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6624 | |
005 | 20220214134754 | |
007 | ta | |
008 | 220127s2021 ggk b 001c kor | |
020 | ▼a 9788925416403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5980864 | |
040 | ▼a 241026 ▼c 241026 ▼d 211009 | |
082 | 0 4 | ▼a 374 ▼2 23 |
085 | ▼a 374 ▼2 DDCK | |
090 | ▼a 374 ▼b 2021z10 | |
100 | 1 | ▼a 윤여각, ▼g 尹汝珏, ▼d 1962- ▼0 AUTH(211009)59903 |
245 | 1 0 | ▼a 평생교육론의 시선 / ▼d 윤여각 지음 |
246 | 1 1 | ▼a Perspectives of lifelong education |
260 |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21 | |
300 | ▼a 303 p. ; ▼c 25 cm | |
504 | ▼a 참고문헌(p. 295-298)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4 2021z10 | 등록번호 11185831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평생교육 개념의 등장은 기존의 교육 담론에 대한 성찰을 토대로 한 것이다. 그래서 유네스코는 평생교육의 개념에 따라 학교교육을 재구조화하는 작업을 하였고, 모두가 교육에 참여하는(education for all) 평생교육사회,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평생학습사회를 건설하는 정책을 추진하였다. 여기에는 학습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인권을 강조하는 논의가 뒷받침되었다.
평생교육 개념의 등장은 기존의 교육 담론에 대한 성찰을 토대로 한 것이다. 그래서 유네스코는 평생교육의 개념에 따라 학교교육을 재구조화하는 작업을 하였고, 모두가 교육에 참여하는(education for all) 평생교육사회,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평생학습사회를 건설하는 정책을 추진하였다. 여기에는 학습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인권을 강조하는 논의가 뒷받침되었다.
제1장에서는 평생교육의 개념을 규정하기보다는 시대변화의 맥락 안에서 이해하는 데 주목하였다. 제2장에서는 교육의 주체를 교수자와 학습자로 구분하여 양자를 다 드러내는 방식으로 논의하였다. 제3장에서는 현대를 평생학습시대로 호명하고 여기서 평생교육을 소환하는 맥락을 검토하였다. 제4장에서는 평생교육의 미래를 네 가지 양태로 전망하면서 평생교육에 관한 단일화된 논의를 경계하고자 하였다. 제5장에서는 성인기초교육의 관점에서 문해교육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제6장에서는 방계학제가 학력을 보완하는 위치에 있다는 명제를 하나의 쟁점으로 삼아 논의하였다. 제7장에서는 평생학습사회의 양태가 단일하지 않기 때문에 지역주민의 삶의 변화도 단일하지 않다는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제8장은 학습동아리의 활동이 지역발전으로 이어지는 연계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제9장에서는 지역과 함께하는 방식으로 학교교육을 활성화하는 틈새로서 학교평생교육에 대해 논의하였다. 제10장에서는 세상을 바꾸는 힘으로 교육공동체가 작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시민 리더십이 중요하다는 논의를 하였다. 제11장에서는 평생학습마을이 지속 가능성을 가지려면 염두에 두어야 할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제12장에서는 교육이 마을을 살리는 데 기여할 수 있는데, 천천히, 꾸준히, 다 함께가 중요한 화두일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제13장에서는 「평생교육법」 개정이 필요한데 그 방향을 어떻게 잡는 것이 좋은지에 관해 논의하였다.
각 장의 논의는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 아니라 쟁점을 드러내는 방식을 취하였으며, 여기에는 평생교육에 대한 사유를 확대하고 심화하는 것에 대한 기대가 있다.
