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6154 | |
005 | 20220127170442 | |
007 | ta | |
008 | 220125s2021 ulka b 001c kor | |
020 | ▼a 9791163282280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5940386 | |
040 | ▼a 211046 ▼c 211046 ▼d 211009 | |
082 | 0 4 | ▼a 375 ▼2 23 |
085 | ▼a 375 ▼2 DDCK | |
090 | ▼a 375 ▼b 2021z8 | |
100 | 1 | ▼a 오만록, ▼g 吳萬祿, ▼d 1959- ▼0 AUTH(211009)71956 |
245 | 1 0 | ▼a 교육과정론 = ▼x Curriculum theory & practice / ▼d 오만록 저 |
246 | 3 1 | ▼a Curriculum theory and practice |
250 | ▼a 제6판 | |
260 | ▼a 서울 : ▼b 동문사, ▼c 2021 | |
300 | ▼a 441 p. : ▼b 삽화 ; ▼c 27 cm | |
504 | ▼a 참고문헌(p. 426-437)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5 2021z8 | 등록번호 1118580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교육학의 다양한 분야 중에서 교육과정(curriculum)은 가장 중핵적인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교육의 본질이 인간의 성장.발달을 돕는 데 있는 만큼 이러한 조력활동이 체계적으로 실행되는 데 필요한 일련의 교육활동 전반의 운영(개발.실행.평가)에 관한 계획 및 실천에 관한 설계도가 바로 교육과정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교육과정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과 이론들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이들 간의 유기적 관련성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에 대하여 심도 있게 논의하면서, 그 하위영역인 교육과정의 개발?실행?평가를 상호 유기적으로 관련지어 탐색하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오만록(지은이)
․ website : www.welfare5.com ․ e-mail : mloh6302@naver.com [약 력] 한양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졸업(문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과정 졸업(문학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과정 졸업(교육학박사) 고려대학교, 광주교육대학교, 조선대학교 강사 1991년 2016년, 동신대학교 교육학 교수 2017년 현재, 광주교육대학교 학부 및 대학원 외래교수 [주요 저서 및 논문] 학업성취의 누적경험이 정의적 특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1984,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교육학개론(1991, 형설출판사), 교육학의 학문적 발전과정과 성격에 관한 고찰(1991), 교사교육론(1993, 학지사), 교육과정 운영의 지역화 방안(1993), 인간과 교육(1994, 형설출판사), 학교교육의 이론과 실제(1995, 형설출판사), 가정과 교육론(1998, 학지사), 구성주의에 근거한 문제중심 학습(PBL)이 학업성취와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1999,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교육의 이해(2000, 형설출판사), 교수-학습의 이론적 탐색(2001, 원미사), 신세대를 위한 교육학개론(2001, 학지사),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2002, 교육과학사), 생활지도와 진로개발(2005, 교육과학사), 현대교수학습의 이해(2007, 학지사), 교육심리학(2008, 교육과학사), 교육사회학(2009, 동문사), 교육의 이해(2010, 학지사), 생활지도 및 상담(2011, 정민사),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2012, 문음사),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2015, 정민사), 교육사회학(2015, 정민사), 교육심리탐구(2017, 동문사), 생활지도 ․ 상담 이론과 실제(2017, 정민사) 등

목차
PART I 교육과정의 기초이론 CHAPTER 01 교육과정의 본질 1. 교육과정의 의미 1) 일반적 의미 2) 어원적 의미 3) 사상적 배경에 따른 의미 4) 개념모형에 따른 의미 2. 교육과정의 성격 1) 포괄성 2) 수단성 3) 사회성 4) 개별화 5) 생활중심성 6) 통합화 7) 지역화 8) 가변성 9) 민주화(자율화) 10) 과학화 3. 교육과정의 구성요소 1) 교육과정 구성요소의 의미 2) 교육과정 구성요소 간의 관계 CHAPTER 02 교육과정의 이론모형 1. 접근방법에 따른 이론모형 1) 목표중심 모형 2) 내용중심 모형 2. 파이나(Pinar)가 분류한 이론모형 1) 전통주의(traditionalism) 2) 개념적 경험주의(conceptual-empiricism) 3) 재개념주의(reconceptualism) 3. 슈버트(Schubert)가 분류한 이론모형 1) 경험 ㆍ 분석적 패러다임 2) 해석학적 패러다임 3) 비판적 패러다임 4. 아이즈너(Eisner) 등이 분류한 이론모형 1) 학문적 합리주의 교육과정 2) 인지개발에 중점을 두는 교육과정 3) 개인적 적절성을 강조하는 교육과정 4) 사회적응과 개조를 강조하는 교육과정 5) 공학으로서의 교육과정 5. 크리바드(Kliebard)가 분류한 이론모형 1) 인문주의적 관점 2) 사회적 효율성을 추구하는 관점 3) 아동중심주의적 관점 4) 사회개혁적 관점 CHAPTER 03 교육과정의 유형 1. 교과중심 교육과정 1) 의 미 2) 특 징 3) 유 형 4) 장단점 2. 경험중심 교육과정 1) 의 미 2) 특 징 3) 유 형 4) 장단점 3. 중핵 교육과정 1) 의 미 2) 특 징 3) 유 형 4) 장단점 4. 학문중심 교육과정 1) 의 미 2) 특 징 3) 장단점 5. 인간중심 교육과정 1) 의 미 2) 특 징 3) 유 형 4) 장단점 6. 영 교육과정 1) 의 미 2) 실 례 7. 표면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 1) 표면적 교육과정 2) 잠재적 교육과정 3) 표면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 비교 PART II 교육과정의 운영 CHAPTER 04 교육과정의 개발 1. 교육과정 개발의 의미와 수준 95 1) 교육과정 개발의 의미 2) 교육과정 개발의 수준 2. 교육과정 개발모형들 1) 전통적 교육과정 개발모형: 합리적 모형, 목표중심 모형 2) 순환적 교육과정 개발모형 3) 실제적 교육과정 개발모형 4) 비체계적 교육과정 개발모형 5) 기타 교육과정 개발모형 6) 역행 교육과정 개발모형 7)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발의 일반모형 3. 교육과정 개발절차 1) 요구사정 2) 교육과정 설계 CHAPTER 05 교육과정의 실행 1. 교육과정 실행의 의미와 접근방법 1) 교육과정 실행의 의미 2) 교육과정 실행의 접근방법 2. 교육과정 실행의 원리와 영향요인 1) 교육과정 실행의 원리 2) 교육과정 실행의 영향요인 3. 교사에 의한 교육과정 재구성: 통합교육과정 운영 1) 통합교육과정의 유형 2) 학교수준 통합교육과정 운영 CHAPTER 06 교육과정의 평가 1. 교육평가의 기초 1) 교육평가의 발달 2) 교육평가의 의미 3) 교육평가의 목적 4) 교육평가의 기능 5) 교육평가의 영역 2. 교육과정평가 1) 교육과정평가의 의미 2) 교육과정평가의 목적 3) 교육과정평가의 모형 3. 수업평가 1) 수업평가의 유형 2) 수업평가의 절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