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5490 | |
005 | 20220124104928 | |
007 | ta | |
008 | 220121s2021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99724688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5949748 | |
040 | ▼a 211029 ▼c 21102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616.89/156 ▼2 23 |
085 | ▼a 616.89156 ▼2 DDCK | |
090 | ▼a 616.89156 ▼b 2021z7 | |
100 | 1 | ▼a Reiter, Michael D. |
245 | 1 0 | ▼a 가족치료의 길잡이 / ▼d Michael D. Reiter 저 ; ▼e 정혜정 역 |
246 | 1 9 | ▼a Family therapy : ▼b an introduction to process, practice and theory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21 | |
300 | ▼a 349 p. ; ▼c 24 cm | |
500 | ▼a 부록: 한눈에 참고하기 | |
504 | ▼a 참고문헌(p. 332-345)과 색인수록 | |
650 | 0 | ▼a Family psychotherapy |
650 | 0 | ▼a Psychology |
700 | 1 | ▼a 정혜정, ▼g 鄭慧貞, ▼d 1960-, ▼e 역 ▼0 AUTH(211009)112248 |
900 | 1 0 | ▼a Chung, Hye-jeong, ▼e 역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16.89156 2021z7 | Accession No. 11185741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가족치료사가 되기 위한 가족치료 이론에서부터 치료 과정과 기법에 이르기까지, 추상적이고 어려운 가족치료 용어를 현실에서 보다 편안하게 구체화할 수 있도록 집필된 교재다. 가족치료의 개념이나 기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례와 임상현장의 예제를 제공한다. 가족치료사로서 어떻게 생각하고, 갖춰야하는 기술은 무엇이며, 가족치료사로서 사례를 개념화하는 방법을 정리하여 실었다.
가족 치료사가 되는 길!
가족치료 훈련이나 임상현장에서 바로 참고할 수 있는 길잡이!
가족치료사가 되는 길을 이 한 권의 책에 담았다. 전문적인 가족치료사가 되기 위해서는 다년에 걸친 이론 습득과 임상훈련을 요구하는 지난한 과정이다. 또한 개인과 가정이 가져오는 어려움과 문제는 너무 구체적인데, 이론은 너무 추상적이어서 지식을 현장에 연결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이 책은 가족치료사가 되기 위한 가족치료 이론에서부터 치료 과정과 기법에 이르기까지, 추상적이고 어려운 가족치료 용어를 현실에서 보다 편안하게 구체화할 수 있도록 집필되었다.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가족치료의 개념이나 기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례와 임상현장의 예제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25년간 가족치료사로서 활동한 저자는 가족치료사가 되는 과정 중에 자신을 바라보고, 사람들의 상호작용을 바라보고, 세상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바라보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다고 회고했다. 가족치료사로서 어떻게 생각하고, 갖춰야하는 기술은 무엇이며, 가족치료사로서 사례를 개념화하는 방법을 정리한 이 책은 분명 가족치료의 세계로 처음 들어가는 상담자들에게 좋은 안내서가 될 것이다.
바꾸어 말하기
사람들은 대개 내용부터 대화를 시작한다. “그녀를 온라인에서 만났는데, 지난 3주 동안 그녀와 이야기를 나누었어요. 그녀는 진짜 멋있고 우리는 잘 맞아요.” 이는 모두 내용이다. (여자를 온라인에서 만났다. 3주 동안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 여자가 멋있다고 생각한다. 둘이 잘 맞는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내담자의 이야기를 따라가면 무엇이 중요한지 결정해야 하고, 내담자의 한 말의 어떤 면이 바람직한 치료에 적합한지 판단해야 한다. 어떤 정보에 집중할 것인지 더 많은 맥락을 필요할 수도 있지만 반대로 중요하지 않은 부분도 분명하게 들어난다.
중요한 부분을 구분할 수 있게 되면 치료사는 자신이 잘 따라가고 있음을 내담자에게 알려 줄 필요가 있다. 이 때 바꾸어 말하기(paraphrasing)는 내담자의 이야기를 바꾸어 말해주고, 질문도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의 연습을 통해 바꾸어 말하기를 연습할 수 있다.
내담자: 최근에 딸이 태어났어요. 하지만 의사가 말하길 딸 심장에 작은 구멍이 있대요. 이것이 딸한테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아직 확신할 수 없다면서요. 우리는 돈이 별로 없는데, 치료비용이 엄청날 거예요. 이제 우리는 딸이 안전하게 성장하도록 확신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지 생각해야 해요.
일반적으로 바꾸어 말하기: 두 분이 감내해야 할 일이 많은 것 같군요.