정보제공 :

목차
머리말 3 제1장 평생교육의 개념 11 Ⅰ. 들어가며 13 Ⅱ. 세계변화와 교육 15 Ⅲ. 교육의 차원들 25 Ⅳ. 나오며 42 제2장 교육의 주체 45 Ⅰ. 주체적 활동으로서의 교육 47 Ⅱ. 교수자의 활동 54 Ⅲ. 학습자의 활동 61 Ⅳ. 교수자와 학습자의 관계 68 제3장 평생학습시대의 평생교육: 재검토 77 Ⅰ. 평생학습시대 이전 79 Ⅱ. 평생학습시대라는 호명 81 Ⅲ. 평생학습시대라고 호명하는 이유 83 Ⅳ. 평생교육 개념의 등장 85 Ⅴ. 인권으로서의 평생교육 참여 87 제4장 평생교육의 미래 전망: 네 가지 양태 91 Ⅰ. ‘평생교육’을 이해하는 방식 93 Ⅱ. 평생교육 담론에서 시대변화를 수용하는 방식 100 Ⅲ. 평생교육의 네 가지 양태 105 Ⅳ. 네 가지 미래 양태 108 Ⅴ. 네 가지 미래 양태의 과제 111 제5장 성인기초·문자해득교육의 쟁점과 과제 117 Ⅰ. 들어가며 119 Ⅱ. 성인기초교육 논의의 역사 : 문해교육을 중심으로 121 Ⅲ. 성인기초교육 논의의 쟁점 127 Ⅳ. 성인기초·문자해득교육의 과제 134 Ⅴ. 나오며 140 제6장 방계학제에 따른 학력보완교육의 쟁점과 과제 143 Ⅰ. 들어가며 145 Ⅱ. 방계학제와 학력보완교육의 개념 146 Ⅲ. 학력보완교육에 관한 논의의 쟁점 157 Ⅳ. 학력보완교육의 과제 163 Ⅴ. 나오며 168 제7장 평생학습사회, 지역주민의 삶의 변화 171 Ⅰ. 평생학습사회의 이중적 의미 173 Ⅱ. 평생학습사회의 이중적 지향 177 Ⅲ. 학습의 의미와 사회의 지향에 따른 지역주민의 삶의 변화 180 Ⅳ. 지역 여건의 조성 186 제8장 학습동아리 활동과 지역발전의 연계 193 Ⅰ. 들어가며 195 Ⅱ. 지역교육연계의 변화 196 Ⅲ. 학습동아리의 성격 변화 200 Ⅳ. 지역발전에서 학습동아리의 위상 204 Ⅴ. 지역발전을 위한 학습동아리 활동의 과제 208 Ⅵ. 나오며 212 제9장 지역과 함께하는 학교평생교육 활성화 215 Ⅰ. 평생교육이란? 217 Ⅱ. 학교평생교육이란? 219 Ⅲ. 지역과 함께하는 학교는? 221 Ⅳ. 학교평생교육이 활성화되면? 223 Ⅴ. 미래를 품은 현재의 혁신 227 제10장 세상을 바꾸는 힘: 교육공동체, 시민리더십 229 Ⅰ. 삶의 질 232 Ⅱ. 삶 전반에 걸친 학습 234 Ⅲ. 교육공동체 240 Ⅳ. 자치와 시민리더십 243 제11장 지속 가능한 평생학습마을을 위한 과제 249 Ⅰ. 지속 가능한 발전의 논의 맥락 251 Ⅱ. 지속 가능한 발전과 평생학습 256 Ⅲ. ‘평생학습마을’의 대두 258 Ⅳ. 마을의 발전을 위한 과제 261 제12장 마을을 살리는 교육 : 천천히, 꾸준히, 다 함께 267 Ⅰ. 천천히 269 Ⅱ. 꾸준히 272 Ⅲ. 다 함께 275 Ⅳ. 더 나은 교육으로 278 제13장 평생교육법 개정의 필요성과 그 방향 281 Ⅰ. 들어가며 283 Ⅱ. 평생교육은 이념인가, 영역인가? 284 Ⅲ. 「초·중등교육법」과 「고등교육법」은 평생교육의 이념을 구현하고 있는가? 285 Ⅳ. 평생교육사를 어떻게 양성할 것인가? 287 Ⅴ. 평생교육기관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289 Ⅵ. 평생교육기관을 어떻게 설립할 것인가? 291 Ⅶ. 국민의 평생학습을 어떻게 지원할 것인가? 292 Ⅷ. 나오며 294 참고문헌 295 찾아보기 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