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라캉 세미나·에크리 독해

라캉 세미나·에크리 독해 (Loan 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Dor, Joël, 1946-1999 홍준기, 洪準基, 1962-, 역 강응섭, 姜應燮, 1968-, 역
Title Statement
라캉 세미나·에크리 독해 / 조엘 도르 지음 ; 홍준기, 강응섭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남양주 :   눈출판그룹,   2021-2023  
Physical Medium
2책(352 ; 384 p.) : 삽화 ; 22 cm
Varied Title
Introduction à la lecture de Lacan
ISBN
9791188466177 (v.1) 9791188466245 (v.2)
Content Notes
2. 주체의 구조 = La structure du sujet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Psychoanalysis
주제명(개인명)
Lacan, Jacques,   1901-1981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06639
005 20230303112808
007 ta
008 220127m20212023ggka b 001c kor
020 ▼a 9791188466177 (v.1) ▼g 93180
020 ▼a 9791188466245 (v.2) ▼g 93180
035 ▼a (KERIS)BIB000015787779
040 ▼a 211029 ▼c 211029 ▼d 211009
041 1 ▼a kor ▼h fre
082 0 4 ▼a 150.195092 ▼2 23
085 ▼a 150.195092 ▼2 DDCK
090 ▼a 150.195092 ▼b 2021
100 1 ▼a Dor, Joël, ▼d 1946-1999
245 1 0 ▼a 라캉 세미나·에크리 독해 / ▼d 조엘 도르 지음 ; ▼e 홍준기, ▼e 강응섭 옮김
246 1 9 ▼a Introduction à la lecture de Lacan
260 ▼a 남양주 : ▼b 눈출판그룹, ▼c 2021-2023
300 ▼a 2책(352 ; 384 p.) : ▼b 삽화 ; ▼c 22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505 2 0 ▼n 2. ▼t 주체의 구조 = La structure du sujet
600 1 0 ▼a Lacan, Jacques, ▼d 1901-1981
650 0 ▼a Psychoanalysis
700 1 ▼a 홍준기, ▼g 洪準基, ▼d 1962-, ▼e▼0 AUTH(211009)117724
700 1 ▼a 강응섭, ▼g 姜應燮, ▼d 1968-, ▼e▼0 AUTH(211009)55169
740 2 ▼a Structure du sujet
900 1 0 ▼a 도르, 조엘,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150.195092 2021 1 Accession No. 11185833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150.195092 2021 2 Accession No. 11187735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라캉 원전에 대한 정확한 읽기를 이끌어주는 입문서. 내용의 풍부함과 설명의 정확성, 이론과 임상을 연결시키는 분석가로서의 탁월한 서술 방식 등 여러 측면에서 이 책을 능가하는 라캉 입문서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무엇보다도 이 책은 라캉의 『세미나』와 『에크리』를 전체적으로 주해하는 방식으로 논의를 진행한다는 장점이 있다.

라캉 원전에 대한 정확한 읽기를 이끌어주는 입문서

저자 조엘 도르는 라캉이 사망한 해인 1981년부터 세미나 모임을 결성해 일반대중과 전문가들에게 라캉 이론을 종합적으로 전달하고, 그들로 하여금 '접근이 어렵기로 유명한' 라캉 저작 독해에 입문할 수 있는 길을 개척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 책은 이러한 '선구자적' 노력의 결과로 탄생했으며 향후 라캉 입문서들의 '모델'이 되었다.

내용의 풍부함과 설명의 정확성, 이론과 임상을 연결시키는 분석가로서의 탁월한 서술 방식 등 여러 측면에서 이 책을 능가하는 라캉 입문서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무엇보다도 이 책은 라캉의 『세미나』와 『에크리』를 전체적으로 주해하는 방식으로 논의를 진행한다는 장점이 있다.

라캉의 원전을 직접 읽고자 하는 독자들의 바람이 그 어느 때보다도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책은 곧 번역 출간될 『라캉 세미나 · 에크리 독해 Ⅱ』와 더불어 라캉 원전에 대한 정확한 읽기를 이끌어주는 충실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조엘 도르(지은이)

프랑스의 대표적인 라캉주의 정신분석가. 정신분석과 철학을 전공한 후 ‘정신분석 훈련 및 연구 센터’ 정회원, 파리7대학 전임강사, 동대학 정신병리학 및 정신분석임상 연구소 소장, 『정신분석 소묘』 책임편집인 등으로 활동했다. 『라캉과 정신분석임상 : 구조와 도착증』, 『프로이트·라캉 정신분석임상』, 『정신분석의 비-과학성』, 『정신분석에서의 아버지와 그 기능』, 『자크 라캉의 저작 문헌목록』 등 라캉 정신분석의 발전과 가르침에 기여한 귀중한 저서와 논문을 다수 남겼다.

