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05388 | |
005 | 20220121131324 | |
007 | ta | |
008 | 220120s2022 ulk 000cp kor | |
020 | ▼a 9788960216099 ▼g 04810 | |
020 | 1 | ▼a 9788960210691 (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895.715 ▼2 23 |
085 | ▼a 897.17 ▼2 DDCK | |
090 | ▼a 897.17 ▼b 강시현 대 | |
100 | 1 | ▼a 강시현 |
245 | 1 0 | ▼a 대서 즈음 : ▼b 강시현 시집 / ▼d 강시현 |
260 | ▼a 서울 : ▼b 천년의시작, ▼c 2022 | |
300 | ▼a 188 p. ; ▼c 21 cm | |
490 | 1 0 | ▼a 시작시인선 ; ▼v 0406 |
830 | 0 | ▼a 시작시인선 ; ▼v 0406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97.17 강시현 대 | Accession No. 11185732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시작시인선 406권. 강시현 시인의 시집. 시인은 인생에서 가장 뜨거웠던 삶의 순간을 반추하고 문학적 열정이 가장 고조된 어떤 순간에 대해 기록해 나간다. 아울러 삶과 죽음에 대한 명상과 성찰을 통해 깊이 있는 시적 사유를 이끌어 낸다. 삶의 희로애락을 노래하는 가운데 강렬한 시적 에너지를 통해 민중의 삶을 대변하는 목소리를 낸다.
이번 시집에서는 시인의 고향인 선산군 고아면의 풍정이 따뜻하게 녹아 있으며, 시인은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시어와 이미지를 시에 녹여 냄으로써 핍진한 시적 서사를 완성해 나간다. 시인의 마음에 자리 잡고 있는 한없이 푸근하고 넉넉한 고향의 이미지는 깊이 있는 서정성을 이끌어 내며, 과거를 반추하고 현재를 성찰하게끔 하는 시적 매개가 된다.
강시현 시인의 시집 『대서 즈음』이 시작시인선 0406번으로 출간되었다. 시인은 경북 선산 출생으로 경북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였으며 『리토피아』 신인상으로 등단하여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태양의 외눈』이 있다.
시집 『대서 즈음』에서 시인은 인생에서 가장 뜨거웠던 삶의 순간을 반추하고 문학적 열정이 가장 고조된 어떤 순간에 대해 기록해 나간다. 아울러 삶과 죽음에 대한 명상과 성찰을 통해 깊이 있는 시적 사유를 이끌어 낸다. 해설을 쓴 김용락 시인은 이번 시집에 대해 “일찍이 다산 정약용이 ‘불우국 비시야不憂國 非詩也’라는 명제로 시가 당대 현실과 민중의 핍진한 삶을 노래하지 않으면 시가 아니다라고 말한 바 있다는 사실을 상기한다면, 위의 시들은 시의 소임을 충분히 완수한 아름다운 시라고 할 수 있다.”라고 평했다. 이처럼 강시현 시인은 삶의 희로애락을 노래하는 가운데 강렬한 시적 에너지를 통해 민중의 삶을 대변하는 목소리를 낸다. 한편 이번 시집에서는 시인의 고향인 선산군 고아면의 풍정이 따뜻하게 녹아 있으며, 시인은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시어와 이미지를 시에 녹여 냄으로써 핍진한 시적 서사를 완성해 나간다. 시인의 마음에 자리 잡고 있는 한없이 푸근하고 넉넉한 고향의 이미지는 깊이 있는 서정성을 이끌어 내며, 과거를 반추하고 현재를 성찰하게끔 하는 시적 매개가 된다. 요컨대 이번 시집은 시대와 현실에 대한 고발이자 시인의 양심적 자기 고백록이라 할 수 있다. 서정적 문체 안에 깃든 치열한 자기 성찰과 존재의 근원에 대한 사유는 고요한 시적 울림으로 다가온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제1부 대서 즈음 13 여름 자전거 16 자연스런 가면극 18 우리의 낯선 우정 20 절값 21 면사무소 22 충고 23 속절없이 출렁이며 24 올챙이 26 시월 엿샛날 27 프리지어 속에 브래지어가 자란다 28 봄의 몸을 들여다보다 30 미역국 32 봄비 34 휘어진 골목을 위한 안경 36 늙은 중 38 늦가을 40 가화만사성 만세 42 공포의 번영 44 슬픔을 삼키는 계단 46 위험한 책 속에 위험한 편지가 48 이름의 그늘 50 겸허의 맑은 물을 마시고 52 제2부 자유정신 55 기르다 56 어둠의 물에 오래 적신 것들은 새벽 냄새가 났다 58 오래된 책장의 불안에 관한 보고서 60 콩나물시루에 물을 떠 부어 주면서 63 꽃비가 내린 뒤였다 64 장마 예보 66 반곡지 왕버들 68 엄마들 70 박스의 통증 72 혼자 먹는 밥 74 슬픔의 오독 76 따뜻한 돌 77 손의 윤리학 78 꽃 소식 80 다리 밑 81 단풍의 꿈 82 문득 84 천국 86 점월술占月術 88 늙은 꼬맹이 그녀 90 제3부 정직한 인사 95 서울 구경 96 불꽃의 주소록 98 비로소 개 100 지나간 것들 102 재두루미 104 한밤중의 꿈이 실제로는 106 사라짐을 위하여 108 붉음에 관하여 110 빨래의 온도 112 엉겅퀴꽃 114 팽이 116 선산 고아善山 高牙 118 나날 119 시간의 길 120 새벽 세 시의 발자국들이 122 혀 124 통속한 여름 126 기다림 128 쓸쓸한 몸 안에도 몇 됫박의 붉은 피가 출렁였지 129 시력視力, 또는 바코드 130 제4부 고양이 꼬리부터 오던 135 맛 136 꽃은 어떤 꽃이든 다 아름답죠 137 스크린 경마장 140 횡재 142 방패연 143 보름 144 하얀 이마 145 벼랑 끝 146 귀향 148 ? 150 야금야금 152 통점을 잃어버린 나는 더 이상 낙화가 아프지 않다 154 투명한 문 156 산뜻한 몸 158 자충수 160 코스모스 162 언어로 해결되지 않는 사건과 사물 164 목마름에 죽어 가는 제라늄이 166 블루, 블루 오션 청춘 168 콩국수 170 해설 김용락 풍요로운 서정성과 현실 의식 172