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6121 | |
005 | 20231201165141 | |
007 | ta | |
008 | 220125s2021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99723964 ▼g 9318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616.89/14 ▼2 23 |
085 | ▼a 616.8914 ▼2 DDCK | |
090 | ▼a 616.8914 ▼b 2021z16 | |
100 | 1 | ▼a Dryden, Windy, ▼d 1950- ▼0 AUTH(211009)159264 |
245 | 1 0 | ▼a 단일회기 치료 : ▼b 100가지 핵심 기법 / ▼d Windy Dryden 저 ; ▼e 김소라, ▼e 전희정 공역 |
246 | 1 9 | ▼a Single-session therapy (SST) : ▼b 100 key points and techniques |
246 | 3 9 | ▼a SST : ▼b One hundred points and techniques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21 | |
300 | ▼a 413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399-410)과 색인수록 | |
650 | 0 | ▼a Single-session psychotherapy |
650 | 0 | ▼a Psychotherapist and patient |
700 | 1 | ▼a 김소라, ▼e 역 |
700 | 1 | ▼a 전희정, ▼e 역 |
900 | 1 0 | ▼a 드라이덴, 윈디, ▼e 저 |
900 | 1 0 | ▼a Kim, So-ra, ▼e 역 |
900 | 1 0 | ▼a Jeon, Hee-chung, ▼e 역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14 2021z16 | 등록번호 11185798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윈디 드라이덴(지은이)
2005년 루마니아 Babes-Bolyai University에서 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영국 런던 Goldsmiths University의 심리치료 연구 명예 교수이다. 영국에서 최초로 인지행 동 치료 교육을 받은 사람 가운데 하나이며, 앨버트 엘리스Albert Ellis 박사, 아론 벡Aaron T. Beck 및 아놀드 라자러스Arnold Lazarus와 함께 훈련받았다. 그는 선도적인 인지행동 치료 접근법인 RECBT(합리적-정서적 인지행동치료)에 관한 연구로 잘 알려져 있다. Warwick University에서 심리치료 훈련을 하고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때 이 분야에 대한 폭넓은 관점을 얻었다. 그의 경력에서 매우 중요하고 지속적이었던 것은 다양성이었는데, 그로 인해 프랙티셔너, 트레이너, 수퍼바이저, 연구자, 작가 및 편집자로 일한다. 개인 및 GP 진료, 임상심리서비스, 민간 정신병원 등 여러 분야에서 치료사로 일했으며, 연속 회기 치료, 단일 회기 치료, 코칭과 커플 치료를 제공한다. 1975년부터 심리 상담사와 치료사를 교육하고 수퍼비전하는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영국, 미국, 남아프리카, 터키 및 이스라엘을 포함한 많은 국가에서 치료사를 훈련했다. 특히 합리적 정서행동 치료(REBT)와 단일 회기 치료(SST) 프랙티셔너를 훈련한다. 현재 240권이 넘는 책을 저술하거나 편집했으며, 21권의 시리즈를 편집했다. 주요 저서로는 『Help Yourself with Single-Session Therapy』, 『Single- Session Therapy and Its Future』, 『Rational Emotive Behaviour Therapy』, 『The Single-Session Counselling Primer』, 『Dealing with Emotional Problems in Coaching』, 『Very Brief Therapeutic Conversations』, 『단일 회기 코칭과 비연속 일회성 코칭 Single-Session Coaching and One-At-A-Time Coaching』(남기웅, 안재은 역, 2022), 『Single-Session Therapy』 등이 있다.
