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상담 교육과정 구성과 평가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Barrio Minton, Casey A. Gibson, Donna M., 저 Wachter Morris, Carrie A., 저 김인규, 역 김나영, 역 이상민, 역 이지향, 역 조항, 역 허난설, 역
서명 / 저자사항
상담 교육과정 구성과 평가 / Casey A. Barrio Minton, Donna M. Gibson, Carrie A. Wachter Morris 지음 ; : 김인규 [외]옮김
발행사항
서울 :   박영story,   2021  
형태사항
520 p. ; 26 cm
원표제
Evaluating student learning outcomes in counselor education
ISBN
9791165191399
일반주기
공역자: 김나영, 이상민, 이지향, 조항, 허난설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Student counselors --Training of --Evaluation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05616
005 20220124141506
007 ta
008 220121s2021 ulk b 001c kor
020 ▼a 9791165191399 ▼g 93180
035 ▼a (KERIS)BIB000015972853
040 ▼a 211046 ▼c 211046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371.4 ▼2 23
085 ▼a 371.4 ▼2 DDCK
090 ▼a 371.4 ▼b 2021z1
100 1 ▼a Barrio Minton, Casey A.
245 1 0 ▼a 상담 교육과정 구성과 평가 / ▼d Casey A. Barrio Minton, ▼e Donna M. Gibson, ▼e Carrie A. Wachter Morris 지음 ; ▼e : 김인규 [외]옮김
246 1 9 ▼a Evaluating student learning outcomes in counselor education
260 ▼a 서울 : ▼b 박영story, ▼c 2021
300 ▼a 520 p. ; ▼c 26 cm
500 ▼a 공역자: 김나영, 이상민, 이지향, 조항, 허난설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650 0 ▼a Student counselors ▼x Training of ▼x Evaluation
700 1 ▼a Gibson, Donna M., ▼e
700 1 ▼a Wachter Morris, Carrie A., ▼e
700 1 ▼a 김인규, ▼e
700 1 ▼a 김나영, ▼e
700 1 ▼a 이상민, ▼e
700 1 ▼a 이지향, ▼e
700 1 ▼a 조항, ▼e
700 1 ▼a 허난설,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1.4 2021z1 등록번호 11185754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상담사 교육체제 안에서 교육받는 학생들의 학습 성과를 평가하는 방법을 다루는 교재다. 흔히 평가는 교육의 마지막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되지만, 사실 평가의 방법과 내용이 곧 그 교육과정의 목표와 과정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평가를 설계하고 수행하는 것은 곧 그 교육과정의 목표부터 과정, 방법을 설계하고 수행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제목은 학생의 학습성과 평가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그 내용은 상담사 교육의 목표 설정과 내용 구성을 우선적으로 다루고 있다.

