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6092 | |
005 | 20220127150410 | |
007 | ta | |
008 | 220125s2021 ulkd b AC 000c kor | |
020 | ▼a 9791189273255 ▼g 94300 | |
020 | 1 | ▼a 9791189273248 (세트) |
035 | ▼a (KERIS)BIB000015988714 | |
040 | ▼a 211040 ▼c 211040 ▼d 211009 | |
082 | 0 4 | ▼a 320.951 ▼2 23 |
085 | ▼a 320.951 ▼2 DDCK | |
090 | ▼a 320.951 ▼b 2021z9 | |
245 | 0 0 | ▼a 중국의 꿈과 민주주의 : ▼b 중국은 왜 민주화되지 않는가? = ▼x China's dream and democracy : why does China not democratize? / ▼d 이정남 편저 |
260 | ▼a 서울 : ▼b 아연출판부, ▼c 2021 | |
300 | ▼a 210 p. : ▼b 도표 ; ▼c 23 cm | |
490 | 1 0 | ▼a 아연 현대중국연구총서 = ▼a ARI series of contemporary Chineses studies ; ▼v 01 |
500 | ▼a 저자: 이정남, 강수정, 주장환, 유은하, 황태연, 이문기, 정주영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536 | ▼a 이 책은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7S1A5A2A03068292) | |
700 | 1 | ▼a 이정남, ▼g 李正男, ▼d 1964-, ▼e 편 ▼0 AUTH(211009)70698 |
700 | 1 | ▼a 강수정, ▼e 저 |
700 | 1 | ▼a 주장환, ▼g 周長煥, ▼d 1970-, ▼e 저 ▼0 AUTH(211009)3643 |
700 | 1 | ▼a 유은하, ▼g 柳銀河, ▼e 저 ▼0 AUTH(211009)141580 |
700 | 1 | ▼a 황태연, ▼e 저 |
700 | 1 | ▼a 이문기, ▼g 李汶紀, ▼d 1966-, ▼e 저 ▼0 AUTH(211009)52531 |
700 | 1 | ▼a 정주영, ▼e 저 |
830 | 0 | ▼a 아연 현대중국연구총서 ; ▼v 01 |
830 | 0 | ▼a ARI series of contemporary Chineses studies ; ▼v 01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0.951 2021z9 | Accession No. 11185796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이정남(엮은이)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 교수 및 중국연구센터장 주요 연구 방향은 당대 중국의 정치외교이고, 최근 주요 논저로는 〈중미 간 경제무역 갈등의 본질 및 대응방향에 대한 중국 내의 인식〉(2020), 〈5.4운동 100주년을 통해서 본 중국 정치체제의 변화〉(2019), 《중국의 민주주의》(공역, 2019), 《중국의 꿈》(편저, 2018), 〈시진핑의 중국몽(中國夢)〉(2018), 《중국은 우리에게 무엇인가?》(공저, 2017), 〈중국 집단지도체제 권력 승계의 제도화와 19차 당대회 이후의 변화〉(2018), 《세력전환기 동아시아의 국가정체성과 지역인식》(편저, 2014) 외 다수가 있음.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이정남 9 1부 ‘중국몽’ 담론의 부상과 민주주의 담론의 주변화 1장 시진핑(?近平)의 중국몽(中??) : 민주주의 없이도 가능한가? ∥이정남 Ⅰ. 서론 28 Ⅱ. 세계질서의 형성 조건과 민주주의 제도와 가치 31 Ⅲ. 시진핑의 중국몽, 중국 주도의 세계 질서(Pax Sinica) 구상인가? 37 Ⅳ. 민주주의, 시진핑 중국몽의 주요 내용인가? 43 Ⅴ. 결론 52 2장 시진핑 시기 ‘중국몽(中??)’ 담론의 체제 정당화 프레이밍(framing) 분석 ∥강수정 Ⅰ. 서론 57 Ⅱ. 이론적 논의: 정치적 정당성(political legitimacy) 이론과 프레이밍(framing) 연구 60 Ⅲ. 시진핑 시기 주요 정치적 키워드와 프레임 : 인민일보 키워드 분석을 중심으로 66 Ⅳ. 중국몽 담론의 체제 정당화 프레이밍 분석 70 Ⅴ. 결론 81 3장 ‘중국몽(中國夢)과 중국 지식인 담론 지형의 변화 : 방향과 그 동인 ∥주장환 Ⅰ. 서론 87 Ⅱ. 중국몽의 제기: 배경과 그 내용 90 Ⅲ. 중국몽과 지식인 담론 지형의 변화 96 Ⅳ. 결론 104 4장 중국의 민주주의 인식과 중국몽 ∥유은하 Ⅰ. 서론 109 Ⅱ. 근현대 시기의 중국몽과 민주주의 인식 111 Ⅲ. 중화인민공화국 건립 전후의 중국몽과 민주주의 인식 116 Ⅳ. 결론 123 2부 ‘중국몽’ 실현을 위한 정치 통제와 안정화 기획 5장 중국의 당정(黨政)관계 변화, 마오쩌둥 시대로의 회귀인가? :시진핑 시대 당정기구 개혁을 중심으로 ∥황태연 Ⅰ. 서론 128 Ⅱ. 당정관계에 대한 논의 검토 131 Ⅲ. 시진핑 집권 이전 당정관계 136 Ⅳ. 시진핑 시대 당정기구 개혁과 당정관계 변화 144 Ⅴ. 결론: 평가 및 시사점 151 6장 중국공산당의 간부 교육과 정치적 통합 ∥이문기 Ⅰ. 서론 158 Ⅱ. 학습정당으로서 중국공산당 161 Ⅲ. 중국공산당의 간부 교육체계와 내용 170 Ⅳ. 간부 교육과 정치적 통합 178 Ⅴ. 맺음말 182 7장 중국의 권위주의 통치 안정화 기획 : 치리(治理) 개혁을 통한 권위주의 통치의 세련된 제도화 ∥정주영 Ⅰ. 서론 188 Ⅱ. 중국의 민주 담론 비틀기와 치리(治理) 개혁 191 Ⅲ. 중국 치리 개혁의 통치적 속성 199 Ⅳ. 결론 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