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5668 | |
005 | 20220124093912 | |
007 | ta | |
008 | 220124s2022 ulk b 001c kor | |
020 | ▼a 9791156122104 ▼g 94330 | |
020 | 1 | ▼a 9791156122081 (세트) |
035 | ▼a (KERIS)BIB000016011726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301.09519 ▼2 23 |
085 | ▼a 301.0953 ▼2 DDCK | |
090 | ▼a 301.0953 ▼b 2022z1 ▼c 2 | |
100 | 1 | ▼a 정수복, ▼d 1955- ▼0 AUTH(211009)5375 |
245 | 1 0 | ▼a 아카데믹 사회학의 계보학 = ▼x Genealogy of academic sociology in Korea / ▼d 정수복 지음 |
260 | ▼a 서울 : ▼b 푸른역사, ▼c 2022 | |
300 | ▼a 486 p. ; ▼c 23 cm | |
490 | 1 0 | ▼a 한국 사회학의 지성사 ; ▼v 2 |
504 | ▼a 참고문헌(p. 438-469)과 색인수록 | |
536 | ▼a 이 책은 한국사회학회와 포스텍 융합문명연구원의 출판 지원을 받아 출간되었음 | |
830 | 0 | ▼a 한국 사회학의 지성사 ; ▼v 2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1.0953 2022z1 2 | 등록번호 11185739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1.0953 2022z1 2 | 등록번호 1118824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1.0953 2022z1 2 | 등록번호 51105695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01.0953 2022z1 2 | 등록번호 15136262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1.0953 2022z1 2 | 등록번호 11185739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1.0953 2022z1 2 | 등록번호 1118824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1.0953 2022z1 2 | 등록번호 51105695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01.0953 2022z1 2 | 등록번호 15136262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국 사회학의 지성사 시리즈. 한국 사회학의 역사를 지성사적으로 성찰하면서 한국 사회학이 나아갈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작품이다. 2권에서는 가치중립성과 실증주의를 중시하는 아카데믹 사회학을 이상백, 배용광, 이만갑, 이해영, 김경동 등 다섯 학자를 통해 살핀다.
더 좋은 사회를 위한 지식을 창조하는 주체적 학문의 길 모색
우리 학문의 ‘족보’ 만들기와 ‘이정표’ 세우기
한국 사회학의 거장 11인의 삶과 학문을 파고들어 찾아낸 한국 사회학의 계보학
‘한국 사회학의 지성사’를 성찰하다
《한국 사회학의 지성사》는 한국 사회학의 역사를 지성사적으로 성찰하면서 한국 사회학이 나아갈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작품이다. 지은이 정수복은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서구 사회학과 인도, 남미 등 비서구 사회학의 역사를 정리하고 그런 정지 작업을 배경으로 하여 한국 사회학의 역사라는 탑을 쌓아 올린다. 접근 방법은 평전 형식의 전기적 접근이며 한국 사회학의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 대표급 학자들의 저서와 논문, 인터뷰를 비롯한 전기적 자료들이 기초 ‘사료’로 동원된다.
《한국 사회학의 지성사》 시리즈는 세계 사회학과 한국 사회학의 전체적 흐름을 짚은 1권, 가치중립성과 실증주의를 중시하는 아카데믹 사회학을 다룬 2권, 한국 사회의 현실 문제 해결에 개입하는 비판사회학을 담은 3권, 한국 사회의 역사적 경험과 특성을 재구성하는 역사사회학을 정리한 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저자는 ‘대중과 소통하며 응답하는 사회학’(3권 부록)에서 한국 사회학의 대중화 방안을 논의하며, 책의 맨 끝에 나오는 ‘한국 사회학의 사회학’(4권 4부)에서는 책에서 다룬 11명의 학자들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학술장의 구조와 변동을 분석하고 한국사회학계가 나아갈 이정표를 세운다.
《아카데믹 사회학의 계보학》,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한국 사회학의 역사를 세계 사회학의 역사와 관련지어 논의한 1권에 이어 2~4권에서는 한국 사회학의 역사에서 형성된 세 가지 학문적 흐름을 다룬다. 2권은 아카데믹 사회학을, 3권은 비판사회학, 4권은 역사사회학의 흐름을 다룬다.
