과 지구화ㆍ정보화 Ⅰ. 지구화ㆍ세계화(globalization)의 본질 332 Ⅱ. 탈냉전시대의 국제체제와 국제질서 343 Ⅲ. 정보혁명과 국제정치 347 제7장 기타 이슈들(1) : 인권, 발전, 환경, 에너지, 젠더 Ⅰ. 인권과 개입주의 외교 360 Ⅱ. 빈곤, 기아, 발전 376 Ⅲ. 환경 386 Ⅳ. 에너지 397 Ⅴ. 젠더(Gender) 404 제8장 기타 이슈들(2) : 민족, 문화, 종교, 테러리즘 Ⅰ. 민족(Nation)ㆍ민족주의(Nationalism) 407 Ⅱ. 문화 419 Ⅲ. 종교(Religion, 宗敎) 440 Ⅳ. 테러리즘(terrorism) 448 제4편 외교, 외교사ㆍ국제관계사 제1장 외교와 외교정책결정이론 Ⅰ. 외교(diplomacy) 453 Ⅱ. 외교정책결정이론 464 Ⅲ. 주요국가의 대외정책 475 제2장 외교사ㆍ국제관계사 Ⅰ. 로마제국과 중세 500 Ⅱ. 베스트팔렌체제의 성립과 근대 유럽 504 Ⅲ. 나폴레옹 전쟁과 유럽협조체제(비엔나 체제)와 붕괴 510 Ⅳ. 제1차 세계대전과 베르사이유 체제 520 Ⅴ. 집단안보체제 실패와 제2차 세계대전 535 Ⅵ. 얄타체제와 냉전질서 547 Ⅶ. 동아시아 지역의 국제체제로의 편입 561 제5편 한국의 대외정책 방향 제1장 동북아 질서와 한국의 전략적 선택 Ⅰ. 동북아 안보환경 569 Ⅱ. 미-중국 관계 579 Ⅲ. 한미동맹 584 제2장 분단체제와 북한 문제 Ⅰ. 개 관 592 Ⅱ. 북한의 체제위기와 예상시나리오 592 Ⅲ. 북핵 문제와 정책적 대응 598 Ⅳ. 대북정책의 방향 : 협상과 게임 622 Ⅴ. 통일정책 628 부 록 참 고 문 헌 636 기 출 문 제 644 색 인 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