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6406 | |
005 | 20220210092514 | |
007 | ta | |
008 | 220126s2021 ggk 000 kor | |
020 | ▼a 9788984689077 ▼g 93360 | |
035 | ▼a (KERIS)BIB000015832966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82 | 0 4 | ▼a 342 ▼2 23 |
085 | ▼a 342 ▼2 DDCK | |
090 | ▼a 342 ▼b 2021z5 | |
100 | 1 | ▼a 홍승철 |
245 | 1 0 | ▼a 헌법의 기초이론 : ▼b 경찰등 각종 공무원 시험 대비 / ▼d 홍승철 著 |
260 | ▼a 파주 : ▼b 21세기사, ▼c 2021 | |
300 | ▼a 314 p. ; ▼c 26 cm | |
536 | ▼a 선린대학교 학술연구비의 보조로 출간됨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Books/B1)/ | Call Number 342 2021z5 | Accession No. 11185810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헌법공부에 입문하는 수험생에게 헌법학습의 부담을 덜어주는 차원에서, 상당히 평범한 문장으로 서술을 전개하였다. 그런 맥락에서 우선 핵심적인 헌법의 기초이론을 간략하게 정리하여 소개하고, 판례와 기출문제에서는 어색한 문맥의 의미를 국어표현에 맞게 수정하면서 정리했음을 밝혀둔다.
헌법은 대한민국의 법 가운데 최고의 기본법이다. 그러므로 헌법은 국가의 조직과 통치원리, 그리고 국민의 기본권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헌법은 모든 법규범의 입법기준이 되며, 동시에 법령해석의 근간이 된다.
현대국가에서 자본주의의 발전에 따른 모순의 극복을 위하여 국가의 역할이 증대되면서 사회국가 내지 복지국가의 비중이 강조될수록 헌법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 특히, 국민의 공복으로 봉사하는 모든 공무원에게 있어 국가공동생활이나 정치적 법률관계에 대한 올바른 판단과 직무수행은 헌법에 대한 지식에서 비롯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충분히 감안하여 집필한 본 교재는 헌법공부에 입문하는 수험생에게 헌법학습의 부담을 덜어주는 차원에서, 상당히 평범한 문장으로 서술을 전개하였다. 그런 맥락에서 우선 핵심적인 헌법의 기초이론을 간략하게 정리하여 소개하고, 판례와 기출문제에서는 어색한 문맥의 의미를 국어표현에 맞게 수정하면서 정리했음을 밝혀둔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PART 1 헌법의 기초이론 제1장_ 헌법의 개념과 분류 Ⅰ. 헌법의 의의 Ⅱ. 헌법의 개념 Ⅲ. 헌법의 특성과 기능 Ⅳ. 헌법의 분류 제2장_ 헌법의 제정·개정과 변천 Ⅰ. 헌법의 제정과 헌법제정권력 Ⅱ. 헌법의 개정과 헌법개정권력 Ⅲ. 헌법변천의 의의 제3장_ 헌법의 수호 Ⅰ. 의의 Ⅱ. 헌법수호제도 Ⅲ. 국가긴급권 Ⅳ. 저항권 Ⅴ. 방어적 민주주의 제4장_ 헌법의 변천 Ⅰ. 헌법변천의 의의 Ⅱ. 헌법변천의 과정 Ⅲ. 헌법변천의 유형 Ⅳ. 헌법변천의 실제사례 Ⅴ. 헌법변천에 대한 평가 객관식문제 PART 2 대한민국 헌정사와 헌법의 기본원리와 질서 제1장_ 대한민국헌법의 제정과 개정 Ⅰ. 헌법의 제정과정 Ⅱ. 대한민국 헌법의 변천사 제2장_ 한국헌법의 기본원리와 기본질서 Ⅰ. 헌법의 기본원리와 헌법전문 Ⅱ. 우리 헌법의 기본원리 Ⅲ. 헌법의 기본질서 제3장_ 헌법의 기본제도 Ⅰ. 한국헌법과 제도 보장 Ⅱ. 정당제도 Ⅲ. 선거제도 Ⅳ. 공무원제도 Ⅴ. 지방자치제도 Ⅵ. 군사제도 Ⅶ. 교육제도 Ⅷ. 가족제도 객관식문제 PART 3 기본권 제1장_ 기본권 총론 Ⅰ. 기본권의 의의 Ⅱ. 기본권의 전개과정 객관식문제 제2장_ 인간의 존엄성존중·행복추구권 Ⅰ. 서설 Ⅱ. 인간의 존엄과 가치의 의의 Ⅲ. 연혁과 입법사례 Ⅳ. 헌법 제10조의 법적 성질 Ⅴ. 적용범위 Ⅵ. 인간존엄성존중의 수단 Ⅶ. 인간의 존엄성존중의 법적 효력 Ⅷ. 인간의 존엄성존중과 다른 기본권의 관계 제3장_ 평등의 원칙과 평등권(법 앞의 평등) Ⅰ. 평등사상의 형성과 현대적 의미 Ⅱ. 평등사상의 의의와 내용 Ⅲ. 평등권의 법적 성질 Ⅳ. 헌법상 평등권 제4장_ 자유권적 기본권 Ⅰ. 의의 Ⅱ. 성질 Ⅲ. 생명권 Ⅳ. 신체를 훼손하지 아니할 권리. Ⅴ. 신체의 자유권 Ⅵ. 사생활자유권 Ⅶ. 정신적 자유권 제5장_ 경제적 기본권 제6장_ 정치적 기본권 Ⅰ. 의의 Ⅱ. 참정권 제7장_ 청구권적 기본권 Ⅰ. 의의 Ⅱ. 청원권 Ⅲ. 재판청구권 Ⅳ. 국가배상청구권 Ⅴ. 손실보상청구권 Ⅵ. 형사보상청구권 Ⅶ.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 제8장_ 사회적 기본권(복지주의 기본권) 제9장_ 국민의 기본의무 객관식문제 PART 4 통치구조이론 제1장_ 통치구조의 원리 Ⅰ. 권력분립의 원리 제2장_ 정부형태 Ⅰ. 정부형태의 의의 Ⅱ. 대통령제 Ⅲ. 의원내각제 Ⅳ. 이원정부제 Ⅴ. 의회제정부형태 Ⅵ. 우리나라의 정부형태 제3장_ 국회 Ⅰ. 국회의 지위 Ⅱ. 국회의 구성 Ⅲ. 국회의 운영 Ⅳ. 국회의 권한 Ⅴ. 국회의원의 지위 제4장_ 행정부(대통령과 정부) Ⅰ. 대통령 Ⅱ. 행정부 Ⅲ. 행정각부 Ⅳ. 감사원 Ⅴ. 선거관리위원회 제5장_ 법원 Ⅰ. 사법권 Ⅱ. 사법권의 독립 Ⅲ. 법원의 조직 Ⅳ. 법관의 자격과 임명 Ⅴ. 법원의 명령심사권 Ⅵ. 재판의 공개주의 제6장_ 헌법재판소와 헌법보장 Ⅰ. 헌법재판소의 지위 Ⅱ. 헌법재판소의 권한 객관식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