홍준기(옮긴이)

서울대 법과대학과 총신대 신학대학원을 졸업했고, 독일 브레멘 대학, 파리10대학에서 수학한 후 라캉과 알튀세르에 관한 논문으로 브레멘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 연구소 교수를 역임했고 현재 정신분석가, 철학자로 활동 중이다. 파리의 라캉주의 분석가로부터 교육분석을 받았다. 저서로는 『라캉과 현대철학』,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남자의 성, 여자의 성』, 『라캉의 재탄생』(공저), 『피케티의 ‘21세기 자본’과 사회적 국가』 등이 있다. 특히 최근 저작인 『라캉, 클라인, 자아심리학』에서 정신분석 이론과 역사를 해설하고 클라인 정신분석을 재구성하면서 라캉의 『에크리』와 『세미나』를 비판적으로 철저히 재해석했다. 『강박증 : 의무의 감옥』, 『라깡과 정신분석임상』, 『제2의 사고』, 『변형들』, 『클라인의 정신분석 테크닉 강의』, 『현대적 관점의 클라인 정신분석』 등 다수의 역서와 논문을 발표했다.

강응섭(옮긴이)

총신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몽펠리에3대학교 정신분석학과를 거쳐, 몽펠리에신학대학교에서 프로이트와 라캉의 정체화(Identification) 개념으로 루터와 에라스무스의 의지 논쟁을 분석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9년부터 예명대학원대학교의 조직신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고, 정신분석학 전공을 개설하여 프로이트와 라캉을 잇는 흐름의 석사 및 박사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프로이트-라캉주의 분석가로부터 분석을 받으면서 정신분석 이론과 임상을 연결하고 있다. 또한 리더십학 전공 주임교수로서 정신분석을 도입한 리더십학 분야를 이끌면서 디지털 시대의 심리 문제를 다루고 있다.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부회장, 편집위원장, 재무이사, 한국조직신학회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동일시와 노예의지』, 『프로이트 읽기』, 『첫사랑은 다시 돌아온다』, 『자크 라캉의 「세미나」 읽기』, 『자크 라캉과 성서해석』, 『라깡과 기독교의 대화』, 『한국에 온 라캉과 4차 산업혁명』 등이 있다. 역서로는 『정신분석대사전』, 『라깡 세미나·에크리 독해 1』, 『프로이트, 페렌치, 그로데크, 클라인, 위니코트, 돌토, 라깡 정신분석 작품과 사상』(공역) 등이 있고, 그 외에 신학 정신분석학 리더십학을 잇는 다수의 논문과 다수의 공저를 발표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역자 서문
서문

1장 ‘프로이트로의 복귀’
1부 언어학과 무의식의 형성물
2장 꿈 작업에서의 압축과 전치
3장 구조의 개념
4장 구조적 언어학의 요소들
언어적 기호
언어의 두 축
5장 언어적 기호의 가치와 라캉의 고정점
6장 은유, 환유 그리고 기표의 우위
은유적 과정
환유적 과정
7장 은유적 과정으로서의 압축
8장 환유적 과정으로서 전치와 꿈의 작업
9장 은유 환유 과정으로서의 재담
10장 은유적 과정으로서의 증상

2부 주체성의 ‘구조적 교차로’로서의 아버지 은유
11장 팔루스의 우위
12장 거울단계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거울단계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첫 번째 계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두 번째 계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세 번째 계기
13장 아버지 은유-아버지의 이름 욕망의 환유
욕망의 환유
14장 아버지 이름의 배척 : 정신병적 과정에의 접근
15장 주체의 분열과 기표의 질서에 의한 무의식의 도래
16장 주체의 분열 : 언어 속에서의 소외
17장 무의식의 주체-언표행위의 주체-언표의 주체
18장 자아 속에서의 주체의 소외-L 도식-주체의 배척
19장 의식의 변증법과 욕망의 변증법

3부 욕망-언어-무의식
20장 욕구-욕망-요구
21장 욕망의 그래프 1 : 고정점에서 말 방앗간으로
22장 의사소통의 공식과 대타자의 담화로서의 무의식
23장 욕망의 그래프 2 : 재담의 기표적 기술에서의 의미 창조와 언어 속에서의 무의식의 전복
24장 욕망의 그래프 3 : 기표와 욕망의 결합
25장 그래프의 ‘생성’

참고문헌
색인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