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6580 | |
005 | 20220214102626 | |
007 | ta | |
008 | 220127s2019 ulka AA 001c kor | |
020 | ▼a 9788971077573 ▼g 03680 | |
035 | ▼a (KERIS)BIB000015393927 | |
040 | ▼a 222003 ▼c 222003 ▼d 211009 | |
082 | 0 4 | ▼a 791.43 ▼2 23 |
085 | ▼a 791.43 ▼2 DDCK | |
090 | ▼a 791.43 ▼b 2019z4 | |
100 | 1 | ▼a 배상준, ▼g 裵相俊, ▼d 1969- ▼0 AUTH(211009)14362 |
245 | 1 0 | ▼a 영화학 개론 = ▼x Introduction to film / ▼d 배상준 지음 |
260 | ▼a 서울 : ▼b 건국대학교출판부, ▼c 2019 ▼g (2021 2쇄) | |
300 | ▼a 267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색인수록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91.43 2019z4 | Accession No. 11185827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영화란 무엇인가라는 오래된 질문보다는, 영화와 소통하는 데 필요한 10가지 항목만을 간추렸다. 영화학의 원론적인 정신을 잃지 않으면서도, 우리가 극장 문을 나서면서 던질 수 있는 실용적인 질문들에 방향을 제시하려 노력했다. 이를 위해 영화사적으로 중요한 외화들뿐만 아니라, 우리에게 친숙한 한국 영화 사례들도 소개했다.
영화보다는 영상이, 극장보다는 스마트폰이, 감독보다는 유튜버가 미디어 정신을 주도하고 있는 지금, 영화가 본래 가졌던 인문학적 통찰력과 심미안을 점차 외면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에 이 책을 썼다. UCC건 유튜브 영상이건 간에, 현실을 재현한 움직이는 이미지란 시대정신과 문화 그리고 그 속에 사는 인간(의 삶)을 다루기 마련이며, 그렇다면 능동적인 보기와 적극적인 의미부여 그리고 새로운 사고의 틀이 필요한 것은 매한가지다.
이 책에서는 영화란 무엇인가라는 오래된 질문보다는, 영화와 소통하는 데 필요한 10가지 항목만을 간추렸다. 영화학의 원론적인 정신을 잃지 않으면서도, 우리가 극장 문을 나서면서 던질 수 있는 실용적인 질문들에 방향을 제시하려 노력했다. 이를 위해 영화사적으로 중요한 외화들뿐만 아니라, 우리에게 친숙한 한국 영화 사례들도 소개했다. 총 10개의 장은 물론 유기적 관계를 고려해서 구성되었으나, 독자의 관심사에 따라 독립적으로 읽어도 무방하리라 생각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배상준(지은이)
건국대학교 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의 마부르크 필립스대학교 미디어학과에서 뉴 저먼 시네마의 거장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에 관한 연구로 영화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6년부터 10년간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유럽의 작가영화와 영화이론, 장르영화, 이미지와 미장센 등이 주요 연구 분야로 다수의 관련 논문과 저서가 있다. 저서 『미장센』(2016), 『작가영화』(2016), 『장르영화』(2015), 『영상과 상호 미디어성』(2013), 『영상 이론과 실제』(2012), 『유럽 애니메이션 대표작가 24인』(2006) 등 논문 「<그래비티> - 사실주의적 SF 영화의 형식주의적 해석」(2017), 「짐 자무쉬의 장르유희 - <데드 맨>(1995)과 <고스트 독>(1999)을 중심으로」(2016), 「한국의 다문화 영화 ? 장르적 접근」(2015), 「SF 영화의 다문화(주의)적 시선-<디스트릭트 9>」(2014), 「<도가니>와 <부러진 화살> - 사회고발 매체로서의 법정영화」(2013) 등

Table of Contents
머리말·4 CHAPTER 01 영화의 탄생/11 영화의 기원_12 최초의 영화들_17 영화 탄생의 배경_20 종합예술로서의 영화_30 CHAPTER 02 영화의 제작/37 영화의 제작 환경_38 영화의 제작 단계_40 제작의 세 가지 단계_41 배급과 상영_57 CHAPTER 03 영화의 시나리오/63 시나리오_64 시나리오 작가_66 시나리오의 3장 구조_69 이야기의 시간 구조_75 좋은 이야기의 요건_76 스토리텔링 장치들_79 CHAPTER 04 영화의 스타일과 카메라/85 영화의 스타일_87 카메라와 숏_98 CHAPTER 05 영화의 편집/111 편집의 두 가지 측면_112 고전적 편집_113 몽타주_121 CHAPTER 06 영화의 사운드/131 영화 속 사운드_132 대사_138 음향효과_142 영화음악_145 CHAPTER 07 영화의 연기/151 영화 연기의 유형_152 영화 연기와 연극 연기_157 메소드 액팅_160 연기자 유형과 스타 시스템_163 CHAPTER 08 영화의 장르/169 장르의 개념과 문법_170 웨스턴_174 뮤지컬_177 갱스터_180 필름 누아르_186 다큐멘터리_190 그 밖의 장르들_196 CHAPTER 09 영화의 역사/199 미국영화의 고전주의_200 독일의 표현주의_202 유럽의 전위영화_205 이탈리아의 네오리얼리즘_209 프랑스의 누벨바그_212 제3세계의 영화_216 독일의 뉴 저먼 시네마_219 할리우드와 영화산업_224 CHAPTER 10 영화이론/229 고전적 영화이론_231 작가주의_238 모더니즘의 영화이론_243 찾아보기·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