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중/일) 영화 속 근대 조선의 풍경 : 사람/장소/흔적들

(한/중/일) 영화 속 근대 조선의 풍경 : 사람/장소/흔적들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임그루, 저 책사, 저 신여성, 저 자영업, 저
단체저자명
차이나는무비
서명 / 저자사항
(한/중/일) 영화 속 근대 조선의 풍경 : 사람/장소/흔적들 / 차이나는무비 지음
발행사항
하남 :   박이정,   2021  
형태사항
285 p. : 천연색삽화 ; 22 cm
ISBN
9791158486679
일반주기
차이나는무비: 임그루, 책사, 신여성, 자영업  
일반주제명
영화사(역사)[映畵史]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06256
005 20220127131413
007 ta
008 220125s2021 ggka 000c kor
020 ▼a 9791158486679 ▼g 03680
035 ▼a (KERIS)BIB000016028228
040 ▼a 211032 ▼d 211032 ▼c 211009 ▼d 211009
082 0 4 ▼a 791.4309519 ▼2 23
085 ▼a 791.430953 ▼2 DDCK
090 ▼a 791.430953 ▼b 2021z3
110 ▼a 차이나는무비
245 2 0 ▼a (한/중/일) 영화 속 근대 조선의 풍경 : ▼b 사람/장소/흔적들 / ▼d 차이나는무비 지음
260 ▼a 하남 : ▼b 박이정, ▼c 2021
300 ▼a 285 p. : ▼b 천연색삽화 ; ▼c 22 cm
500 ▼a 차이나는무비: 임그루, 책사, 신여성, 자영업
650 8 ▼a 영화사(역사)[映畵史]
700 0 ▼a 임그루, ▼e
700 0 ▼a 책사, ▼e
700 0 ▼a 신여성, ▼e
700 0 ▼a 자영업, ▼e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30953 2021z3 등록번호 1118584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91.430953 2021z3 등록번호 1513581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30953 2021z3 등록번호 1118584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91.430953 2021z3 등록번호 1513581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크로스 인문학적 관점에서 영화 속 조선의 근대 풍경을 거닐어 보며, 사람, 장소, 흔적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통해 영화 속 조선의 이미지와 인물, 역사적 에피소드를 소개한다. 책의 내용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다. 1장는 구한말 폭정과 가난을 피해 이주가 시작된 조선인 디아스포라들의 삶과 일제강점기 조선인과 고려인들의 항일운동과 고단했던 삶을 조명한다.

2장는 식민과 분단, 전쟁과 이산으로 고통을 당해야 했던 개인들의 삶에 주목한다. 3장에서는 본격적인 산업화가 추진되면서 가난한 노동자와 무고한 시민들이 독재정권과 거대 기업에게 억압과 착취를 당했던 역사를 다룬다. 4장에서는 DMZ라는 분 단 공간을 사이에 두고 70년에 걸쳐 쌓여온 남북의 세월과 아픔, 다시 하나가 되기 위해 고민해야 할 부분들을 영화를 통해 성찰해본다.

크로스 인문학적 관점에서 영화 속 조선의 근대 풍경을 거닐어 보며,
사람, 장소, 흔적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통해 영화 속 조선의 이미지와 인물, 역사적 에피소드를 소개함.
책의 내용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다. 1장는 구한말 폭정과 가난을 피해 이주가 시작된 조선인 디아스포라들의 삶과 일제강점기 조 선인과 고려인들의 항 일운동과 고단했던 삶을 조명한 다. 2장는 식민과 분단, 전쟁과 이산으로 고통을 당해야 했던 개인들의 삶에 주목한다. 시인, 성악가, 화가 등 예술인들의 모던 경성 시절과 일본 유학시절, 독립운동 등의 궤적을 실제 역사적 장소와 작품, 생애 등을 통해 살펴본다. 어린 나이에 일본군에 끌려가 모진 삶을 살아야 했던 위안부 여성들의 역사와 한을 조명하는 영화들을 통해 청산되지 않은 한-일 간의 역사 문제를 짚어본다.
3장에서는 본격적인 산업화가 추진되면서 가난한 노동자와 무고한 시민들이 독재정권과 거대 기업에게 억압과 착취를 당했던 역사를 다룬다.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영화 속에서 사건의 해결과 남겨진 문제, 역사 속 인물들의 현재, 노동자들의 희생과 분노 등을 통해 아직 한국의 근대가 미완의 공간에 놓여 있음을 확 인한다. 4장에서는 DMZ라는 분 단 공간을 사이에 두고 70년에 걸쳐 쌓여온 남북의 세월과 아픔, 다시 하나가 되기 위해 고민해야 할 부분들을 영화를 통해 성찰해본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차이나는무비(지은이)