역자 서문

상담에 대한 한국사회의 수요가 어느 때보다도 많아지면서 과연 수준 높은 상담을 제공하는 유능한 상담사가 누구인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상담사가 취득하는 자격으로 전문상담교사, 청소년 상담사와 같은 국가자격도 있고, (사)한국상담학회와 (사)한국상담심리학회 등 여러 전문단체에서 발급하는 민간자격도 있으나 과연 어떤 자격 소지자가 유능하고 신뢰할 만한가에 대한 사회적인 또는 전문가 집단 내에서의 합의가 있다고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는 상담 분야의 여러 자격마다 자격 부여 기준과 방법이 다르며, 그 자격을 취득하는 과정이 상이하기 때문에 상호 비교가 불가능하고, 무엇보다도 상담 자격 취득과정이 공교육체제 내에서 충실한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학부 또는 대학원에서의 표준 교육과정에 기반한 상담사 양성, 충실한 상담 교육을 보장할 수 있는 상담 교육 인준제도에 대한 연구와 제안이 계속되고 있지만, 아직 현실에 반영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런 한국의 상담사 양성체제에 대한 안타까움을 갖고 있을 때 만나게 된 Casey A. Barrio Minton, Donna M. Gibson, Carrie A. Wachter Morris의 󰡔Evaluating Student Learning Outcomes in Counselor Education󰡕은 새로운 희망과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물론 미국과 한국의 교육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미국의 상담사 교육체계를 그대로 한국에 적용할 수는 없겠지만, 이 책을 통해 미국의 상담사 교육체계의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게 되면 현재 한국의 혼란스러운 상담사 교육체계를 개선해 나갈 방향과 방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되었다. 이 책은 제목에서 드러나듯이 상담사 교육체제 안에서 교육받는 학생들의 학습 성과를 평가하는 방법을 다루고 있다. 흔히 평가는 교육의 마지막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되지만, 사실 평가의 방법과 내용이 곧 그 교육과정의 목표와 과정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평가를 설계하고 수행하는 것은 곧 그 교육과정의 목표부터 과정, 방법을 설계하고 수행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책의 제목은 학생의 학습성과 평가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그 내용은 상담사 교육의 목표 설정과 내용 구성을 우선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에 상담사를 양성하고 있는 대학의 교수와 슈퍼바이저, 상담 자격을 발급‧운영하는 단체의 관계자, 상담전공 학생과 수련생 등이 이 책을 통해 상담사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과정, 성과, 평가 등에 대해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총 4부 3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 맥락에서는 1장~3장에 걸쳐 학생의 학습성과(Student Learning Outcomes: SLO)가 중요하게 된 배경과 프로그램 평가의 전체적인 틀, 목표 설정과 진행 과정 설계를 다룬다. 2부 평가선정과 측정 도구 개발에서는 4장~11장에 걸쳐 강좌기반평가, 현장경험, 종합시험, 포트폴리오, 석박사 논문, 자질, 간접지표 등 다양한 평가 방법을 소개하고 이런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방법을 다룬다. 3부 전진하기, 앞으로 나아가기에서는 12장~17장에 걸쳐 평가 자료 수집, 관리 분석, 보고, 활용 등의 내용을 다룬다. 4부 적용에서는 18장~37장에 걸쳐 상담오리엔테이션 및 윤리실천, 사회문화적 다양성, 평가 및 검사, 중독상담, 진로상담, 학교상담, 상담사 교육과 슈퍼비전 등 상담 교육의 다양한 영역에서의 학생학습평가의 내용과 방법을 다룬다.
이 책은 미국 상담 및 관련 교육 프로그램 인준 기관(The Council for Accreditation of Counseling and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CACREP),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의 기준을 활용하여 상담사 양성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구성하고 있다. 아직 우리나라는 미국과 같이 국가적으로 활용되는 상담 교육의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최근 논의와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을 활용하여 미국의 CACREP과 같은 국가적 표준을 마련하고 이에 따른 표준 교육과정의 설계와 운영을 시도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의 역자인 김인규, 김나영, 이상민, 이지향, 조항, 허난설은 한국이나 미국에서 상담교육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대학과 학회, 기관에서 상담사 양성 및 자격 부여 과정에 다양하게 참여해 온 경력을 가지고 있다. 한국의 상담사 양성과정에 대한 애정과 열정을 가지고 번역을 하였으나 아직 이 분야의 전공 서적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번역을 하다 보니 부족한 점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 책에서 원저자들이 의도한 바가 충분하게 전달되지 못한 부분이 있다면 이는 전적으로 역자들의 부족함에 기인한 것이며, 언제든지 이런 부분에 대해 피드백을 준다면 이를 보완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할 것이다. 이 책의 번역과 출판을 흔쾌히 수락해준 ㈜피와이메이트의 노현 대표님과 편집에 수고한 홍윤환 님에게 감사한다.

이 책이 한국의 상담사 양성체계 발전에 작은 디딤돌이 되기를 소망하며,

2021년 8월
대표 역자 김인규


정보제공 : Aladin

목차

감사의 글 3
편집자 소개 4
참여자 소개 6
역자 서문 10

1부 맥락

제1장 SLO 운동 21
제2장 프로그램 평가의 전체적인 틀 31
제3장 목표를 설정하고 교육과정과 진행을 설계하기 43

2부 평가 선정과 측정 도구 개발
제4장 강좌기반 평가 75
제5장 현장경험 83
제6장 종합시험 89
제7장 포트폴리오 111
제8장 석사 논문과 박사 논문 123
제9장 자질 137
제10장 간접지표 145
제11장 평가도구 개발 161

3부 전진하기, 앞으로 나아가기
제12장 자료 수집과 관리 181
제13장 자료 분석 197
제14장 자료 보고하기 209
제15장 프로그램 향상을 위한 자료 사용 225
제16장 학생 개인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자료의 사용 233
제17장 SoTL에서 자료 사용 245

4부 적용
제18장 전문 상담 오리엔테이션 및 윤리적 실천 253
제19장 사회문화적 다양성 265
제20장 인간의 성장과 발달 273
제21장 진로상담 및 개발 283
제22장 상담 및 조력 관계 293
제23장 집단상담 및 프로그램 311
제24장 평가 및 검사 321
제25장 연구와 프로그램 평가 329
제26장 중독상담 337
제27장 진로상담 355
제28장 임상 정신 건강 상담 363
제29장 임상 재활 상담 377
제30장 대학 상담 및 학생 지원 393
제31장 부부, 커플, 가족 상담 405
제32장 학교 상담 413
제33장 상담사 교육과 슈퍼비전 - 상담 425
제34장 상담사 교육과 슈퍼비전 - 슈퍼비전 433
제35장 상담사 교육과 슈퍼비전 - 강의 459
제36장 상담사 교육과 슈퍼비전 - 연구 469
제37장 상담사 교육과 슈퍼비전 - 리더십과 옹호 479

참고문헌 488
색인 511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민지 (2023)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2023)
이병환 (2023)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