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6231 | |
005 | 20220203171725 | |
007 | ta | |
008 | 220125s2021 ulka 000c kor | |
020 | ▼a 9791138805155 ▼g 038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895.785 ▼2 23 |
085 | ▼a 897.87 ▼2 DDCK | |
090 | ▼a 897.87 ▼b 재천 자 | |
100 | 0 | ▼a 재천 |
245 | 1 0 | ▼a 자네, 어디로 가고 있나 / ▼d 재천 지음 |
260 | ▼a 서울 : ▼b 좋은땅, ▼c 2021 | |
300 | ▼a 229 p. : ▼b 천연색삽화 ; ▼c 22 cm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97.87 재천 자 | Accession No. 11185809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글의 시작은 해인사 승가대학에 입방 후 동안거를 앞두고 무엇을 할까 고민하던 중, 우연히 어느 스님의 <금강경>을 접하게 되었다. 그 경을 보고 더욱 맛나게 기획, 편집하며 평생 공부로 삼아야겠다고 생각하여 글을 쓰기 시작했다.
주로 경전이나 불교 관련 서적을 인용하였는데 다소 어려울 수 있는 내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다양한 형식을 빌려 쓰고 있다. 시의 형식을 빌린 곳도 있고 길게 풀어서 쓴 곳도 있다. 어려운 한자나 생소한 단어들에는 저자의 해석을 추가해 놓았다. 중간중간 사진을 함께 실어 생동감 있게 볼 수 있다.
늘 있는 듯 없고, 없는 듯 있는 것이
시방 법계(十方 法界)의 주인이 되어
인연 닿을 때마다 모르는 것이 없더라.
보이면 보는 것이 나이고
들리면 듣는 것이 나이지
그 외 다른 것은 하나도 없더라.
닿는 곳마다 하나 되니
분별이 끊어지고
미움도 사라지고
시비가 본래 없더라.
딸꾹질이 자기도 모르게 멈추듯,
일체중생이 하루빨리 모든 고통에서 벗어나
해탈 성불하기를 발원하며.
이 책은 『금강경』과 편지글을 항상 지니고 다니며 부처님의 말씀을 전달하던 중, 주위 사람들이 저자의 글을 보고 책으로 엮으면 좋겠다고 하여 정리하여 엮은 글이다.
글의 시작은 해인사 승가대학에 입방하였던 때이다. 입방 후 동안거를 앞두고 무엇을 할까 고민하던 중, 우연히 어느 스님의 『금강경』을 접하게 되었다. 그 경을 보고 더욱 맛나게 기획, 편집하며 평생 공부로 삼아야겠다고 생각하여 글을 쓰기 시작한 것이다.
이 책은 주로 경전이나 불교 관련 서적을 인용하였는데 다소 어려울 수 있는 내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다양한 형식을 빌려 쓰고 있다. 시의 형식을 빌린 곳도 있고 길게 풀어서 쓴 곳도 있다. 어려운 한자나 생소한 단어들에는 저자의 해석을 추가해 놓았다. 중간중간 사진을 함께 실어 생동감 있게 볼 수 있다.
저자는 이 책과 인연 닿은 분들이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데 미약하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썼다고 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재천(지은이)
출가 전, 하는 일마다 내 뜻대로 되지 않아 ‘앞으로 약 10년 동안 불법승 삼보에 귀의하여 정말 열심히 살겠다.’라고 굳은 다짐을 하고 절에 다니기 시작한 날이 2003년 2월 24일이었다. 천일 회향을 약 100일 남겨 두고 그 절의 비구니 스님이 “처사님 대장부가 어떤 사람인지 아세요?”라고 물으시길래 “잘 모르겠습니다.”라고 대답했더니 “대장부란 돈이 많은 재벌 회장도 아니고 권력이 높은 대통령도 아닙니다. 출가해서 도를 구하는 수행자야말로 진정한 대장부입니다.”라는 그 소리에 모든 인연을 뒤로하고 2006년 7월 26일 해인사로 출가했다. 고향은 청송이다. 해인사 행자 생활 32기 해인사 승가대학 51기 졸업 서울 동국대 불교학과 졸업 동 대학원 선학과 석사 수료 현재 진주 여래사에서 은사 스님을 모시고 있다.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작가의 말 제1부 내 곁에 바람을 멈춰 세우고 인연(因緣) 촉(觸), 닿다 어디 갔노 봄 안팎이 본래 없다 공(空) 꽃망울 도량 청소 자취 없는 발자국 들꽃 아름다운 인연 금과옥조 같은 소중한 인연 당신은 지금 즐거우십니까? 우물 제2부 영원의 이해 영원한 사랑 주인인 당신이 왜 하인으로 삽니까? 어찌할 수 없네 이불병좌(二佛幷坐) 무적도(無蹟盜) 봉정암 가는 길 연꽃 사랑 연꽃의 일생(사진) 연생무생(緣生無生) 진품과 짝퉁 환즉실재(幻卽實在) 좁쌀도 꽃을 피워 열매를 맺는다 그놈 죽은 소에게 풀을 먹이다 오뚝이(노래 가사) 헛걸음 제3부 중(僧) 머리 시린 날 차 한잔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사건은 무엇일까? 대자유 한길 몸속에서 피는 꽃 낙엽 무서운 농담 오빠야 진짜가 내가 나(오취온)를 버릴 때 참 ‘나’는 드러난다 본래 그 자리 나무젓가락 일미진중함시방(一微塵中含十方) 콩나물시루 황금시간 목단 내가 나를 벗다 부처님 오신 날 생각과 자각 나머지 반년과 남은 인생을 위하여 제4부 생겨남으로 소멸되는 존재와 무 청정법신 비로자나불 마주할 때 드러난다 어리석은 자는 모르리 인과는 분명하지만 그 실체는 없다 빈손 왕래 가장 아름다운 소통은 칭찬이다 희망 소나무가 좋다 관솔탑 4층 탑의 원리 놓아라 놓아 방편이 곧 진실이다 망상(妄想) 나의 연못에 핀 연꽃은 내 것이다 제5부 편지글과 카톡(문자)으로 보낸 긴 글 『금강경』과 인연 되는 고귀한 당신께 부처의 종자 여름은 어디로 갔는가 수어불이(水魚不二) 아름다운 문자(文字) 매일 씻는 쌀알만큼 중생을 구제하겠다 처음과 끝 살 말고 아상(我想)을 빼라 내 안의 중생을 제도하라 내가 지은 복은 반드시 내가 받는다 인과(因果)는 수학공식보다도 더 정확하다 죄(罪)의 자성이 본래 공하다 거룩한 침묵(沈默) 시간의 기원 천상의 옷 단풍이 피기까지 우주의 주인 어버이날을 축하하며 온 곳 없이 생겼다가 간 곳 없이 사라진다 무엇이 걱정인가 꿈 깰 시간이 그리 많지 않다 생사가 본래 없다 솥 속에 넣어진 꽃게 이 세계는 누가 만든 것인가 해인사 용맹정진 괴로움의 종식 12월 3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