한·중·일 영화 속에 나타난 역사와 문학, 예술과 인물을 탐구하는 모임으로 동명의 팟캐스 트를 운영하고 있다. 문화콘텐츠비평가, 출판전문가, 방 송작가, 중국동포 유학생 청년이 함께 모여 4인 4색으로 각자의 관점에서 영화를 탐색하는 모임이다. 현재 네이 버오디오클립, 팟빵, 팟티 등에 연재 중이며, 이외에도 마포도서관, 동네서점, 중국영화상영관 등과 함께 다양 한 영화토크를 진행한 바 있다. ○ 임그루(꿈꾸미) 문화콘텐츠비평가. 중국영화와 아시아대중문화의 초국 적 교류, 문화정체성과 스토리텔링에 관심을 갖고 공부 하고 번역하고 강의하는 일을 한다. 팟캐스트에서 이루 고 싶은 꿈이 많아 잠도 많은 ‘꿈꾸미’로 활동 중이다, ○ 책사 출판전문가. 대학 졸업 후, 책 만드는 일이 좋아 출판사 에 입사했다. 이후 20여 년이 넘게 책을 기획하고 만들 어왔으며 현재도 편집자로서 더 나은 책을 내기 위해 노 력하고 있다. 팟캐스트에서 책을 사랑하는 여자, ‘책사’로 활동 중이다. ○ 신여성 방송작가. TV 교양다큐멘터리 작가로 활동하면서 400여 편의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집필했다. 문화콘텐츠학박사 학위 취득 후 뉴미디어와 디지털콘텐츠, 메타버스를 연 구하고 강의한다. 팟캐스트에서 지갑은 텅 비었지만 지 식은 충만한 ‘신여성’으로 활동 중이다. ○ 자영업 중국 심양(瀋陽) 태생 유학생. 윤동주에 심취해 그의 후 예가 되겠다는 일념으로, 국경 넘어 공부하러 왔다. 학업 외에 절대적 환대와 코스모폴리탄을 꿈꾸며, 이주민 인 권 옹호 활동을 하고 있다. 팟캐스트에서 ‘자’막 달린 중 국 ‘영’화가 필요 ‘없’는 ‘자영업’으로 활동 중이다. ·팟빵 http://www.podbbang.com/ch/13254 ·오디오클립 https://audioclip.naver.com/channels/2886 ·팟티 https://www.podt y.me/cast/182234

정보제공 : Aladin

목차

프롤로그

1장. 외롭고 높고 쓸쓸한 식민의 시간
#1. 빼앗긴 조국, 이산의 조선인들
〈말모이〉 (엄유나감독, 2018)
〈명자아끼꼬쏘냐〉 (이장호감독, 1992)
#2. 제국의 히스테리와 독립의 꿈
〈봉오동전투〉 (원신연감독, 2019)
〈암살〉 (최동훈감독, 2015)
〈밀정〉 (김지운감독, 2016)

2장. 내 정은 청산이요 임의 정은 녹수로다
#3. 떠나온 고향, 영원한 그리움
〈동주〉 (이준익감독, 2015)
〈이중섭의 아내〉 (사카이 아츠코감독, 2014)
#4. 금지된 사랑, 금지된 시선들
〈사의 찬미〉 (김호선감독, 1991)
〈미몽〉 (양주남감독, 1936)
#5. 잃어버린 소녀의 꿈
〈귀향〉 (조정래감독, 2015)
〈22〉 (궈커감독, 2015)
〈주전장〉 (미키 데자키감독, 2018)

3장. 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
#6. 전쟁의 상처와 트라우마
〈하얀 전쟁〉 (정지영감독, 1992)
〈지슬〉 (오멸감독, 2012)
#7. 공장의 불빛과 죽음의 그림자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박광수감독, 1995)
〈위로공단〉 (임흥순감독, 2014)
#8.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택시운전사〉 (장훈감독, 2017)
〈박하사탕〉 (이창동감독, 1999)
〈김군〉 (강상우감독, 2018)
〈1987〉 (장준환감독, 2017)

4장. 미완의 근대, 남겨진 과제들
#9. 서울에서 평양까지 택시요금 5만원
〈송환〉 (김동원감독, 2003)
〈강철비〉 (양우석감독, 2017)

프롤로그
별책부록 : 〈길 위의 인문학 드레싱〉
‘차이나는무비플러스’와 떠나는 영화 속 테마기행
〈윤동주 로드〉 (연변 명동촌- 부암동 문학관-교토 릿쿄대)
〈이중섭 로드〉 (원산-도쿄-부산항-제주 이중섭거리)
〈이상의 공간들〉 (종로 통인동 이상의집 - 제비다방)
〈전태일 로드〉 (서울 평화시장-청계천 기념관)
〈판문점 로드〉 (파주시 캠프 그리브스-판문점-도라산역)

관련분야 신착자료

정서경 (2023)
이도훈 (2023)
한국영화학회 (2022)
宇野常寛 (2022)
프로파간다 (2022)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영화와의사소통연구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