김소라(옮긴이)
청소년상담센터와 대학 상담실 그리고 현재는 기업 내 상담실에서 상담사로 살고 있다. 상담을 하면서 가지게 된 의문에 대한 답을 찾던 중 우연히 만나게 된 이 책이 비슷한 고민을 하는 누군가에게도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전희정(옮긴이)
아동 심리치료를 거쳐 청소년상담센터에서 7년간 재직했다. 현재는 기업 내 상담실에 있으며, 지금 만나는 내담자들에게 작은 보탬이 되고 싶은 마음과 상담을 시작한 지 20년이 되는 해를 기념하고자 이 책을 옮겨 본다.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PART 1 SST의 특성과 토대 001 SST란 무엇인가 002 SST의 발달 003 SST에 대한 오해 004 짧은 만남일지라도 치료적일 수 있다 005 치료 시간이 늘어지는 특성 006 전 세계적으로 가장 빈번한 치료 횟수는 ‘1회’이며, 1회를 참여한 대다수의 사람은 만족감을 느낀다 007 내담자가 치료에 얼마나 참여할지 정확히 예상하기란 어렵다 008 ‘조기종결’이란 009 전 생애에 걸친 간헐적 치료 010 빠를수록 좋고 적을수록 더 낫다 011 인간은 특정 조건하에서 빠른 자기-치유가 가능하다 012 SST의 선택은 내담자의 몫이지만, 때로 이 선택은 제한될 수 있다 013 세 가지 핵심 주제: 마음가짐, 결정적 순간 그리고 내담자의 역량 014 치료 장면에서 SST를 활용하는 현명한 태도 015 SST의 다양한 형태 016 SST의 목표 017 치료와 변화에 관한 기존 신념에 도전하는 SST 018 SST의 치료 시간 019 SST에 관한 다양한 접근 PART 2 SST의 기본 가정 020 내담자-중심과 내담자-주도 021 개방성과 피드백의 상호성 022 과거와 현재에 민감하면서도, 미래-지향적인 102 023 준비성 024 강점-기반 025 자원-기반 026 복잡한 문제라고 해서 해결책도 복잡할 필요는 없다 027 긴 여정은 첫걸음에서 시작된다 PART 3 SST의 촉진적 조건 028 의도성 029 변화를 기대하기 030 명료성 031 효과적인 회기 구조 032 효과적인 목표 설정 033 전문가가 아닌 전문성을 활용하는 치료사 034 SST 치료사에게 도움이 되는 태도 035 ‘유능한’ SST 치료사의 특징 036 SST에서 해야 할 것 037 SST에서 하지 말아야 할 것 038 SST에 도움이 되는 환경 039 SST의 다원적 특성 040 ‘좋은’ SST 내담자의 특징 PART 4 SST와 관련된 기준 041 내담자 기준과 관련된 논쟁 042 SST 치료사를 위한 권고사항 및 제한사항 043 SST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권고사항 및 제한사항 PART 5 SST 첫 단추 잘 꿰기 044 내담자의 최초 연락에 효과적으로 반응하기 045 대면상담 회기 준비 I: 관련 정보 얻기 046 대면상담 회기 준비 II: 변화에 유리하도록 균형 맞추기 047 대면상담 회기 준비 III: 어떻게 하면 당신을 가장 잘 도울 수 있을까요 048 사전 연락과 대면 회기 사이에 해 볼 만한 과제 제안하기 049 사전 연락 후 요약해 보기 050 사전 연락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 PART 6 한 회기를 최대한 활용하기 051 합의하거나 검토해야 할 치료 범위 052 SST에서의 작업동맹에 유념하기 053 회기 시작하기 I: 사전 연락과 대면 회기 사이에 실행한 과제와 활동에 초점 맞추기 054 회기 시작하기 II: 치료사와 내담자 간에 사전 연락이 없을 때 055 해결 가능한 문제에 초점 맞추기 056 상담 초점을 만들고 유지하기 057 가능하다면 내담자가 역경에 대처하도록 돕기 058 목표 협의하기 059 내담자가 자신도 모르게 어떻게 문제를 유지하는지 이해하고,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도록 이를 활용하기 060 무엇이 변하는가 I: 개인-중심의 변화 061 무엇이 변하는가 II: 환경-중심의 변화 062 공통화음에 초점 맞추고 활용하기 063 변화 지표에 합의하기 064 변화에 주목하고 격려하기 065 첫 번째가 아닌 두 번째 반응에 초점 맞추기 066 문제에 대한 예외 찾기 067 목표가 이미 일어난 순간 찾아보기 068 효과에 따라 더 하거나 덜 하도록 격려하기 069 정서적 영향 주기 070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 활용하기 071 내담자의 역할 모델 활용하기 072 SST에서 토포필리아 활용하기 073 이야기와 우화 활용하기 074 유머 활용하기 075 역설 활용하기 076 ‘친구 기법’ 활용하기 077 ‘의자 기법’ 활용하기 078 유용하고 기억할 수 있는 문구로 의미 전환하기 079 정보가 부족하거나 잘못된 경우 내담자 교육하기 080 해결책에 합의하기 081 가능하다면 내담자가 회기 중에 해결책을 연습해 보도록 하기 082 과정의 요약 083 내담자가 가져갈 것 084 회기의 종결 085 회기가 끝난 후: 성찰, 녹음 파일과 회기 축어록 086 추후 상담 087 SST 구조의 예 PART 7 워크-인 치료 088 상담의 두 가지 경로 089 워크-인 치료의 특성 090 워크-인 치료의 실제 091 특정 치료사가 아닌 서비스와 동맹맺기 092 워크-인 서비스 홍보 방법 093 단기 이야기 치료에서 착안한 워크-인 회기의 구조 지침 094 워크-인 치료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 PART 8 SST의 다양한 형식 095 임상 시연 096 교육용 영상 097 2차 소견 PART 9 SST, 개인적인 노력과 배운 점 098 ‘통합된 단일회기 인지행동치료’ 099 ‘초단기 치료적 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