2권은 가치중립성과 실증주의를 중시하는 아카데믹 사회학을 이상백, 배용광, 이만갑, 이해영, 김경동 등 다섯 학자를 통해 살핀다. 1부 〈이상백과 한국 사회학의 제도화〉에서는 한국 사회학을 제도화한 이상백, 2부 〈배용광과 대구·경북의 사회학〉에서는 대구·경북 지역 아카데믹 사회학의 제도화에 기여한 배용광, 3부 〈이만갑과 아카데믹 사회학의 형성〉에서는 미국 사회학의 조사방법을 도입하고 농촌사회를 연구한 이만갑, 4부 〈이해영과 아카데믹 사회학계의 형성〉에서는 인류학에서 시작하여 인구학의 기초를 마련한 이해영, 5부 〈김경동과 아카데믹 사회학의 주류화〉에서는 이론과 조사방법 양면에서 아카데믹 사회학을 체계화한 김경동의 삶과 학문적 업적을 다룬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정수복(지은이)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대학원에서 사회학 석사학위를 받은 후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에서 프랑스 사회학의 거장 알랭 투렌Alain Touraine의 지도를 받아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9년부터 연세대 등에서 ‘집합행동과 사회운동’, ‘사회문제론’ 등을 강의했다. 이후 시민환경연구소 부소장, 크리스찬아카데미 기획연구실장, 사회운동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했다. 그 기간 《의미세계와 사회운동》, 《녹색 대안을 찾는 생태학적 상상력》, 《시민의식과 시민참여》 등을 저술했고, 《새로운 사회운동과 참여 민주주의》를 편역했으며, 《현대 프랑스 사회학》, 《현대성 비판》 등을 번역했다. 1990년대 말에는 KBS-TV의 ‘정수복의 세상읽기’ 등 방송 프로그램의 사회를 맡기도 했다. 이후 2002년 초 다시 파리로 떠나 출판문화대상을 받은 《한국인의 문화적 문법》을 저술했고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객원교수로 강의했다. 또한 《파리를 생각한다》, 《파리의 장소들》, 《프로방스에서의 완전한 휴식》 등 프랑스 3부작과 책과 독서에 대한 2부작으로 책으로 《책인시공》, 《책에 대해 던지는 7가지 질문》을 펴냈고 현재 출판문화산업진흥원 책나눔위원회 위원장으로 좋은 책을 선정하는 일도 하고 있다.

목차
책을 펴내며 1부 이상백과 한국 사회학의 제도화 1. 이상백에 대한 선행 연구 2. 이상백과 한국 사회학의 제도화 3. 이상백이 구상한 사회학 4. 이상백과 동시대의 사회학자들 5. 이상백이 한국 사회학을 제도화 할 수 있었던 이유 6. 이상백의 일본 체육계 활동이 갖는 의미 7. 이상백의 학문적 유산 8. 이상백과 그의 후예들 2부 배용광과 대구ㆍ경북의 사회학 1. 대구ㆍ경북 사회학의 창건자 배용광 2. 배용광과 한국 사회학의 제도화 3. 배용광의 학문적 자세 4. 배용광의 학문적 성과 5. 배용광의 사회적 활동 6. 배용광 사회학의 비판적 계승 3부 이만갑과 아카데믹 사회학의 형성 1. 이만갑과 한국 사회학 2. 이만갑의 지적 형성 과정 3. 일본 사회학에서 미국 사회학으로 4. 이만갑 사회학의 전개 5. 이만갑의 사회 활동 6. 이만갑 사회학의 비판과 계승 4부 이해영과 아카데믹 사회학계의 형성 1. 이해영의 사회학사적 위치 2. 이해영의 지적 성장 과정 3. 이해영 사회학의 전개 4. 이해영의 사회적 활동 5. 이해영 사회학의 비판적 계승 5부 김경동과 아카데믹 사회학의 주류화 1. 아카데믹 사회학의 대표, 김경동 2. 김경동 사회학의 내부 구성 3. 김경동의 삶과 글쓰기 4. 김경동 사회학의 기여와 한계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