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6739 | |
005 | 20220215103842 | |
007 | ta | |
008 | 220127s2019 hbk b LB 001c kor | |
020 | ▼a 9788972954880 ▼g 93700 | |
035 | ▼a (KERIS)BIB000015164102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495.77 ▼2 23 |
085 | ▼a 497.7 ▼2 DDCK | |
090 | ▼a 497.7 ▼b 2019z1 | |
100 | 1 | ▼a 조항범, ▼g 趙恒範, ▼d 1958- ▼0 AUTH(211009)100199 |
245 | 1 0 | ▼a 우리말 '卑語', '俗語', '辱說' 어원 연구 / ▼d 조항범 지음 |
260 | ▼a 청주 : ▼b 충북대학교출판부, ▼c 2019 | |
300 | ▼a 447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433-439)과 색인수록 | |
536 | ▼a 2015년도 충북대학교 학술도서지원사업에 의해 발행되었음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7 2019z1 | 등록번호 11185843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가 준비 중인 ‘국어어원사전’에서 ‘卑語’, ‘俗語’, ‘辱說’에 해당하는 어휘(표현)만을 따로 뽑아 그 하나하나의 어원을 역사적 기술 방식에 따라 해석한 것이다.
본서는 저자가 준비 중인 ‘국어어원사전’에서 ‘卑語’, ‘俗語’, ‘辱說’에 해당하는 어휘(표현)만을 따로 뽑아 그 하나하나의 어원을 역사적 기술 방식에 따라 해석한 것이다. 잘 알다시피 우리말에는 ‘비어’, ‘속어’, ‘욕설’이 대단히 많다. 《표준국어사전》 (1999)에 ‘낮잡아 이르는 말’로 풀이된 ‘비어’가 1,150개, ‘속되게 이르는 말’로 풀이된 ‘속어’가 1,152개나 실려 있다는 통계가 나와 있다. 사전에 올라 있는 ‘욕설’은 그렇게 많지 않지만, 실제 사용 되는 욕설은 이보다 훨씬 많고 다양하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조항범(지은이)
1958년 청주 출생.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8년 이후 현재까지 충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국어의미론》(1993), 《국어 친족어휘의 통시적 고찰》(1996), 《순천김씨언간주해》(1997), 《예문으로 익히는 우리말 어휘》(2003), 《좋은 글, 좋은 말을 위한 우리말 활용 사전》(2005), 《지명어원사전》(2005), 《국어 어원론》(2009), 《정말 궁금한 우리말 100가지》(2009), 《말이 인격이다》(2009), 《우리말 어원 이야기》(2016), 《우리말 ‘비어’, ‘속어’, ‘욕설’의 어원 연구》(2019) 등이 있다.

목차
1장. ‘卑語’의 어원 13 1.1. ‘女性’ 관련어 14 가시내, 계집, 계집애, 년, 여편네(女便-), 연놈, 오맞이꾼(五---), 오무래미, 종간나, 통지기, 할망구, 화냥년 1.2. ‘男性’ 관련어 46 개구멍서방(---書房), 건달꾼/건달뱅이, 공돌이(工--), 꼽사리꾼, 놈, 놈팡이, 불상놈(-常-), 인마, 텡쇠 1.3. ‘夫婦’, ‘子息’, ‘아이’ 관련어 65 가시버시, 가시아비, 가시어미, 덤받이, 서방, 시러베아들, 조무래기, 후레자식(--子息) 1.4. ‘職業’, ‘職分’ 관련어 84 가정오랑캐(家丁---), 각설이(却說-), 딴따라, 땡추, 비뱅이, 장 돌뱅이(場---), 졸개(卒-), 타짜꾼 1.5. ‘身體 部位 異常者’ 관련어 103 검둥이, 곰보/얽보, 곱사등이, 귀머거리, 꼽추, 문둥이, 벙어리, 앉은뱅이, 옥니박이, 코머거리 1.6. ‘身體’, ‘모습’ 관련어 124 꼬락서니, 꼬랑지, 매가리, 배알, 사타구니, 이빨, 창알이 1.7. ‘出身地’, ‘異民族’ 관련어 138 강놈(江-), 갯놈, 두멧놈, 양코배기(洋---), 오랑캐, 짱꼴라, 쪽발이 1.8. ‘精神遲滯者’ 관련어 154 꺼벙이, 등신(等神), 미치광이(--狂-), 바보, 병신(病身), 아둔패기, 칠뜨기(七--), 팔푼이(八--) 1.9. ‘性格’, ‘氣質’ 관련어 174 개망나니, 게으름뱅이, 나부랭이, 얌생이꾼, 얌체, 염알이꾼(廉----), 자린고비(--考?), 좀팽이 1.10. ‘言行’, ‘생각’, ‘마음’ 관련어 199 개나발, 비럭질, 소갈머리, 얀정, 채신(-身) 1.11. 기타 206 공갈빵(恐喝-), 보리윷 2장. ‘俗語’의 어원 213 2.1. ‘女性’ 관련어 214 갈보, 논다니, 계(-鷄) 2.2. ‘男性’ 관련어 222 고바우, 노틀, 제비/제비족(--族) 2.3. ‘身體’ 관련어 229 가슴패기, 골통, 눈깔, 가리, 모가지, 무르팍, 배지, 배퉁이, 볼때기/ 볼따구니/볼퉁이, 아가리, 우거지상(---相), 터거리, 턱주가리 2.4. ‘性格’, ‘氣質’ 관련어 253 개차반(--茶飯), 깡통(-筒), 깡패(-牌), 노가다, 돌팔이, 따까리, 또라이, 빨갱이, 얌치머리, 양아치, 쪼다 2.5. ‘對象’, ‘物件’ 관련어 290 닭똥집, 따발총(--銃), 쇠천, 짱깨집 2.6. ‘言行’ 관련어 300 갈구다, 개소리괴소리, 개판, 구라, 꼴값, 노가리, 노라리, 맞짱, 사바 사바, 엿 먹어라, 지랄, 진절머리, 칠칠맞다, 토끼다 2.7. ‘죽음’ 관련어 336 골로 가다, 뒈지다, 물고(物故)를 내다, 황천(黃泉)으로 보내다 2.8. ‘氣分’, ‘體面’, ‘態度’ 관련어 345 강짜, 김새다, 눈치코치, 뻘쭘하다, 야코, 좆나게, 쪽팔리다, 쫑코 2.9. 기타 360 개씨바리, 골백번(-百番), 씨알머리, 젬병(-餠) 3장. ‘辱說’의 어원 371 3.1. ‘性行爲’ 관련어 372 네에미/네미/니미/니기미, 네미랄(럴)/니미랄(럴)/예미랄(럴)에미랄(럴), 제미붙을, 제미/지미/지기미, 제할/제미랄/지미랄(럴), 제길할/제기랄/ 제길/제기, 씹새끼/씹새, 씨팔놈/씨팔 3.2. ‘刑罰’ 관련어 403 경을칠(?--)/경칠(?-), 난장맞을(亂杖-)/난장칠(亂杖-), 넨장맞을/ 넨장/?장/옌장/넨장칠/넨장할·젠장맞을/젠장/젠장할, 오라질/우라질, 오 살할(五殺-)/오사랄(五--), 육실할(戮--)/육시랄(戮--) 3.3. 기타 424 개새끼, 떡을할, 빌어먹을/배라먹을, 염병할(染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