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의 영화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정동규, 편 김상혁, 편 김수빈, 편
서명 / 저자사항
한국의 영화제 / 정동규, 김상혁, 김수빈 편집
발행사항
서울 :   텍스트 프레스,   2019  
형태사항
275 p. : 삽화 ; 19 cm
총서사항
생활세계 총서 ;1
ISBN
9791196804619 9791196804602 (세트)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06583
005 20220214104107
007 ta
008 220127s2019 ggka 001c kor
020 ▼a 9791196804619 ▼g 14680
020 1 ▼a 9791196804602 (세트)
035 ▼a (KERIS)BIB000015444017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82 0 4 ▼a 791.4309519 ▼2 23
085 ▼a 791.430953 ▼2 DDCK
090 ▼a 791.430953 ▼b 2019z7
245 0 0 ▼a 한국의 영화제 / ▼d 정동규, ▼e 김상혁, ▼e 김수빈 편집
246 1 8 ▼a 한국의 영화제 +82 film festival
260 ▼a 서울 : ▼b 텍스트 프레스, ▼c 2019
300 ▼a 275 p. : ▼b 삽화 ; ▼c 19 cm
490 1 0 ▼a 생활세계 총서 ; ▼v 1
500 ▼a 색인수록
700 1 ▼a 정동규, ▼e
700 1 ▼a 김상혁, ▼e
700 1 ▼a 김수빈, ▼e
830 0 ▼a 생활세계 총서 ; ▼v 1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30953 2019z7 등록번호 11185827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영화제의 이름만 들어봤거나 실제 영화제를 접해보지 못한 사람들을 위한 사전형 책이다. 한국에는 상상 이상으로 많고 다양한 영화제들이 존재한다. 지금 이 순간에도 어디선가는 영화제가 진행되고 있을 정도로 영화제가 많다. <한국의 영화제> 책은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수많은 영화제의 정보를 모아 한 곳에서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웹상에 파편적으로 퍼져있는 정보들을 엮어 만들어졌다.

책은 한국의 159개 영화제, 그리고 한국의 영화제 세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편집자의 시선이 담긴 53개의 어휘들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가나다순으로 나열된, 현재 우리나라에서 열리고 있는 159개 영화제의 가장 기본적인 소개를 통해 각각의 영화제가 지향하고자 하는 방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영화제와 관련된 53개의 어휘를 통해 영화제 세계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용어들을 설명한다.

이 책을 사용하는 데 있어 처음부터 끝까지 차례로 읽는 방법은 책의 구성이 서사적이지 않다는 점에서 추천하고 싶진 않다. 맨 뒤에 수록되어있는 '모아보기'와 '표제어 목록'에서 표제어를 찾아 해당 페이지로 이동해 읽는 방식을 추천한다. 그리고 책을 읽으며 관심가는 개별 영화제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을 홈페이지나 SNS를 통해 확인한다면 훨씬 더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책은 불완전한 책이다. 웹상에 파편적으로 퍼져있는 정보들을 자의적으로 엮어 이야기를 구성했기 때문에, 그리고 편집자 3명의 관점에서 모든 내용들이 결정된 만큼 159개 영화제의 소개글과 53개의 어휘들에 대한 설명이 영화제 세계 전체를 대변할 수 없고 또 대표할 수 없다는 점을 상기시키고자 한다. 앞으로 이 책은 우리의 지식과 인식이 축적되는 만큼 새롭게 개정되어 출간될 예정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정동규(지은이)

텍스트 프레스 운영자, 디자이너이자 미학도. 전북대학교에서 에너지공학과 사회학을 공부했고, 디자인 대안학교 디학에서 1년간 디자인을 배웠다. 기어이 바깥으로 나갈 수 있는 인간의 감수성과 그것을 추동하는 존재의 힘을 지금의 미학적 문제로 삼고 있다. 당장의 질문에 응답하는 예술, 도래할 세계를 요청하고 끌어오는 예술, 새로운 시공을 향한 동세가 기입된 예술에 대해 생각하며 글을 쓰기도 한다.

김상혁(지은이)

화학부터 국악까지, 패션부터 디제잉까지 여러 문화를 탐구하고 있다. 글쓰기와 사진을 중심으로 세계관을 전개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개인의 창조적 태도와 재구성을 주제로 사진 전시와 공간을 준비하고 있다.

김수빈(지은이)

다양한 사람과의 만남, 진정성 있는 소통, 선한 영향력에 관심을 둔다. 전주 야시장 어르신 상인들과 함께한 마케팅 프로젝트 [노풍당당!]과 같은 지역의 크고 작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활동을 지속해나가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들어가며

지금, 한국의 영화제
어휘들: 설명과 제안

월별, 지역별 영화제 모아보기
표제어 목록

관련분야 신착자료

프로파간다 (2022)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영화와의사소통연구회 (2022)
국가기록원. 서비스정책과 (2022)
Duras, Marguerite (2022)
四方田太彦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