구체적으로 바꾸어 말하기: 딸이 태어난 후 딸의 심장에 작은 구멍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되셨군요. 이제 두 분이 치료비용에 대해 어떻게 할지 고심하고 계시는군요. 치료비용이 엄청날 거라고 생각하니 말이에요.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두 분이 따님의 의료처치가 잘되는지 확신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생각하는 것이로군요.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마이클 D. 라이터(지은이)
미국 Nova Southeastern University의 가족치료학과 교수로서, 『치료적 면담(Therapeutic Interviewing)』(Pearson, 2007),『가족치료 사례개념화(Case Conceptualization in Family Therapy)』(Pearson, 2007, 역서 출판은 정혜정 역, 학지사, 2016)의 저자이며, 가족치료의 선구자 중 한 사람인 Salvador Minuchin과 함께『가족치료의 예술(The Craft of Family Therapy)』 (Routledge, 2014),『물질남용과 가족(Substance Abuse and the Family)』(Pearson, 2015)을 공동 저술하였다.
정혜정(옮긴이)
전북대학교 아동학과에 재직 중이다. 미국 Texas Tech University의 인간발달·가족학과에서 박사학위(Ph. D.)를 받았으며, 미국 University of Georgia와 Nova Southeastern University 가족치료전공의 방문학자로서 두 번의 연구년을 보냈다. 한국가족치료학회장을 지냈고, 한국가족치료학회 부부가족상담 슈퍼바이저이며, 한국상담학회 전문영역 수련감독자(부부가족상담분과)이다. 대표 저서로『가족치료의 이해』(3판, 공저, 학지사, 2018)와 대표 역서로『가족치료 사례개념화』(학지사, 2016)가 있다.

Table of Contents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제1부 가족치료사 제1장 일반체계이론 체계이론 / 선형적 대 순환적 인과관계 / 항상성 / 체계 내용과 과정 / 관계 패턴 / 패턴 바꾸기 제2장 치료사 자신 타인 돌봄 / 자기성찰 / 가계도 작업 / 역전이 / 마음챙김 치료사 자신 / 소진 / 치료사의 자기돌봄 제3장 내담자 환자 대 내담자 / 확인된 환자 / 치료사-내담자 관계 형태 변화 준비도 단계 / 전문가로서의 내담자 제4장 다양성 다양성 / 다문화주의 / 특권 / 문화적 역량 제2부 가족치료사의 기본 기술 제5장 가족치료 회기 시작하기 첫 번째 전화 / 치료사 자신을 소개하기 / 누구와 시작하는가 치료관계 / 합류 / 첫 회기의 목표 제6장 기초 공감 기술 세 가지 핵심 조건 / 공감 / 여는 말 / 가벼운 격려 / 내담자의 이야기 바꾸어 말하기 / 비판단적으로 바꾸어 말하기 / 문제대화의 고리 시작하기 제7장 고급 공감 기술 정서의 확인 / 감정 강도의 수준 / 내용과 감정의 구분 감정 반영하기 / 직설적인 반영하기 대 조합한 반영하기 내담자에게 초점 유지하기 / 내담자의 목소리에 근거한 반영하기 문제대화의 고리 쌓아가기 / 은유 / 시간성 / 의미 반영하기 문제대화의 고리 쌓아가기 제8장 상호화하기 상호화하기 / 합류 / 문제대화의 고리를 상호화하기 문제대화의 고리의 순서 / 재구성 / 내용보다 과정에 초점두기 / 증상의 해체 제9장 효과적으로 질문하기 질문의 목적 / 지각 체크하기 / 개방질문과 폐쇄질문 ‘왜’ 질문이 왜 나쁜가 / ‘당신은 … 생각하지 않습니까/ 생각합니까’ 질문은 문제인가 / 관계 질문 / 개입으로서의 질문 / 내담자의 질문과 공감 질문의 함정 / 문제대화의 고리 쌓아가기 제10장 치료사 자신을 활용하기 유사언어 / 유머 / 도전 / 자기개방 / 즉시성 제11장 치료의 강도 조절하기 강도 낮추기 / 강도 높이기 / 실연 주도하기 움직임과 신체접촉 / 창의성과 놀이성 제12장 목표 설정과 종결 요약하기 / 목표 설정 / 문제대화의 고리 쌓아가기 목표에 우선순위 매기기 / 종결 제3부 가족치료사의 이론 제13장 다세대 가족치료 Bowen 가족체계이론 / 맥락적 가족치료 제14장 경험적 가족치료 Satir의 성장 모델 / 상징적-경험적 가족치료 제15장 전략적 가족치료 MRI 단기치료 / 전략적 가족치료 제16장 체계론적 가족치료 구조적 가족치료 / Milan 체계적 가족치료 제17장 포스트모던 가족치료 해결중심 단기치료 / 이야기치료 제18장 가족치료의 미래 공통요인 / 핵심 역량 증거기반 치료 / 경험적으로 지지된 치료 / 결론 부록-한눈에 참고하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3. 지역사회 현장에서의 FFT 적용 사례 4. 결론 제9장 FFT와 서비스전달체계 1. 서비스전달체계 내에서의 FFT 2. 효과적 FFT 서비스전달체계의 핵심요소 3. FFT 임상슈퍼비전 4. FFT 서비스전달체계와 돌봄체계 간의 조정 사례 5.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